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go Haring(1882-1952) belonged to that special generation of architects born in the 1880s which became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Movement in the 1920s as W. Gropius, Mies Van der Rohe and Le Corbusier, etc. Although he have been overlooked by many historian. He was a key figure of the Modern architecture and as the main theorist for Organic stream in German architecture. He is well-known for his theory of 'Neues Bauen(New Building)', the organic functionalism that is epitomized as the design process from the inside outwards, starting with the life-processes of dwelling. So he argued that the builder must become aware of the life process his building is to serve, and he should not impose a form but try to find the form. These concepts are expressed well in his key-words, the 'Organwerk(organ-work)' and 'Leistungsform(form as achievement)'s. Haring's theory can be found in the short early essay, ""Wege zur Form(approaches to form)"" of 1925. But His concept of 'function' is based on the speciality and individual identity that concerned him from the start, not purely pragmatic aspects. After 1940s his theory moved increasingly in this direction. He defined this as the transition from 'Organwerk' to 'Gesetaltwerk', from mere anatomy to essence, being, personality, life. it suggest that Hugo Haring's idea of Gestalt is a dimension of mystical of symbolic meaning. This paper is about the way in which this theoretical transition can be parallel with contemporary philosophers as E. Cassirer's philosophy of symbolic forms and M. Heidegger's phenomenology. And the key example of this viewpoint is <Gut Garkau>(1921-1926) near Lubeck in Germany, with its 'cowshed' of pear shaped plan devised around the requirements and rituals of farm. This study presents the symbolic conception of Hugo Haring's theory can propose the ability of a symbolic intuition as a view that re-integrate technical thinking with knowledge of other kinds beyond the immediate material.
Manufacturing companies must possess a new type of production system with characteristics of reconfigurability, reusability and scalability (Dove 1995), i.e. an agile manufacturing system. Such system will allow flexibility not only in producing a variety of part, but also in changing the system itself, which is a difference form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A fundamental early step in the reconfiguring process for agile manufacturing system is to develop a model that adequately describes the proposed systems, in order to be able to study and evaluate the impact of the reconfiguring decision on the system performance, before its construction. Therefore, in this paper, an Object & Knowledge-based Interval Timed Petri-Net (OKITPN) approach is proposed.
Frequency shift, due to quartz crystal resonator aging,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quality control problems of quartz crystal products. The problem becomes more significant due to the device miniaturization and high precision standards for telecommunication applications. Since aging induced frequency shift occurs during a long time fram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long-term behavior of the devices based on the short-term data obtained under an accelerated environment. One the other hand, frequency shift is associated with quite large random variation, and thus, a proper probabilistic theory should be used for analyzing test data and for developing a reliable prediction model. Accelerated testing was performed for various types of crystal resonators under elevated temperatures. The frequency shifts of the devices were measured at different testing periods. Markov chain model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frequency shift of the devices. The obtained short-term test results were used for calibrating the probabilistic transition matrix of Markov chain model. The model can then be used for predicting the long-term frequency shift. The time-temperature superposition principle in viscoelasticity was adopted to address the shift in time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English language teaching in elementarγ school was proposed and is now in practice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which is also theoretically supported by innatists who argue that UG begins attrition around puberty and that language acquisition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beyond this period. This was proved true of first language acquisition and naturalistic SLA, but no evidence has been known about instructed second language leaming in form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ELT is supported by some parents who wish their children to leam this world language effectively, b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far from utilizing the leamers' UG: few teachers are capable of providing authentic input, so the leamers depend on their general intelligence and leaming strategy rather than UG. It is suggested that high school age is optimum for utilizing leamers' motivation, intelligence, and leaming strategy.
겨울철 체감온도는 온도와 바람에 의해 느끼는 추위의 정도를 정량화한 것이다. Siple-Passel은 최초로 바람에 의한 냉각효과를 이용하여 바람냉각상당온도를 제시하였으나 일반인에게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므로 이 논문에서 결점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Steadman 모델은 열평형(thermal equilibrium) 이론에 근거하여 보다 현실적이지만 추위의 정도를 구분하여 설명하지 못하였다. 최근 캐나다와 미국에서 개발한 JAG/TI-모델은 보다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인체실험을 반영하였으나 태양복사, 습도, 개인의 신체적 차이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나이, 사람의 활동, 건강, 신진대사 등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모델이 사람에게 적합한지는 실험 비교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야전환경에 적합한 체감온도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요리의 조리법에 대한 우수성은 관능검사의 결과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관능검사의결과는 조리과정 및 재료량에 영향을 받으며, 매번 요리의 조리와 관능검사 과정에 시간소비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최상의 조리법 및 재료량을 찾아내는 것도 쉽지만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 소비 및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대안으로써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안하였다. 퍼지이론을 사용하여 몇 번의 실험을 통한 실험 데이터로부터 퍼지 모델을 구성하고 퍼지 모델로부터 재료량 및 조리법에 따른 관능지수를 찾을 수 있으며, 최적의 관능지수가 얻어질 수 있는 재료량 및 조리법을 유추해 내는 방법이다. 퍼지 모델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재료량의 변화에 따른 관능지수의 관계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추론방법은 간략 추론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을 증편제조에 적용해 보았으며 제조법은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재료량에 따른 관능지수 변화에 제한을 두었다. 퍼지모델의 입력으로는 증편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의 양을 사용하였고, 조직, 부드러운 정도, 신정도, 씹힘성, 전체적인 특성 및 증편반죽의 pH, 중편의 pH 및 volume의 관능지수는 퍼지모델의 추론과정을 거쳐 출력부로 나오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재료의 양 및 관능지수의 변화를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 대해서 제시를 하였지만, 증편을 직접 제조하여 관능지수를 평가하지 않고 다양한 재료의 종류, 양 및 제조방법에 따른 정확하고 보편적인 관능지수를 퍼지모델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측정할 수도 있으며,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적합한 재료량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제조법의 과학화 및 전산화에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며, 식이요법이 필요한 환자의 체계적인 영양관리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표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현재 도로 설계는 기존의 경험적인 설계법에서 역학적인 설계법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환기에서 세계 많은 도로국들은 역학적-경험적인 도로 설계법을 개발하고 있고 혹은 이미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에 실제 미국 미시간 도로국에서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역학적-경험적 설계법을 개발하였다. 이 역학적-경험적 설계법의 연결 함수 (transfer function)로 사용될 소성 변형 예측 모델과 피로 균열 예측 모델도 함께 개발되었다. 여기서는 이 설계법을 개발하는데 사용된 자료와 예측 모델, 설계 알고리듬등이 소개된다. 이 설계법의 검증을 위해 기존의 경험적 설계법에 의한 설계와 새로 제시된 설계법에 의한 설계가 비교된다. 새로 설계된 설계법은 설계자 혹은 사용자가 도로 파손의 기준을 정량적으로 정함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계를 할 수가 있다.
현재 도로 설계는 기존의 경험적인 설계법에서 역학적인 설계법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환기에서 세계 많은 도로국들은 역학적-경험적인 도로 설계법을 개발하고 있고 혹은 이미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에 실제 미국 미시간 도로국에서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역학적-경험적 설계법을 개발하였다. 이 역학적-경험적 설계법의 연결 함수 (transfer function)로 사용될 소성 변형 예측 모델과 피로 균열 예측 모델도 함께 개발되었다. 여기서는 이 설계법을 개발하는데 사용된 자료와 예측 모델, 설계 알고리듬등이 소개된다. 이 설계법의 검증을 위해 기존의 경험적 설계법에 의한 설계와 새로 제시된 설계법에 의한 설계가 비교된다. 새로 설계된 설계법은 설계자 혹은 사용자가 도로 파손의 기준을 정량적으로 정함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계를 할 수가 있다.
이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지진응답을 파악하고 합리적이면서 경제적인 내진설계기준의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확하고 올바른 지진손상 평가를 위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RCAHEST이다. 재료적 비선형성에 대해서는 균열콘크리트에 대한 인장, 압축, 전단모델과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모델을 조합하여 고려하였다. 이에 대한 콘크리트의 균열모델로서는 분산균열모델을 사용하였다. 두께가 서로 다른 부재간의 접합부에서 단면강성이 급변하기 때문에 생기는 국소적인 불연속변형을 고려하기 위한 경계면요소를 도입하였다. 또한, 같은 변위진폭에 있어서의 하중재하 회수에 의한 효과를 고려하였다. 연계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지진손상 평가를 위해 제안한 해석기법을 신뢰성 있는 연구자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