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이온 분리를 위한 운반체 지지형 (고분자/운반체) 복합막을 수면전개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막의 형상은 전개용액의 물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고분자/18-crown-6) 복합용액의 표면장력은 18-crown-6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고분자에 따른 용액의 표면장력은 PVC>PS>CA 순서로 감소하였다. 점도는 18-crown-6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VC계와 PS계 용액은 큰 변화가 없으나 CA계 용액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8-crown-6 환형고리분자는 고분자쇄 사이에서 전기적인 완충역할을 하여 고분자쇄간의 분자간력을 약화시켜줌으로써 복합 용액의 전개성을 증가시켰다. 복합박막의 표면형상은 단일박막보다 균일하였으며, 18-crown-6가 증가함에 따라 전후면은 모두 균일한 구조극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온도감응성 polyurethane을 제조하여 수분의 투과거동을 검토하고 약물방출조절용 제제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Polyurethane의 기계적 물성 및 Tg는 사용한 polyol의 분자량과 hard segment의 양을 이용하여 조절하였으며 온도증가에 따라 수분의 투과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온도변화에 따라 약물의 투과도가 변화하는 온도감응성 약물방충용 재료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개조한 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공정을 이용하여 SiC/AI 금속기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AI 모재위에 강화입자의 크기와 부피분율을 변화하여 다양한 SiC/AI 복합재료층을 제조하였고, 만들어진 복합재료층의 특성은 미세조직관찰과 미소경도시험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복합재료층의 두께는 약 7-8mm로 측정되었고 균일한 강화입자의 분포도를 얻을 수 있었다. 분산입자의 부피분률은 Ar가스의 유량에 의하여 조절하였고 분산입자의 부피분률이 증가하고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기지의 수지상 응고조직은 더욱 미세화되었다. 복합재료의 부피경도는 분산입자의 부피분률이 감소함에 따라 낮아졌으나 입자 크기에는 크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resorcinol과 formaldehyde를 이요하여 수상에서 축중합시켜 겔을 만든 후 저온 초임계 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겔 구조의 변형없이 용매를 제거하여 내무 표면적과 같은 에어로겔의 최종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형분의 농도(2-5%)를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초기 반응조건이 반응시간 및 최종물성에 변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조된 에어로겔에 100-300˚C까지 온도를 가하며 표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열을 가함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커지고 표면적이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Durable softening water repellents such as PODCW, PDDCW, and PEDCW were prepared by blending cationized polymers, fatty carbamide, waxes, and emulsifiers. The cationized polymers included poly (octadecyl methacrylate-co-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DC], poly (n-dodecyl methacrylate-co-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DDC]and poly (2-ethylhexyl methacrylate-co-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EDC]. After the PET fabrics were treated with these water repellents, water repellency, softness, and durability of the PET fabrics were examined by various methods : water repellency by the hydrostatic pressure and the contact angle methods, softness by crease recovery and tearing strength, and durability by washability, respectively. Rating of water repellency of PET fabrics treated with PODCW was 80+, but those treated with PDDCW and PEDCW were not high enough to be used in industry.
EMA-co-DAMA were synthesized from 2-diethylaminoethyl metacrylate and ethylhexyl metacrylate in acrylmonomer. To facilitate water emulsification, acrylic copolymer was cationized by acetic acid to produce acetated acrylic copolymer. The structures of the synthesized copolymer and acetated copolymers were confirmed by IR, NMR, and molecular weight was measure by GPC, and C.H.N elemental analysis. Acetated acrylic copolymers were perfectly emulsified in water and showed increased emulsion stability.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PDCM-PED) water proof agent of cement for concrete in building construction] was prepared by blending of the guaternized acrylic copolymer syndisized above, sodium silicate, sodium gluconate and oleic acid emulsion. The result with prepared polymer dispersion of cement modifier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excellent waterprooffing effect ; Water permeability ratio is 0.50 under the water pressure of 100g/cm2 and 0.60 under 3kg/cm2, and water absorption ratio is 0.42~0.50 and 1.0~1.02 compressive strength ratio at mixed of water/PDCM-PED is 50 times.
전기화학법 중 음극환원법을 이용하여 0.005M TiCI4수용액으로부터 수화물 형태의 TiO2박막을 제조하였다. TiCI4수용액에 첨가제로 에탄올을 50vol% 첨가하여 균일한 박막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전류밀도와 시간에 따라서 박막의 두께와 미세구조가 변화하였다. 성장속도가 큰 조건에서 얻은 박막은 균질성의 감소로 인하여 건조과정이나 열처리 중 다량의 균열이 발생하였다. 일정한 전류밀도ㅇ에서 반응시간의 증가에 따라 박막의 두께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mA/cm2의 전류밀도에서 3분 동안 반응시켜 약 0.7μm 두께의 우수한 TiO2박막을 얻을수 있었다. 이러한 박막은 800˚C에서 한 시간 열처리 한 결과, rutile 단일상으로 결정화되었다.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changes of the typical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Kwahaju,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nd after aging, respectively. They were prepared by their own brewing methods with respect to the same contents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The consumed total sugar content of the alcoholic beverages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hich were brewed with the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ABMI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lcoholic beverage (Kwahaju) which was brewed with the single input step (ABSIS). The pH values of all the beverages were similar and were ranged from 3.2 to 3.6. The acidity of ABMIS were lower than that of ABSIS, but alcohol concentration of ABMIS were higher. The fermentation period of the alcoholic beverages with triple input steps was the longest among them. The inner temperature and microbial growth in all the beverages increased at each of input steps of the raw materials. Fusel oil content of ABMIS was lower than that of ABSIS. Major components of the fusel oil were iso-amyl alcohol, iso-butanol, n-propanol, ethyl acetate and acetaldehyde, and its minor components were methanol and n-butanol. The results on quality changes of the alcoholic beverages after aging showed increase of alcohol in ABMIS, but decrease of sugar and acidity. Fusel oil contents of Kwahaju and Samhaeju decreased to be ranged from 3.1% to 13.9% after aging, but those of Sokokju, Baikhaju and Hosanchun increased to be ranged from 10.9% to 23.0%. Sensory evaluation of ABMIS showed better scores than that of AB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brewing method with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was one of the methods to increase fermentation efficiency for brewing the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의 적용을 위한 SrBi2Ta2O9(SBT)박막이 고순도의 Sr, Bi, Ti 금속타겟을 사용하여 Pt/Ti/SiO2/Si 기판 위에 reactive sputtering 법에 의해 증착되었다. 조성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Bi 타겟에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와 열처리에 따른 C-F(capacitance-frequency), P-E(polarization-electric field), I-V(current-voltage)등의 전기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Bi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Bi layer 구조를 나타내는 (105)회절 피크가 증가하였고 700˚C, 산소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후 Sr과 Bi가 심하게 휘발되었으며 박막의 미세구조는 다공질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열처리된 박막의 누설 전류 밀도는 증가하였다. 열처리된 시편의 조성은 거의 화학양론비를 이루었으며 4.5μC/cm2의 Pr값을 갖는 강유전(ferroelectric)특성을 나타내었다.
사염화우라늄을 제조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반응계는 이산화우라늄, 염소가스와 탄소분말이다. 여러 가지 실험변수 가운데 이산화우라늄의 염소화반응에 사용된 염소가스 주입량과 탄소의 양이 사염화우라늄 제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각각의 실험변수들에 대한 전화율과 휘발률 계산을 통해 효율적인 반응을 위한 적정 염소가스 주입량과 탄소의 양을 구하였고, 이산화우라늄의 증가함에 따라 직접접촉에 의한 기체-고체반응에서는 전화율과 휘발률은 증가했으나 이후 과량을 첨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용융염내의 기체-액체반응에서는 전화율의 미미한 증가와 휘발률의 감소를 확인하였가. 염소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화율과 휘발률이 증가했으며, 과량의 염소가수 주입시 고이온가 염화물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하는 입자크기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공정조절이 쉽고 균일한 입자를 얻을 수 있는 막유화법을 이용하였으며, 유화제의 종류와 양, 첨가제의 양, 압력 등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제조된 라텍스의 입자크기와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homogenizer를 이용한 직접유화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막투과 모델을 고찰하기 위하여 Harkins-Brown 식에 의해 이론적인 drop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물대비 0.2 wt% 이상의 유화제 함량에서 안정한 라텍스를 얻을 수 있었고, 입자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자는 막표면의 기공 크기임을 알 수 있었다.
(Phase 상전환법(Inversion Process)을 이용하여 polysulfone(PS) 용액으로부터 분리막이 제조되었다. PS와 n-methylpyrrolidone(NMP)로 이루어진 제막용액(casting solution)에 비용매인 propionic acid(PA)가 첨가되었을 경우, 주조된 용액 필름은 순수한 NMP만을 용매로 사용하여 주조된 것보다 비용매 욕조에서의 침지가 촉진된다. 침지용 비용매를 물로부터 isopropanol로 교체하여도 이같은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PA의 첨가에 의해 제막용액의 비용매 허용치가 크게 감소하는데 기인한다. 3wt% PS 용액으로부터 생성된 PS 분말은 가스흡착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을 때 많은 모세관 응축(capillary condensation) 영역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NMP를 용매로 PS의 농도가 15wt%인 주조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분리막의 가스흡착 및 투과도 특성은 다음과 같다. Isopropanol에 침지되어 형성된 막의 경우, 아주 적은 양의 질소가스가 흡착되었으며, 모세관 응축 영역은 분리막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물로 침지하여 제조된 분리막에서는 질소가스의 흡착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가스 흡착량의 증가는 막에 형성된 모세관 응축 영역에 기인하며, 분리막의 투과특성은 한외여과(ultrafiltration) 영역에 일치한다. 용매에 PA가 추가되어 준비된 제막용액으로부터 형성된 분리막의 경우, 침지용액(isopropanol 또는 물)에 관계없이, 가스흡착분석을 통해 측정되었을 때 Henry's law 영역이나 Languir 영역의 뚜렷한 증가는 확인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supernodule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모세관 응축 영역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비례하여 물의 투과도도 현저히 증가하였다.z)를 나타내었다.월 후에 역 행성으로 확장된 박리로 Bentall술식을, 1례의 DeBakey type I의 환자에서 상행대동맥대치수술 후에 1달 뒤에 나타난 대동맥판폐쇄부전의 소견으로 재수술을 Bentall술식으로 시행하였다.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ballot 4징증은 A군 (23.2%), B군(16.1%), 10kg 이하의 환아의 수술사망률은 A군(31.6%), B군(20.5%)로 B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A군과 비교시 B군에서 10kg이하의 환아의 많은 증가를 보이면서 오히려 사망률은 감소하였고, 질환별로는 특히 활롯씨 4징증의 사망률 감소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선천성 심장병의 수술 성적이 근래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 있다.며 이러한 활성산소 방어효소의 활성증가는효소단백의 광합성 증가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pathy가 각각 1예씩 있었다. 본 저자들은 비디오 흥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의 제거를 비교적 안전하게 하였으며 입원기간도 짧 고 수술과 관련된 이병율 및 사망율도 적어 환자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비디오 흥강경수술이 종격동종 괴 절제시 에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사료된다.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상관식 : PAI : MGRxl18.0-12.4. 결론적으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이 동맥혈내 산소포화도는 증가시키나 폐동맥 지수는 단기간의 본 연구에서는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박동성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 술이나 또는 Blalock-Taussig 단락술등이 폐동맥의 성 장에 미치는 영
국내의 초순수 제조장치는 90% 이상이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이온교환법과 UF, R/O System과 같은 Membrane을 사용하는 Membrane System을 병행하여 적용하고 있다. 국내 초순수처리 Plant에서는 통상 전처리 System과 1차 순수제조 System및 초순수 System이 상호 연결되어 Plant가 구성 운영되고 있다. 전처리 System에는 응집침전, 여과 흡착, 살균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여과 System에 Membrane을 적용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처리 여과 System에 Media Filter를 사용한다. 전처리 System도 순수처리 장치의 전처리로는 없어서는 안되는 System이지만 여기에는 전처리 System을 제외하고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초순수처리 System의 공정현황과 각 System별 특징을 설명하였다. 초순수 System에는 요구 수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반도체 공업에서 사용되는 초순수 System이 이중 최고의 Grade로 반도체공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System을 기준하였다. 특히 Membrane을 적용한 초순수제조 System이 증가하고 있어 R/O, ED, EDR, CDI(EDI)와 같은 Membrane System의 특성과 원리를 검토하였다.
A series of test were undertaken in order to estabilish the effect of different milling variables on dimension and quality of aluminium flake powder. Milling conditions such as initial powder size, milling container rotation speed, milling time, and ball size were varied to produce aluminium flake powder. Flake powder could then be obtained with size range from 15 m to 40 m with a maximum specific surface area of 5 /g by controlling milling conditions. Diameter of milled powders with different milling container rotation speed and ball size were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theoretical model. The best flake powder was obtained in milling condition of initial powder with average size of 19 m, mill container rotation speed of 80 rpm, balls of 9.5 mm diameter, and milling time of 40 hours.
The exhaust gas from vehicle engines and industrial boilers contains considerable amount of harmful nitrogen monoxide(NO) which causes air pollusion and acid rain. To remove NO catalytic reduction processes using Cu ion exchanged ZSM-5 zeolite have been widely studied.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fabricate Cu/zeolite catalyst by using high energy ball mill.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ball milled Cu/ZSM-5 zeolites is analyzed and optimum copper contents was determined. The processing variables were reaction temperature and copper contents. Complete removal of NO gas was obtained at the temperature of 553 K on 10wt.% CU/ZSM-5 mechanically alloyed composite powders. Mechanically alloyed CU/ZSM-5 catalyst showed homogeneous distribution of Cu in ZSM-5.
결정 성장 조절체를 이용하여 수용액 중에서 직접 α산화철을 제조하였으며, 염기도에 따른 생성물의 입자 특성과 반응기구, α산화철의 생성 과정과 침상형 입자의 생성 반응 기구를 고찰하였다. pH 9.0이하에서는 hexagonalgudxo, pH 10.75-11.75범위에서는 ellipsoidal 또는 rectangular 형태의 α-Fe2O3입자로 각각 생성되었으며, pH12.50이상에서는 acicular 형태의 α-FeOOH입자가 생성되었다. pH 10.75-11.75범위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염기도는 결정 성장 조절제의 해리에 의해 생성된 수산기 이온(OH-) 때문에 반응물의 염기도에 대비해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결정 성장 조절제로 사용한 구연상은 제이철 수산화물에 구연산 음이온(R-COO-) 형태로 흡착되어 생성물인 α산화철의 입자 형태를 침상 형태로 유도하였다.
The procedure to prepare an acrylic emulsion water repellents by blending of arcylic copolymer, activated polyethylene, wax, and emulsifiers was published in the previous paper. After the treatment of the prepared water repellents on a cotton fabrics with and without textile finishing resin, washability, contact angle, tearing strength, and crease recovery were tested. As the result, there were remarkable improvements in physical properties. Proper curing temperature of the synthesized water repellents impellents was 150℃ : proper using concentration was 5wt% : sodium acetate was the best catalyst for water repellents among the used, and proper concentration was 1.0w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