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neonatal neuromuscular system is accomplished by the 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spinal neurons and its target cells, skeletal muscle cells, an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ffecting this proc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spension unloading (SU)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upon the development of the neonatal spinal cord. For this study, the neonatal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I, and an experimental group II. The SU for experimental group I and II was applied from postnatal day (PD) 5 to PD 30, and the NMES for experimental group II was applied from PD 16 to PD 30 using NMES that gave isometric contraction with 10 Hz for 30 minutes twice a day.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SU and NMES, this study observed neutrophin-3 (NT-3) and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2 (MAP2) immunoreactivity in the lumbar spinal cord (L4-5) at the PD 15 and PD 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PD 15, lumbar spinal cord of experimental group I and II had significantly lower NT-3 and MAP2 immunoreactivity than control group. It proved that a microgravity condition restricted the spinal development. At PD 30, lumbar spinal cord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I had significantly higher NT-3 and MAP2 immunoreactivity than experimental group I. It proved that the NMES facilitated the spinal development by spinal cord-skeletal muscle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ght bearing during the neonatal developmental period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uromuscular development. Also, the NMES on its target skeletal muscle can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the spinal cord system with a full supplementation of the effect of weight bearing,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neonatal developmental proc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spension unloading (SU) and electrical stimulation upon the development of neonatal muscular system. For this study, the neonatal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I, and an experimental group II. The SU for experimental group I and II was applied from postnatal day (PD) 5 to PD 30. The electrical stimulation for soleus muscle of experimental group IIwas applied from PD 16 to PD 30 using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which gave isometric contraction with 10 pps for 30 minutes twice a day.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SU and ES, this study observed myocyte enhancer factor 2C (MEF2C)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mmunoreactivity in the soleus muscles at PD 15 and PD 30. In addition, the motor behavior test was performed through footprint analysis at PD 30.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t PD 15, the soleus muscles of experimental group Iand II had significantly lower MEF2C, VEGF immunore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It proved that microgravity conditions restricted the development of the skeletal muscle cells at PD 15. At PD 30, soleus muscles of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I had significantly higher MEF2C, VEGF, immunoreactivity than experimental group I. It proved that the NMES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the skeletal muscle cells. At PD 30, it showed that SU caused the decrease in stride length of parameter of gait analysis and an increase in toe-out angle, and that the NMES decreased these vari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ght bearing during neonatal developmental period is essential for muscular development. They also reveal that NMES can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muscular systems by fully supplementing the effect of weight bearing,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neonatal developmental process.
This study presents the new dispatching rules of job shop scheduling with unbalanced machine workloads to decrease mean flow time and mean tardiness. The proposed dispatching rules consider the information related to work remaining, modified job due dates, modified operation due dates and machine workload. The performance of the new dispatching rules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existing rules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at different levels of workload imbalanced. The results can be useful to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of job shop scheduling with unbalanced machine workloads.
The assembly line balancing problem has been focused by many research works becaus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assembly line might influence not only the quality of the products but also the working conditions for the workers. This paper deals with U
본 연구에서는 천수만유역을 대상으로 오염부하량을 산출하고 연안을 관리하는데 Gli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오염원 관리의 단위인 유역 범위는 하계망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길이, 차수, 유역면적 등을 고려한 후, 수치지도에서 DEM을 이용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천수만 유역은 총 6개의 단위유역과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으며, 단위유역과 소유역별 오염부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각 유역에서 산출된 오염부하략은 오염원 관리 측면에서 유역구분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자료로 활용되며, 수질측정 및 환경기초시설의 입지 선정에도 이용 가능하다.
This study presents the new dispatching rules of job shop scheduling with unbalanced machine workloads to decrease mean flow time and mean tardiness. The proposed dispatching rules consider the information related to work remaining, modified job due dates, modified operation due dates and machine workload. The performance of the new dispatching rules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existing rules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at different levels of workload imbalanced. The results can be useful to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of job shop scheduling with unbalanced machine workloads.
유기물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회분식으로 운전한 MBR (membrane bioreactor)시스템에서 미생물농도와 슬러지 부하량이 막오염과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막오염은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농도 증가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효과는 비포기 조건보다 포기 조건에는 좀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MLSS 농도는 막오염에 직접적인 커다란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지나치게 높은 MLSS에서 유도되는 낮은 슬러지 부하에서는 막오염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조건에서는 포기에 의한 막 세척 효과도 크게 줄어들었다. 미생물의 개별 활성도는 슬러지 부하가 감소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응조 전체 활성도 또한 17,000 mg/L 이상의 높은 MLSS로부터 유도되는 낮은 슬러지 부하율에서는 높은 미생물 농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감소했는데 이는 기질 부족으로 인한 경쟁으로 활성도가 떨어지고, 용액의 점성 증가로 인해 산소 전달율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조조가온기간이 시설오이의 생육과 수량 및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일출전에 난방온도를 올려서 12℃에서 16℃로 올려서 가온하는 기간을 2시간, 1시간 및 0시간을 비교하였다. 보온커텐을 열기 직전(08:50~09:00)의 엽온은 조조가온을 하지 않는 것에 비해 1시간 가온이 3.3℃, 2시간 가온이 4.1℃각각 높았다. 오이 잎의 광합성, 기공전도도 및 증산량은 2시간 조조가온이 가장 좋았으나 1시간 가온과의 차이가 근소하였고 조조가온을 하지 않은 것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오이 잎의 무기성분함량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2시간, 1시간, 0시간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정식 이후의 초기생육은 1시간과 2시간 가온이 비슷하게 빨랐으나 조조가온을 하지 않는 것은 현저히 저조하였다. 과실 수량은 조조가온을 하지 않는 것에 비해 1시간 가온이 11%, 2시간 가온이 15% 각각 증가되었다. 연료소모량은 조조가온하지 않는 것에 비해 1시간 가온이 12%, 2시간 가온이 22% 각각 많았다. 생산물의 증수량과 연료소모량을 감안할 때 조조 가온하지 않는 것에 비해 가온한 것이 경영상 유리하였다.
본 연구는 슬관전 신전 직전에 수행된 선행 슬관절 굴곡이 슬관절 신전근의 최대 근력발생 및 근육 활성도(activ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16명의 정상인이 Cybex II 등속운동기구에서 3가지 다른 운동 속도(, , )와 2가지 다른 근육 활성 조건(선행부하가 없는 조건과 선행부하 조건)에서 슬관절의 최대 신전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선행부하 없는 조건에서는 슬관절 굴곡 상태에서 까지 최대 신전을 수행하도록 하였
지중냉각이나 양액냉각과 같은 근권부 냉각은 뿌리의 활력 증진, 양수분 흡수력의 향상, 작물체온의 강하 및 고온스트레스의 감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온실 전체를 냉방하는것 보다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중냉각시스템을 경제적인 고온극복 방법중의 하나로 생각하고, 기술을 체계화하기 위한 시도로 지중냉각시스템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여 냉각부하를 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중열류 측정자료로부터 힘수비에 따른 토양의 열전도율을 분석하였으며, 함수비 19~36%의 범위에서 열전도율은 0.83~0.96W.m-.℃-로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일사량, 지표온도 및 기온의 관측치로부터 일사량에 따른 지표온도 상승을 회귀분석한 결과 거의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지표온도는 실내 수평면 일사량 300~800W.m-2 범위에서 작물이 없는 경우 3.5~7.0℃,작물이 지표면을 거의 덮고 있는 경우 1.0~2.5℃ 정도 기온보다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온실의 설계기온과 냉각설정 지온, 일사량 및 토양의 함수비에 따른 지중냉각시스템의 냉각부하를 구하였다. 실내일사량 300~600W.m-2 , 토양함수비 20~40%의 범위에서 기온과 지온의 차이를 10℃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46~59W.m-2 의 냉각열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정확한 설계자료의 구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별 실험을 추가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study the change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after the operation of Mokpo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MMSTP) an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MMSTP operation to the improvement of marine 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the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from land in dry weather were surveyed and estimated on the bases of the seasonal flow rates and the seasonal water qualities of streams and effluents located around Mokpo harbour from summer, 1997 to spring, 1998 before the operation of MMSTP, and the pollution loads of the inflow and the effluent of MMSTP were also surveyed and estimated from winter, 1998 to spring, 1999 after the operation of MMSTP. The treatment rates of MMSTP were shown to be about 49% in COD, 76% in TSS, 79% in VSS, 3% in T-N, 7% in DIP, 29% in T-P and -32% in DIN. The change rates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the inner harbour of Mokpo due to the operation of MMSTP were shown to be about 56% In COD, 78% in TSS, 84% in VSS, 45% in DIN, 22% in T-N, 34% in T-P and -14% in DIP. The contribution rates of MMSTP operation to the reduction of total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the entire Mokpo harbour were found to be about 3% in COD, 3% in 755,5% in VSS,1% in DIP, 3% in T-P and -1% in 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