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도로중 PMS가 구축된 도로는 현재, 고속도로와 국도가 있다. 그러나 많은 시(市)에서 도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시도로 PMS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단위에 적용가능한 Prototype PMS 전산시스템을 개발 제시하였다. 개발한 PMS는 기본적으로 PC 수준에서 운영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GIS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포장상태나 유지보수 현황 및 계획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본 PMS의 기능상 구성은 크게 조회, 분석, 자료관리, 출력 부분으로 구축하였다. 특히, 분석과정의 주논리(보수우선순위결정, 보수공법결정)부분은 필요시 사용자가 각 항목의 criteria 값을 수정 할 수 있게 하여 시스템운영이 경직되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PMS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은 시도로 PMS의 규모 및 목적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PMS에서 사용된 도로 관리길이 및 위치 지정체계는 노선을 기준으로 기본 100m길이의 section으로 분할관리하였으며, 위치 지정체계 방식은 reference points 방식을 기본으로 사용하였다.
The target company of this study goes ahead with plan to adopt ERP systems. Hereupon, I want to present the issu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ERP system implement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manufacturing system, but it also discusses important issues on the selected business area. This study covers the material benefits and functionalities of ERP package,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studying and understanding on business process, organization change manage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is case study start with a long-term plan and consider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on eye-hand coordination in a child with cerebral pals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ye-hand coordina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oing without pretreatment with the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with time-dependent fashion with a cerebral palsy child
2) A most increased part of eye-hand coordination activities was a large heavy objects and a least increased part of those was a writ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is a most useful therapy for a child with cerebral palsy having incomplete eye-hand coordination activity functionally.
Product Liability(P.L) is designed for system which charge with a compensation for demages that has nothing to do with whether manufacturer make a mistake or not in that case suffer heavy losses anyone of body or property by defect of product. Now and then, most people interest of safety of product and main countries already carry out Product Liability. This paper analyzes newly studied cases by defects, products, countries in Korea and some developed countries (USA and Japan mainly) in order to prepare for Product Liability, which will be enforced on July 1, 2002 in Korea. Before P.L. began to enforce, many cases have happened and resulted in sues. Therfore, each country have revised the current P.L. after many trials and errors. From this respect,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and Korea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gion of Southeast Asia had already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nd cultural change before the East Asia region did. None the less, nowadays shophouses and rowhouses still form the major portion of streets in Chinese town in Southeast Asia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aptation process of shophouse and rowhouse in the Southeast Asia region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iddle of 18th and the early of 20th, which Chinese people of the region inherit and develop, for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cultural adaptability and regionalism of Chinese architecture in Southeast Asia. The common fact found in the Southeast Asia region is that Chinese people in countries of this region gradually started to live densely as a group in a certain zone in city area since they got to play important roles in commerce, trade and service works related with cities, due to European countries' advance into Southeast Asia and their construction of colonial cities in the region. Chinese people in the region utilized residential rowhouse and special shophouse, which is a kind of shop adapted from rowhouses' sitting room or storage, for their commercial and industrial activities in urban areas, which had problems of limited space. They also realized high densities through vertical expansion of space in order to adjust to changing urban structure under execution of urban planning in cities of colonial area and rapid urbanization. Even though residence of Chinese in Southeast Asia was influenced by new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rules of European colonies in Southeast Asia, it has continuously succeeded to the cultural tradition of China, their home country, in terms of planning principle which puts air well in the middle and hierarchial spacial construction method. Appearance of the open connected verandah, designed by Stamford Raffles, the founder of Singapore,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s. Hence, Chinese residence in cities of Southeast Asia can be understood as a new regional architectural culture in the context of European countries' urban planning and urbanization of colonial areas, Immigrants from southern China and their role, their adjustment to urban areas by utilizing mixed type houses of residence and business, cultural tradition of Chinese home country.
월엄범오위(月掩犯五緯)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인 천문관(天文觀)에 관하여 중학생(164명), 고등학생(157명), 대학생(172명) 및 일반인(139명)의 판단 유형과 판단 이유를 조사,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월엄범오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 방식에 동의하는 응답자들이 15.7%,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들이 38.1%, 분명히 말할 수 없다는 응답자들이 46.2%이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전통적인 천문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여 과학적으로 옳은 판단을 내린 반면, 그와 같이 판단한 중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둘째 ,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데에는, 응답자들의 집단이나 판단 유형과는 관계없이, 자연관과 과학관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판단 이유가 되었다. 특히,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유사한 관념을 지니고 있는 응답자들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다수의 경험적 자료와 실험을 통한 증명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연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반면, 중학생들과 일반인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경험을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경험과 과학 지식 또한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응답자들의 과학 지식의 차이가 판단 과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들은 개인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며, 그들이 속한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사고의 방식 또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잘 말해 준다. 따라서, 다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한 과학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학생들의 자연관과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로건설에 의한 식물생태계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도로로부터 산림 내부에 이르는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의 변화, 비탈면에 도입한 외래종의 식생천이 및 확산현황, 귀화식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도로로부터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가 도로건설로 인해 발생된 비탈면과 비탈면 끝지점에서 산림방향으로 10~20m 구간까지 종구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절개비탈면 급속녹화용으로 도입된 큰김의털(Tall Fescue) 경관 및 식물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토비탈면에 파종된 외래종들은 빗물이나 바람을 따라 산림 내부로 유입되어 햇빛이 잘 드는 계곡부나 산림 내부에 잔조하고 있어 식물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삼재관통도로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13과 35속 44종 1변종으로 45종류이었고 도로건설로 나지가 넓게 분포하는 곳이나 이용객이 집중되는 지역에서 출현종수 및 빈도가 높았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도 2002년 7월1일 시행하게될 제조물책임법(PL)에 대비해 최근 우리나라 및 선진국인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조사된 최근 사례를 결함별, 제품별, 국가별로 유형화하여 분석한다. PL법이 시행되기 전 많은 사례들이 발생하여 소송으로 제기되었고, 각 나라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의 제조물책임(PL)을 수정, 보완되고 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외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비교, 유형화시켜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