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해외 단기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연수 경 험과 그들이 인식하는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 단 기 연수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외 단기 연수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 터뷰와 개별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4명의 학생으 로 구성된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질 문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발화를 유도하여 그 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총 6개의 주제와 17개 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학생들은 해외에서의 전공 연수에 대한 기대감과 계획적인 준비 과정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게 되었으나, 영어 실 력 부족으로 인해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아쉬움을 느꼈다. 또한, 한국에서의 바쁜 학업과 비교하여 자유롭고 여유로운 현지 학생들 의 생활 방식에 부러움을 느끼고, 다양한 문화 체험을 통해 오랜만에 여 유를 즐길 수 있었다. 이번 연수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 을 발견하고, 더 나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게 형성 되었으며, 이는 삶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유발하고 새로운 목표 설정으 로 이어졌다. 또한, 현지인들의 친절함과 순수함을 경험하면서 문화적 차 이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함양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 결과 를 종합해 볼 때, 해외 단기 연수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 를 유도하는 중요한 경험으로 작용하며, 열망, 동기부여, 자신감 향상 등 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목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몽골에서 말은 중요한 이동수단으로서 목축민들의 특별한 애정과 존중을 받아온 몽골을 대표하는 가축이다. 몽골에서 말은 가축을 흩어짐 없이 사육하고 새로운 초지를 찾아 유목하거나 장거리 이동시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사용 되였다. 따라서 말은 몽골의 목축생활 양식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도 말은 교통수단과 군사용 등으로 사용된 중요한 가축이었다. 한국과 몽골의 문화에 등장하는 말은 신승물, 신성
돼지고기 등심의 표면에 Lcatococcus lactis subsp lactis ATCC l1454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의 처리구는 4℃ 저장 1일 이후 대조구의 TBA가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color L^*과 b^*가는 저장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a^*가는 4℃ 저장 1일과 6일 이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 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육즙유출율은 4℃ 저장 4일 이후부터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알칼리성 이온수의 조리용수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할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목적으로 일반 수도수와 비교하여 취반, 김치 제조, 두부 제조, 콩나물 재배, 시금치의 데침을 행하였으며 그 품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성 이온수로 지은 취반은 색상에서 다소 황색을 띠었으나 윤기, 점성, 구수한 맛과 냄새 및 종합적 품질이 양호하였고 노화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물김치의 경우에 있어서도 시원한 맛과 종합적인 맛이 양호하였으며 불쾌한 맛과 냄새가 감소되었다. 또 물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의 chlorophyll분해를 막아 신선한 색상을 유지하였다. 콩의 발아율은 알칼리성 이온수가 수도수에 비하여 2∼3일 동안에 3∼5%가 촉진되었으며 성장상태와 비타민 C함량면에서 양호하였다. 시금치 데침시에 알칼리성 이온수를 사용한 결과 chlorophyll의 안정화에 관여하였으며 두부의 경우 부드러운 맛, 윤기, 구수한 맛과 냄새가 현저하게 양호하였으며 경도가 낮아서 연식품으로서의 가치성이 인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