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캐나다의 학교 평가제도는 주별, 지역별로 다르지만 연방정부나 주정부에서 각급학교 교육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교사들의 교과별 수업이나 평가에 관한 전문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학기중 학업 발달정도를 측정하고 지역단위로 개발된 연합고사의 결과에 대한 풀이를 하여 기대치와 성취결과간의 차이에 대한 이유를 규명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물론 지역별 교육위원회, 주정부도 학교 교육과정의 계획과 실천, 평가에 관한 많은 연구를 계속하고, 학교별 또는 지역별, 주별로 학력 표준화 검사와 학력고사용 문항들을 개발하는 일에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평가의 신뢰도, 객관도 및 타당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 40여년 동안 우리나라 중학교 영어과 교육 과정은 체제상 많은 변화를 겪으며 이제는 학습자의 인간 중심 학습이론에 근본을 두고 목표와 학년 목표, 지도 내용,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으로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목표는 거의 비슷하여 커다란 변화는 없었지만 개인적 목표와 국가적 목표에서 약간씩 표현상의 차이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