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aims at applicability of adsorption process in order to satisfy the restricted Effluent Quality Standards for dyeing wastewater. The dyeing wastewater treated by biological process with carrier imbedded microorganisms was directly applied to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in Process A. The dyeing wastewater treated by Fenton oxidation for the effluent of biological process was applied to the adsorption in Process B.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conditions of adsorption with granular activated carbon are 20oC and 120 minutes for the batch experiment. Langmuir equation was fitted better than Freundlich equation to the experimental data. The breakthrough time of adsorption column was determined by color rather than CODMn for both Process A and Process B.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breakthrough time of adsorption for two processes was extended by the treatment of Fenton oxidation for dyeing wastewater treated by biological treatment than the direct application of dyeing wastewater treated by the biological treatment. Adsorption process can be applied in order to meet the restricted Effluent Quality Standards for dyeing wastewater.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파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해 고효율 도허티 전력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MRF 281 LDMOS FET를 사용하여 구현하였고, 도허티 전력 증폭기의 성능을 AB급 증폭기만 있을 때와 비교하였다. 측정결과, 구현한 도허티 전력 증폭기는 P1dB 출력전력이 2.3GHz 주파수에서 33.0dBm을 가진다. 또한, 도허티 증폭기는 주파수 2.3GHz~2.4GHz에서 이득은 11dB, 입력 반사손실 -17.8dB를 얻었다. 설계된 도허티 증폭기는 AB급 증폭기만 있을 때와 비교해서 평균 PAE는 10% 이상 개선됨을 보였고, 설계된 도허티 증폭기의 최대 PAE는 39%를 갖는다.
스무딩은 가변 비트율로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때 일련의 고정 비트율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이러한 스무딩 알고리즘에는 CBA, MCBA, MVBA, PCRTT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들에서는 GOP내에서 프레임들간의 바이트 수의 차이가 심한 경우에도 이 순서대로 전송 계획을 세우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송률이 변화되거나 급격하게 높은 전송률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인 사용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빠른 시간안에 최적의 해를 찾을 수 있는 백트랙킹 방법을 이용하여 GOP 내에서 가장 완만하게 프레임의 바이트 수가 변화되는 프레임들의 순서를 검색하여 이 순서대로 전송 계획을 세우는 스무딩 알고리즘과 이를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은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가지고 MVBA 알고리즘과 전송률 변화 횟수, 첨두 전송률, 전송률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여 평가한다.
Introduction : The obesity can be a serious problem that frequently induces a great deal of complications. Numerous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control obesity and one of them is aromatherapy. This study is a first attemp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on the obesity. This study was designed as the animal study, because the human study has many socio-psycho compounding variables.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 of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on the body weight, feeding amount, food efficiency rate and serum leptin of SD rats. The research design is repeated measures over time,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obese SD rats. They were allocated to one of four groups, the Fennel G., the Patchouli G., the Bergamot G. and control G.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the inhalation of aromatherapy essential oils (Fennel, Patchouli, Bergamot).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applied two times a day for 10 minutes each during 8 week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the body weight, feeding amount and food efficiency rate was measured every week and serum lepti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of ANOVA, Greenhouse-Geisser, ANOVA, Tukey, Kruskal Wallis test and χ²- test with SPSS program.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84 obese SD rats(40 males and 44 females). The means of age and body weight in obese SD rats were 30 weeks and 344.6g. The food efficiency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chouli group and Fennel group than in Bergamot group and control group(P=.000). No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found, but significant time effects were found for SD rat's body weight, feeding amount and serum leptin.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could be effective in lowering the food efficiency rate. 2)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 interim evaluation system for the Integrated Rural Village Cluster Development Project(IRVCDP) which can secure its identity and sustainability, and induce its early settlement, and to derive plans for its steady progress.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three levels. The highest-order level is evaluation purposes, which describe IRVCDP's goals. They are expansion of income bases(EIB),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s(ILE), strengthening of regional capabilities(SRC) and constructing effective project operation system(CEPOS). The second level is evaluation items, which each characterize the relevant evaluation purposes. The last level is evaluation indices, which observe achievement f3r evaluation purposes. 22 evaluation indices are selected to satisfy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rough a brainstorming process and a survey on opinions of experts for those evaluation purposes and evaluation items which are derived from analyzing the IRVCDP's properti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dices selected are determined through the AHP analysis. The most intriguing result from the AHP analysis is that strengthening of regional capabilities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evaluation purposes. It can be said that this result is parallel to a ultimate goal of the IRVCDP.
본 논문은 부산항과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효율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파악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CR 모형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04년 감만부두와 2004년 감천부두가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된 부두이며 가장 비효율적으로 운영된 부두는 광양항 2단계 부두로 나타났다. BCC 모형에 의하면 감천부두, 우암부두가 3년 연속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부두로 나타났으며, 감만부두는 2004년에 효율적으로 운영된 부두로 밝혀졌다. 가장 비효율적인 부두는 2002년 신감만부두와 2002년 허치슨부두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에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터미널은 투입요소에 비해 산출요소인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비교 대상 부두에 비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유휴시설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자극속도조건에서 수행되는 예측타이밍 반응시 따라잡기 및 예측성 단속성 안구운동이 반응의 정확성과 안구운동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자극속도별 최적 정보처리전략을 파악하는 것이다. 12명의 피험자가 세 가지 안구운동조건에서 다양한 속도로 제시되는 자극에 대한 예측타이밍 반응을 수행하였다. 예측타이밍 반응의 정확성은 자극속도와 안구운동전략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자연적-조건 및 따라잡기-조건에서 관찰된 항상오차와 절대오차는 자극속도가 증가할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측성-조건에서는 느린 속도조건에서보다 빠른 속도조건에서 오히려 감소되었다. 안구운동패턴의 경우, 자연적-조건 및 따라잡기-조건에서는 자극속도가 증가할수록 단속성 안구운동의 개시시간이 빨라지고 크기가 증가하였으나, 예측성-조건에서는 자극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빠른 속도조건인 11m/s 및 13m/s에서의 자극도달전 안구고정기간은 자연적-조건 및 따라잡기-조건에 비해 예측성-조건에서 더 길었으며, 이는 빠른 속도조건의 경우 예측성 전략이 자극도달전 안구고정기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자극의 도달시점에 대한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의 결과는 다양한 속도로 이동하는 자극에 대한 예측타이밍 반응시의 최적 안구운동전략이 자극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자극속도의 범위가 9m/s 이하일 경우에는 자연적인 따라잡기 전략이 자극정보의 처리에 유리할 수 있지만, 자극속도가 그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예측성 전략이 보다 효율적인 정보처리를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마릴리스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의 효율적인 기내 급속 대량 증식체계를 확립시키고자 개화15일전 화뢰와 부착된 소화경을 재료로 하여 적합한 치상체의 선별과 캘러스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어린 화뢰내 약, 화사, 주두, 화주 및 자방은 배양 중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캘러스 및 소자구를 형성하지 못하여 배양재료로 부적합하였으나 소화경절편에서는 캘러스 및 자구가 형성되어 치상재료로 적합하였다. 배지내 첨가된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치상체에서 직접 자구를 형성하거나 캘러스를 통해 식물체로 분화되는 2가지 경로로 형성되었는데 개화 15일전 소화경 절편을 0.5 mg/L LAA와 1.0 mg/L BA가 혼용처리된 MS 배지에 배양하여 100% 소자구형성 및 신초가 분화되어 효과적이었으며 소화경에서 직접 형성된 자구 또는 캘러스를 통해 분화된 신초는 성공적으로 식물체로 재분화 되었다.
Recently, it is demanded to study about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including rural landscape indicators. However, there are deficiency to establish the policy of int landscape. This is the base study for the policy decision or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or rural landscap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supporting elements in the foreign policies, 2) to analyze the agricultural landscape elements and visual values in the field and 3) to make the classification form about the agricultural landscape. An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management guides for the conserv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according to the teleological measures. Through this results, it would be expected to develop the efficient policy of rural landscape such as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최근 컨테이너물동량 증가로 인하여 선사들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운항선사들은 노선에 투입되는 자사 선박들에 대해서 운항효율성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선사 입장에서의 내부적 운항효율성을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효율성분석을 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운항선사의 실제 운항자료를 바탕으로 항차를 의사결정단위로 하여 비교적 객관적이고 상대적인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DEA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었다. 그리고 효율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운항선사의 운영측면에서 전체적인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