저질의 부유 현상이 일련의 쇄파라고 하는 파동 현상에 어떠한 형태로 연동하는가를 면밀히 조사하기 위하여 현지해안의 쇄파대내에 주 관측지점을 설치하고 부유사 농도와 유속, 수위변동 등의 관련 파랑 제원을 계측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위변동, 유속변동치의 부유사 농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상관이 탁월한 주기대에 대한 ensemble 평균 분석으로 유속 및 수위변동의 위상에 따른 부유사 농도의 변화와의 관계를 명백히 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부유사의 농도 변동은 유속 및 수위변동의 에너지가 가장 큰 장주기 성분(100s)에 있어서 보다 오히려, 관측지점이 절(node)이 되는 1차mode의 장주기중복파(60s) 및 배(anti-node)가 되는 2차 mode의 중복파(30s)의 주기성분에서 상관이 높았으며, 2)또한, 1차 mode의 장주기중복파의 유속 성분이 해안으로 향하여 가속하는 위상 즉, 수면 경사가 상대적으로 해안선측보다 외해측이 높은 위상에서 부유사 농도가 가장 높아짐을 명백히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각에 부유잡목이 걸린 경우의 피해사례와 원인을 검토하고 교각주위의 부유잡목에 의한 수위 및 유속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교각에 걸린 부유잡목의 면적변화 및 각도변화에 따른 교각 주위의 흐름특성을 통해 교량 및 제방의 안정된 설계를 위한 부유잡목의 기초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각종 설계기준을 검토한 결과 하천에 설치된 교량 등 수리구조물의 여유고는 단순히 하천의 유량에 따라 결정하도록 하고 있어 좀더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한 것으
Forest management starts from forest road facility, which is designated as generation source of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during initial stage of establishmen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 of suspended sediment generated in forest road surface on the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with respect to marsh area of forest. As a result, characteristics of outflow of suspended sediment was understood, and it was judged that generation of suspended sediment due to establishment of forest road is diluted by mountain stream this charged from drainage area so as to have small effect on muddy water in total mountain stream.
초대형 부유식 구조무? 상부구조는 육상 구조물과는 달리 파량하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하부부체의 변형에 의해서 상부구조물에는 부가 모멘트가 크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부가모멘트의 저감을 위하여 보-기둥 접합부에 반강접의 도입에 관한 연구는 시작단계이며 반강접의 비선형 거동을 고려한 상부구조물의 연구는 초기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에 정적하중과 진폭의 크기가 다른 파랑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 강접 골조와 부분적으로 반강접 접합부가 사용된 세 가지 접합부 종류에 대한 2차 탄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접합부는 웨브에 더블 앵글을 가진 상하 앵글(TSD) 접합과 확장 엔드 플레이트 접합 그리고 각형강관 외다이아프램 접합부를 적용하였으며 중고층 구조물에 파랑하중이 작용할 경우 반강접 접합부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와 수평변위의 응답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우리나라가 세계 물류기지의 중심 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날로 급증하고 있는 물류량을 처리하기 위한 항만의 건성이 시급한 과제이다. 국토가 좁고 대도기에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나 삼면이 바라도 둘러 쌓여 잇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해양공간개발이 필요하다. 증가하는 물류량은 처리할 수 있는 항만의 건설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대형 부유채식 컨테이너 야드를 제안하고 해상에 설치되는 초대형 부유채식 컨테이너 야드가 파의 길이 , 해역의 수심, 입사하는 파의 방향등에 따라서 어떠한 응답특성을 나타내는지 파악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particulate for Yellow Sand of January, 1999 in Busan. Yellow Sand frequency during 13 years(1988~2000) in Busan showed maximum in April(57%), next to March(21%), May(16%). According to result of 850hPa weather map and backward isentropic trajectory, this event originated from the Gobi Desert and the Loess Plateau of China. And three mode was found in time series of TSP and PM10 concentration, primary peak showed the maximum hourly concentration at all station. Gamjeondong as industrial site showed the highest TSP concentration and also had the longest high concentration(≥700㎍/m3). In PM10, concentration of primary peak showed maximum value at Yeonsandong, maximum concentration of secondary and third peak was Deokcheondong. Lasted time from primary peak to secondary peak was about 30 hours, between secondary peak and third peak was 18 hours in Busan, The traveling time between occurrence of Yellow Sand the finding of it was 8~9 hours in Busan and 4~5 hours in central area.
전세계적인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인하여 육지면적의 부족, 육상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로 해양의 이용 및 개발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인 해양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시간이력해석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파랑하중에 의한 부체변형을 이용한 시간변위이력 산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주기 및 진폭의 변화에 따른 상부구조물의 동적 시간이력응답 결과를 분석하고 초대형 부유식 상부구조물 시설계안의 동적구조안전성을 평가한다.
Suspended sediment outflows mainly by natural situation and artificial action and affects in down-stream. This research studied suspended sediments origination in forests size and mountain stream for natural situation, density for artificial action, and measured the size and possible quantity of suspended sediments origination and studied obstruction method of the generation by artificial action. As the result, I found that the size of generation is about 2~3% of forest size and the forest size which is affecting bare area of valley is about 1~2ha. In addition, possible outflow segments quantity by artificial facilities is assumed to be maximum 200ton/ha and abstract of mountain incline for mountain development needs minimize bare area valley by make right angle with minimum size.
Einstein(1942)의 부유사량 산정식 유도과정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하였다. 수류조건을 판별하여 완난류 조건에서 유속의 영점높이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부유사량 산정식을 일반화할 수 있는 무차원수를 도입하였다. 또한, 기준점 농도 산정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 개발된 소류사량 산정식으로부터 관련치를 추정하였으며, 수치적으로 또는 도표를 이용하여 해를 구해야 하는 수심적분치의 근사식을 개발하였다. Einstein의 기존 부유사
본 연구에서는 식생된 개수로에서의 난류 구조와 부유사 이동을 수치모의하였다. 난류폐합식으로는 난류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평균유속, 난류강도, 레이놀즈 응력, 난류에너지 생성 및 소멸의 분포를 계산하였으며,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식생에 의한 항력으로 인하여 평균유속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난류강도와 레이놀즈 응력의 분포 역시 약화되었다. 침수식생의 경우, 식생높이보다 높은 구간에서는 전단에 의한 난류에너지 생성이 지배
본 연구에서는 부유입자를 포함하는 유동을 입자크기와 입자량을 달리한 몇 가지 경우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해석하고 Coleman(1981, 1986)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완전 난류 유동장을 해석하기 위하여 k-난류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농도장 해석을 위해서는 침강속도를 고려한 일반화된 농도방정식을 적용하였다. 유동과 입자의 상호작용은 Einstein과 Chien(1955)의 모형을 도입하여 수치계산하였다. 기존의 대부분 연구에서는 소유사의 두께를 고려하
본 논문에서는 파랑이 존재할 때 모래결위에서의 흐름과 부유사의 거동에 관하여 기술한다. 새로운 수치모형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규칙파랑을 이용한 기존 실험실 실험조건과 가상적불규칙파랑조건에 적용하였다. 흐름장 계산은 SMAC 방법에 근거한 프로그램 SOLA를 Kim 등(1994)이 일부 수정하여 제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흐름계산 부모형은 x-z 면에서의 연속방정식과 Reynolds의 운동방정식을 기본방정식으로 한다. 흐름부모형으로 파랑궤적도, 전
In this thesis the legal systems related to real estate and sea area utilization are studied in order to improve them for construction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Main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1) Whether can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be accepted or not as real estate like house and land\ulcorner 2) How can the sea area which is occupied by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be utilized\ulcorner As the conclusion, the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can be registered as real estate even though it is not specified by Korean law for the present. The design concept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can be interpreted as satisfying enough necessary conditions and factors for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to become real estate. In the near future, we have to make improvement on the laws rel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so that private sectors can joint the construction. In additions, a new law for various floating structures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etical parameters affecting the coagulation process and the real coagulation phenomenon applied to the dye wastewater.
Emphasis was placed on the effective removal of the suspend particulates. Parameters studied in this study are pH, coagulant concentration and surface potential.
Optimal dosages of coagulants by the measurement of the zeta potential at lower then 25℃ are 5×10-3 M of FeCl3 and 1.4×10-6 M of Fe2(SO4)3. The results were well agreeded with the separate jar-test results. Emphasis was also plac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the content of SS. It was found that the wastewater quality is greatly dependent on the amount of SS. At the condition with the best removal of SS, COD and DOC were reduced to 65 % and 85 %, respectively The turbidity at the above condition was reduced from 300 NTU to 0∼1 NTU. Efforts were made to clarify the behavior of the suspend solid a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12,000∼13,000 particles/l0mL in 1∼50㎛ size range particulates in the raw wastewater were reduced to 300 particle/l0mL in the same range after treatment. This research has proposed the methodology to find out the optimal condition of coagulation for small scale wastewater treatment plant or chemical coagulation process.
하상 굴착 공사는 골재 채취, 토사준설, 교량 건설 또는 하천을 횡단하여 매설하는 관로 공사 등 여러 가지 경우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하상 굴착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부유물질(SS)은 수질을 오염시키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 여건상 정교한 수치해석모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 2차원 이송-확산 모형을 단순화하여 유도한 Fick 확산 모형에 의하여 부유물질의 농도를 산정하고 오탁 방지 시설 설치에 따른 부유물질
Ethylene was treated or inhibite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related to induction of flesh browning in Fuyu persimmon fruit. The response of fruit to ethylene was so slight, that the Fuyu fruit seemed to possess a similar characteristic to non-climacteric fruit. The flesh browning was however enhanced by ethylene treatment, although any significant increment of phenolic content or PPO activity in flesh tissue was not detected. Ethylene induced not only increasing of ion leakage from fruit tissue, but the fatty acids extracted from ethylene-treated fruit tissue were also more saturated. It was suggested that ethylene be related in the changing of membrane permeablity via saturating of fatty acid in membrane lipid. That could result in increased leakage of vacuole-stored phenolic compounds, which oxidized further by PPO to cause fruit flesh to brown.
The temporal variations of the suspended material concentration (SMC) during spring-neap tidal cycle was investigated at more than 30 stations in Deukryang Bay, Korea, in 1 and 23 July, 1992. The averaged total SMC in spring tide was two times more than those in neap tid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trong tidal current in spring tide disturbed bottom waters and induced higher SMC in the bay. The areal distributions of SMC for the surface and the bottom layers in the bay shows much different patterns during spring and neap tidal cycle. We concluded that the vertical stratification intensity of water mass is important factor of the horizonatal distribution of SMC in the bay.
Photosynthetic pigment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in suspended and sinking particles collected from the Gulf of Mexico waters 1987∼88, were measur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short term variations in flux rates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as well as their degradation products were compared at the mesoscale cyclonic and anticyclonic circulation features (cold core ring and warm core ring). Chlorophyll a was the predominant porphyri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t both CCR and WCR. Among carotenoid pigments, 19`-hexanoyloxyfucoxanthin, which is a biomarker of prymnesiophytes, was dominant pigment at both rings. Phaeophorbide a,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grazing processes of grazers, was the predominant degraded pigment in sinking particles at the study area. Total pigment flux in CCR was an order of magnitude higher than that in WCR. Less than 1% of the standing stock of the pigments measured sank out of the upper 200 m of the WCR on any given day. Thus,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Gulf of Mexico was not recycled rapi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