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기에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출산친화적 가치관 형성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저출산 및 가치관 교육과 관련된 연구, 출산친화적 가치관형성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와 함께 누리과정의 사회관계영역과 자연탐구영역의 나와 가족, 사회, 생명체에 관한 세부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이론을 확립한 후 활동안을 개발하였고 각 회기마다 Active코칭 대화모델 6단계를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총 12회기의 출산친화적 가치관 형성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2인과 함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출산친화적 가치관 형성 코칭프로그램의 내용은 총 12회기로 이루어졌으며 언어, 인지가 발달한 만 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1-4회기는 결혼가치관에 관한 내용으로 결혼을 주제로 브레인스토밍, 이야기나누기, 미술, 편지쓰기, 역할극 등 다양한 활동내용과 학습목표를 제시하였으며, 5-8회기는 가족가치관에 관한 내용으로 문학, 이야기 나누기, 역할극, 미술활동 등을 통해 부모의 소중함과 고마움, 9-12회기는 자녀가치관으로 이야기나누기, 문학, 역할극, 미술, 탐색활동을 통해 형제와 사이좋게 지내고, 형제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통해 존재를 인정해 주는 것을 활동목표로 하여 회기별 활동안을 구성하였다. 각 회기마다 Active코칭 대화모델 6단계를 적용하여 교사가 유아의 의견을 존중하고, 유아가 자유롭게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피드백 한다.
        5,700원
        2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쇠살모사의 생활사 전략을 밝히기 위하여 생식주기, 한배의 출산수 및 이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야외조사는 2006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제주도 본섬에서 이루어졌으며, 생식주기는 2009년 3월에서 2010년 12월 사이에 실험실에서 정소와 난포의 크기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쇠살모사의 정소와 난포의 크기는 계절적으로 뚜렷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관에 들어있는 알의 수는 오른쪽(2.6±1.0개, n=16)이 왼쪽(1.8±0.5개, n=16)보다 많았다(t=-2,721, p<0.05). 생존한 새끼의 수(SLS)는 4.4±1.7마리(1~9마리)로 총 새끼의 수(TLS) 4.7±1.5마리(3~9마리)보다 약간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난관에 들어 있는 알의 수와도 유사하였다(t=0.039, P>;0.05). 상대적인 새끼의 체중(RCM)은 0.42±0.13 (0.18~0.79, n=33)으로 나타났으며, 출산전 어미의 몸 상태(MCPP1)가 양호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출산시 새끼의 성비는 암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1.15:1, n=73; χ2-test, χ2=0.342, P>;0.5). 한배 새끼의 체중은 출산전 어미의 체중(MMPP1, r=0.387, P<0.05, n=33)과, 몸길이는 어미의 몸길이(r=0.399, P<0.05, n=33) 및 MMPP1(r=0.344, P<0.05, n=33)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새끼의 평균 체중과 어미의 몸길이와는 유의확률에 근접하였다(r=0.323, P=0.067, n=33). 이것은 어미의 몸 크기가 클수록 더 큰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뱀에서 한배의 출산수가 많을수록 새끼의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으나 쇠살모사는 이러한 교환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종 고유의 특이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쇠살모사의 생활사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4,200원
        23.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o Nam-min 2012. A Study on The Emergence of Terms for Female Body, and Changes in Perspectives - with focus on female words such as pregnancy, delivery, and womb.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425-446. This research studies emergence and changes of female words, especially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womb, through analysis of medical books and female literature in Chosun dynasty and modern enlightenment era. It studies how females recognized their bodies and gender differently from Chosun dynasty’s patriarchal system to rapidly changing modern enlightenment period. Birth (and delivery) is one of the indispensable steps of human life, and the whole process of pregnancy and delivery is closely related to pregnant mother. Through pregnancy and delivery, infants and mothers attain new social status,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 significant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As a consequence, while related literatures such as medical books published in Chosun dynasty were focused on being pregnant and delivering infant, those published in modern era paid more attention to pregnant mothers’ body and health. It was thanks to the import of western medicine and enhanced scientific understanding of pregnancy and delivery. More frequent mention about female health and body were found in modern female and family literature, and it was found that perspective on and understanding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infant care were changed. It was the results of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females given that perception on bodies are developed and defined in social and cultural ways.
        5,800원
        24.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사회는 고령사회와 더불어 출산률이 낮아지며 저출산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저출산 시대에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발전방안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특히 여성의 관점에서 다자녀 출산을 위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저출산 시대의 문제점으로는 경제성장의 위축, 세대 간의 갈등 심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고용 관계에 영향, 재정 및 산업구조의 영향, 복지부문에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저출산 시대의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발전방향으로는 양성평등에 의한 인식 수준 개선,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 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른 지원 확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와의 일관성 있는 정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은 현재의 국가발전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국가의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서 반드시 개발․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출산의 근본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보다 전문적인 기구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정책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4,500원
        25.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모든 종류의 곰에 있어서 태아성장(embryonic growth)은 약 2개월 걸리지만, 착상지연(着床遲延/ delayed implantation) 현상에 의해서 전체적인 임신기간은 훨씬 길다. 곰은 보통 여름에 짝짓기를 하지만, 수정란(fertilized egg)이 자궁 속 에 착상되는 것은 통상 먹이를 충분히 취하여 영양상태가 양호한 늦가을 이후, 즉 동면 직전에 이루어진다. 영양적으 로 최고의 컨디션에 있을 때만 번식과정이 진행되며, 만일 먹이가 부족했거나 영양이 결핍되었을 경우에는 수정란 (fertilized ovum)이 몸에 흡수되어 임신이 중절된다. 이러 한 착상지연 현상은 짝짓기 기간과 출산시간을 최적화 (optimizing)하기 위하여 자기 신체의 생리를 자연환경에 절묘하게 적응시킨 결과이며, 박쥐, 밍크, 오소리, 스컹크, 노루, 캉가루, 바다표범 등에서도 나타난다(Renfree et al. 1981). 보통 암컷새끼는 어미 곰의 영역 내 또는 주변에서 살지 만, 수컷새끼는 자기영역을 개척하러 멀리 나간다. 이 때 분산 활동에 나서는 어린 수컷 곰의 사망률이 매우 높은데, 분산(독립)활동에 나서는 젊은 곰(특히 수컷 곰)들은 호기 심은 많으나 경험이 없어 농작물, 야영장 등에 접근하거나, 다른 어른 곰들의 영역을 피하여 서식지의 경계선(marginal habitat)에서 주로 활동하여 사람과 충돌하는 수가 많아 쉽 게 죽음(사냥)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Kevin Van Tighem, 1999). 새끼 곰은 출생 이후 수 개월간 가장 위험한 상황에 처해 지며, 따라서 어미로부터의 세심한 보호가 필요하다. 아메 리카흑곰의 경우 대체적으로 새끼 곰 25%가 생후 1년 이내 에 사망하며, 1년을 넘긴 어린 곰 중 33%가 다음 해에 사망 한다. 따라서 3년 이상을 생존하는 새끼 곰은 50%에 불과하 다(Gary Brown, 1993).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9년 2월 첫 출산 개체 이후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해당 개체들의 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복원사업 추진과정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및 방법 2009년 2월 NF-08 개체와 NF-10 개체의 출산을 시작으 로 2004년 복원사업을 시작한 이후 지리산에서 활동 중인 개체들이 새끼를 출산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매년 태어나는 새끼 및 출산개체들에 대한 무선위치추적 데이터를 정리하여 Home-range 및 일일 이동거리, 활동고도 등을 분석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ArcGIS 10 및 Home-Range Tools를 사용하였고 수치지도 는 국토지리정보원의 1/25,000(GRS80)을 사용하였다. RF-18 개체의 경우 첫 동면 기간(09~10)중 2마리의 새끼 를 출산한 것으로 확인했지만 이후 발신기 장착을 위한 동 면 굴 포획 작업 시(10~11) 새끼가 한 마리밖에 없었으며, 한 마리는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RF-21 개체의 경우 아 직까지 발신기 부착을 위한 포획을 하지 않아 성별 확인을 하지 못한 상태이며, RF-25 개체의 경우 발신기 부착을 위 한 동면 굴 포획 작업 시 새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성별만 확인한 후 발신기는 장착하지 않았다. RF-21, RF-25 개체 모두 새끼와 같이 있는 것으로 모니터링 되고 있으며 11~12 동면 기간 내에 발신기를 부착할 예정이다. 결과 및 고찰 1. 행동권 분석 출산 연도는 다르지만 새끼를 낳은 그해 겨울철 행동권을 분석해 본 결과, RF-18 개체의 경우 95%MCP는 0.43㎢, RF-21 2.09㎢, RF-25 0.03㎢로 분석되었으며, 핵심지역 (Core-area)이라 할 수 있는 Fixed Kernel 50%의 경우 RF-18개체 0.31㎢, RF-21 0.67㎢, RF-25 0.02㎢로 분석되 었다. 겨울 및 봄철 행동권 크기는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지만 여름철 행동권 95%MCP의 경우 RF-18 개체가 61.92㎢로 다른 두 개체보다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수컷 개체(RM-02, RM-19)들과의 충돌 때문 인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같은 조건에서 해당개체들에 대한 집중모니터링을 통해 좀 더 명확한 이유를 밝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KM-32 개체는 2005년 7월 회수되어 증식용으로 관리하 던 RF-04 개체의 새끼로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종복 원센터 생태학습장 내에 있는 증식장에서 태어났으며, KF-33 개체는 지리산에서 활동 중인 개체들 중 RF-18 개체 의 새끼로 동면 중에 확인되었다. 다른 환경에서 태어난 개 체들 간의 평균 행동권을 살펴보면, 어미와 같이 활동하던 KF-33의 행동권이 동면중(겨울철)에는 어미가 없는 KM-32 보다 좁게 분석되었지만, 봄, 여름철 행동권은 어미 와 같이 활동하던 KF-33의 행동권이 전체적으로 넓게 분석 되었다. RF-18 개체의 행동권 역시 같은 시기의 다른 어미 개체들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아 새끼 개체들 간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분산(독립) 활동에 나서는 수컷 새끼 곰들의 행동권이 넓었다는 외국 사례와는 다른 결과이긴 하지만 샘플수가 적고 개체마다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향 후 좀 더 많은 샘플을 분석해 비교해 봐야 할 것이다. 2. 활동고도 RF-18 개체와 RF-25 개체의 경우 활동고도가 차이가 나 지만 계절별 패턴은 같은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RF-21 개체 의 경우 다른 두 개체들과는 다르게 동면 굴의 고도가 낮아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시기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같은 해에 태어났지만 태어난 환경이 서로 다른 두 새끼 개체의 경우 봄철 서식 활동고도가 차이나 많이 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겨울철 KM-32 개체의 활동고도가 좀 더 높았으나 여름철의 경우에는 KF-33 개체의 활동 고도가 좀 더 높았다. 어미가 없는 KM-32 개체의 경우 동면을 마치 고 꾸준히 활동고도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으며, 어미와 함께 활동하던 KF-33 개체의 경우에는 겨울에서 봄철 감소하다가 다시 여름철 크게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이동거리 출산 개체들 모두 겨울철 동면을 마치고 봄철을 거쳐 여 름시기동안 이동거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RF-25 개체의 경우 봄철에서 여름철 이동거리가 다른 개체 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KM-32 개체의 경우 이동거리에서도 어미와 함께 생활하는 KF-33 개체와는 전 혀 다른 패턴을 보였다. 동면시기인 겨울철 이동거리가 KF-33 개체와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은 동면을 준비하는 과 정(동면 굴 선택, 동면을 위한 먹이활동 등)이 KM-32 개체 는 쉽지 않았을 거라 사료된다. 4. 분산(독립)활동 KF-33 개체는 RF-18 개체의 살아남은 새끼 개체로써 10~11시즌 동 면굴 포획 작업시 모니터링을 위한 귀 발신기 를 부착하였다. KF-33개체의 분산(독립)활동에 대한 모니 터링 결과 2011년 5월 28일 어미개체와 완전히 분산(독립) 하였으며 이후 2011년 10월 현재 단독생활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 2010. 2009연간실적보 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 2011. 2010연간실적보 고서 신용석. 2004. 곰에관한 글모음.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남부관리 사무소 양두하. 2008.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된 반달가슴곰의 생태적 특성 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Kevin Van Tighem, 1999, Bears, Altitude Publishing : 71. Gary Brown, 1993, The great bear almanac, The Lyons Press : 139-140.
        3,000원
        29.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women’s fertility rate is rapidly declining as it goes down from 4.5 in 1970 to 1.3 in 2002. The impacts of the low fertility rate are many, e.g., the decline of Korean population, the lack of industrial man powers, the numerical rise of foreign workers, the growth of older generation, and so on. Soon Korean church will be under direct impacts of the low fertility rate as well. The present paper aims to investigate (1) the growth rate of Korean Christian pop띠 ation based on the scientific national census; (2) the rapid decline of the Korean women’s fertility rate; (3) the influence of the 1997 IMF econornic crisis upon the decline of fertility rate; (4)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ministry from missiological analysis which include counseling, silver rninistry, rninistry to corning generation, rninistry to foreign workers, and encouragement for childbe뻐ng for the Christian farnilies. What Korean churches need now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nissionary proclaim in the Book of Genesis (9: 1):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replenish the earth." Otherwise, Korean church would have a significant difficulty to maintain the present energy and enthusiasm due to the sharp decline of the Christian pop비ation in Korea near soon.
        6,300원
        31.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후조리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은 정상 임산부 54명 (대조군)과 섭취한 임산부 51명(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평균연령은 대조군이 29.3세, 실험군이 29.1세였고, 임신전 체질량지수는 대조군이 22.8, 실험군이 22.3으로 대조군이 약간 높았으나, 모두 정상범위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임신중 총 체중증가는 대조군이 19.1kg, 실험군이 17.8kg이었다. 만삭시 체중 및 출산 직후 체중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출산 1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0.4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이 0.7kg 감소되어 두 군간의 유의한 체중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출산 2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2.3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6.5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3개월 후 체중 변화는 대조군이 3.7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9.8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1년 후 체중감소는 대조군은 5.0kg, 실험군은 10.4kg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p<0.01), 출산 1년 후 체질량 지수도 대조군 25.7, 실험군 21.6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000원
        3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Mt. Wolchulsan. We also predicted the succession possibility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s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through the pioneer species of a forest change and dominant species of canopy vegetations. We also analyzed the Raunkiaer's life-form. The communities in this ecotone are distributed vertically in the order of a Quercus acuta community, a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a Q. serrata community.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ppears on the most of altitudes.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correlates highly with an altitude. The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will be succession to the Q. acuta community, and the Q. variabilis will be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or remain locally. The Q. serrata community will possibly maintain as it is, and the P. densiflora community will be also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The valuable quantitative and numerical life-forms are confirmed and the layer structure of present vegetation will not be changed.
        33.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출산 친화 및 노인 친화적 가치관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가치관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저출산․고령화 관련 교사연수의 방향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전국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저출산 및 고령화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가치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의 현황, 원인, 문제점, 가치교육의 필요성, 해결방안 등 사안의 전반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으며,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상당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또 교사들의 사회적 경험과 생활 문화적 환경 변인들은 그들의 저출산․고령화 관련 주요가치관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교육당국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가치교육에서 무엇보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전환이 시급함을 인지하고,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관련 변인들이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3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태생종인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와 곳체다슬기(Semisulcospira gottchei) 어미에게 여러 가지 물리 화학적 자극을 주어 출산 개시 소요 시간, 출산 유생 치패수 및 치패 출산율을 조사하였다. 곳체다슬기는 온도, 공기 노출, serotonin 및 acetylcholine 자극에 대하여 다슬기보다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나, 및 자극에 대하여는 두 종 모두 반응하지 않았다. 다슬기는 acety
        35.
        199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Mt. Wol-chul were investigated 8 times from July, 1988 to July 1990. In orth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Wol-chulmountain area, medical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Medical wildplants of Wol-chul mourltain consisted of 11'0 familis, 338 species in all. The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ea, Liliaceae ,Polygonaceae, Ranunculaceae, Brassicaceae, Rosaceae, Apiaceae, Labiatae, Com-positae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