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54.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primary infection with Toxoplasma gondii is usually asymptomatic, but some patients may have cervical lymphadenopathy and ocular disease. Toxoplasmosis is a common cause of lymphadenopathy. Howeve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to diagnose it usually does not reveal toxoplasmic cysts. Diagnosis of toxoplasmosis can be established by serological techniques or by direct detection of the para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oxoplasmic lymphadenitis and to confirm by serological or PCR results for toxoplasmosis. We describe histopathologic features of a case of toxoplasmic lymphadenitis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confirmed by serological evidence in a 50-year-old man.
        55.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과적으로 정소를 제거하는 물리적 거세와 약물을 이용한 화학적 거세는 의학적 치료나 연구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흰쥐 정소에 20%의 고장성 식염수를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외과적 거세와 유사한 수준까지 저하되어 화학적 거세 상태에 들어감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고장성 식염수를 정소에 직접 주사함으로서 나타나는 염증반응으로 인해,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보다 낮은 농도의 식염수를 주사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와 효용성을 조사하고자,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성체 수컷 흰쥐에 멸균한 5%, 10%, 20% 생리 식염수를 정소 당 500 ㎕씩 직접 주사하여 농도별 식염수 주사군(saline-injection)과 대조군(control)로 분류하고, 실험군의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주사 후 1주 뒤에 모든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한 후 희생하였다. 각 실험군의 체중 변화와 조직 무게 변화를 비교하였고, 생식기관인 정소, 부정소, 저정낭, 전립선은 Hematoxylin & Eosin 염색법을 사용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정소 무게는 5% 주사군과 2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10% 주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부정소의 경우 20% 주사군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저정낭의 무게는 10% 주사군과 2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립선의 경우 20% 주사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타 조직에서는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비장의 무게가 1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신장은 2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10% 주사군과 20% 주사군의 정소에서 전체적인 형태 변화와 세정관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부정소는 20% 주사군의 경우 도관 내 정자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저정낭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내강이 감소하며 위축되는 양상을 보였다. 전립선은 20% 주사군에서 확연한 내강의 감소와 도관의 격리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보고된 정소 내 식염수 주사모델의 독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보다 낮은 농도에서의 효용성을 조사하고자 한 것이다. 생식 기관의 조직학적 조사를 통해 비교적 낮은 농도의 식염수 주사모델이 기존의 20% 식염수 주사 모델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화학적 거세모델과 유사한 거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6.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사춘기 전후 시기의 수컷 흰쥐의 성 성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반적인 사춘기 시기에 이루어지는 수컷 흰쥐 생식기관의 발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컷 흰쥐의 성 성숙 발달 지표인 Anogenital distance(AGD)에 근거하여 사춘기 개시시기인 생후 25일부터 완전한 성 성숙이 이루어진 생후 50일 경까지 수컷 흰쥐에서 이루어지는 생식기관의 조직학적 발달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완전한 성체인 생후 70일의 수컷 흰쥐의 생식기관과 비교하였다. 생후 25일의 수컷 흰쥐를 5일 간격으로 생후 50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성체인 생후 70일의 수컷 흰쥐도 함께 조사하였다. 오전 10시에 체중을 측정한 후 일괄 희생하여 생식기관 무게 및 AGD를 측정하였다. 정소를 포함한 부속생식기관들은 Hematoxylin & Eosin 염색법을 사용하여 조직학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체중은 생후 25일부터 생후 70일까지 유의하게 증가(P<0.01)하였으며, 정소와 부정소의 무게 또한 생후 25일부터 생후 70일까지 유의하게 증가(P<0.01)하였다. 저정낭은 생후 25일부터 생후 45일까지 점차적으로 증가(P<0.05)하다가 생후 50일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다(P<0.01). 전립선의 경우 생후 25일부터 생후 35일까지 점진적으로 증가(P<0.05)하다가 생후 40일부터 급격하게 증가(P<0.01)하였다. AGD는 생후 25일부터 생후 70일까지 유의하게 증가(P<0.01)하였다. 조직학적 조사 결과, 정소는 생후 25일부터 점진적인 성숙으로 인해 세정관의 크기가 커짐이 관찰되었고, 생후 45일까지는 세정관 내 정자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생후 50일부터 세정관 내 정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정소 역시 점차적인 성숙으로 인해 생후 25일부터 도관의 내강이 커져 면적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생후 50일부터 도관 내 정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전립선과 저정낭의 경우 생후 25일부터 생후 70일까지 내강의 면적이 증가하여 점진적인 성숙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GD 측정을 통해 생후 25일부터 꾸준한 정소하강이 발생하여 생후 50일부터는 완전한 성 성숙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학적 연구를 통해 생식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성 성숙과 실제로 정자가 형성되는 시기를 확인하였다. 이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수컷 포유류의 사춘기 개시에 이르기까지의 생식기관의 성숙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수컷 포유류의 사춘기 개시에 관여하는 다양한 조절 인자의 기능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7.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멜론으로부터 체세포배를 얻기 위하여 유식물체의 배축 절편을 1 mg/L 2,4-D와 0.5 mg/L BA가 혼합첨가된 MS배지 치상하여 6주 동안 배양하였다. 배축절편으로부터 연한 노란색의 부드러운 캘러스 형성을 거쳐 형성된 체세포배중에는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적인 형태의 체세포배(26%)와 합생 자엽을 갖는 나팔형의 비 정상적인 체세포배(74%)가 관찰되었다. 정상 체세포배의 하배축 부위에서는 원형의 전형성층 조직이 발달되었고, 자엽 절 부위로 이동되면서 점차 독립적으로 나뉘어져 자엽에서는 완전히 2개의 전형성층 조직으로 분화하였다. 그러나 합생 자엽을 갖는 나팔형의 체세포배에서는 하배축에서 발달된 원형의 전형층조직이 자엽 절과 자엽부위에서도 원형의 전형성층 조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 및 합생 자엽을 갖는 비 정상 체세포배 tunica-corpus구조를 볼 수 없었으며 전형적인 dome구조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 조직의 분화는 자엽형성 및 유경조직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58.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요인의 위해성 평가에 이용되는 biomarker 가운데 생식 및 조직학적 지표들은 독성물질에 의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평가하는데 중요하게 이용되는 항목이다(Huggett et al., 1992). 수질 오염원으로 확인되는 화학물질은 중금속, 난분해성 화학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내분비계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등이 있으며, 이매패류는 해양 저질과 수질의 오염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남해안 여자만에 서식하고 있는 우점종 이매패류를 이용하여 생태 건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이매패류는 여수 인근 여자만에 서식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와 진주담치, M. edulis이다. 바지락은 여자만 인근 여수 이목리와 송여자도에서, 지중해담치와 진주 담치는 여수 이목리, 송여자도, 적금도와 고흥 백일도에서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료는 조직표본을 제작한 후 Mayer's hematoxylin-eosin(H-E) 염색, AB-PAS(pH 2.5) 반응과 Long Ziehl-Neelsen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Lipofuscin의 분포비율은 화상분석장치(IMT, Virsu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체내 중금속 분석은 ICP-MS(Perkin Elmer, ELAN 6000)로 측정하였다. 바지락의 성비(♀:♂)는 여수 이목리와 송여자도에서 각각 1:1.10, 1:0.52로 나타났고, 지중해 담치와 진주담치는 여수 이목리에서 1:0.8, 1:1, 송여자도에서 1:1.25, 1:0.57, 적금도에서 1:1.67, 1:2, 고흥 백일도에서 1:0.44, 1:1.33으로 나타났다. Intersex 현상은 송여자도에 서식하는 바지락(13.8%), 지중해담치(11.1%)와 진주담치(9.1%)에서만 발견되었다. 조직학적 측면에서 intersex 현상은 반대 성의 생식세포들이 생식세포형성소낭 내부와 소낭 사이에 무리지어 나타나는 형태였다. 소화선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소화선세관을 구성하는 상피세포와 호염기성세포의 변성과 결합조직층의 변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목리와 송여자도에서 상피세포의 위축과 파괴가 관찰되었다. 소화선에서 lipofuscin의 분포비율(%)은 여수 이목리와 송여자도에 서식하는 바지락에서 각각 0.24, 3.14로 관찰되었으며, 지중해담치와 진주담치는 송여자도 7.17, 3.14, 이목리 1.16, 1.55, 적금도에서 4.81, 8.21과 고흥 백일도에서 3.51, 3.47로 확인되었다. 여자만에 서식하는 이매패류의 체내 중금속(Ni, Cr, Co, Al, Mn, Zn, Cu, Pb, Cd, As) 농도(mg/kg)는 바지락 2.49, 3.04, 0.53, 375.09, 19.25, 46.68, 8.39, 0.57, 0.34, 9.76, 지중해담치 3.93, 4.46, 0.75, 753.75, 26.72, 81.82, 7.86, 1.57, 1.54, 7.48와 진주담치 3.03, 0.69, 700.26, 28.95, 63.14, 7.87, 1.40, 1.39, 6.83로 나타났다.
        5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류의 시각 구조와 시각 기능 연구에 있어서 행동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은 시각생태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볼락, Sebastes inermis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초기 눈의 성장 및 발달에 관한 발생생물학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음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볼락의 전장, 두장, 두고, 눈의 직경과 수정체 직경은 산출 직후부터 산출 후 60일까지의 단계에서 양성의 상관관계(positive allometry)를
        60.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킬화제로 잘 알려진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는 여러 종에서 선택적인 Leydig 세포(LC) 독성과 정소 기능장애에 연구 모델로 널리 사용된다. EDS 투여에 의해 유도된 LC 녹아웃 흰쥐의 경우, 부정소와 저정낭과 같은 테스토스테론 의존성 부속 생식기관들의 급격한 무게 감소가 초래됨이 이전의 연구들에게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EDS투여가 흰쥐 부속 생식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생체 수컷 흰쥐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