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0

        30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암천에 분포하는 둑중개의 형태적 및 개체군의 특징 조사를 2015년 10월과 2016년 4월에 실시를 하였다. 호암천 상류역(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대종천 상류)이 둑중개(Cottus koreanus)의 새로운 서식지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삼척오십천 이남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둑중개가 분포하는 범위는 기림사에서 용연폭포 에 이르는 약 1.2 ㎞ 구간이었으며 수역은 약 3,600 m2 이었다. 개체군 크기는 총 1,656개체, 100 m2 당 46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분포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좁았다. 호암천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한강 개체군에 비해 머리길이(head length), 배지느러미 길이(VFR-L), 가슴지느러미 길이(PFR-L), 입의 폭(MW) 등이 짧았으며 그 외의 형질은 일치하였다. 전장이 만 1년생은 40~59 mm, 만 2년생은 60~79 mm, 만 3년생은 8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239∼468개이었으며 평균 361개 이었다. 성숙란의 직경은 2.6 mm±0.21(2.3∼3.1)로 대란형에 속하였다.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BW = 0.00001TL3.01로 상수 a는 0.00001을, 매개변수 b는 3.01 이었고, 평균 1.26 이었다.
        4,000원
        30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Murray, A. 1867) (commonly abbreviated to SHB), is one of notifiable pest in the world. SHB were confirmed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in 1998 in a apiary in Florida. The SHB also was found in Korea in 2016. The SHB larvae have relatively large heads and numerous protuberances covering their bodies. Upon full maturation, larvae have reached a length of 10 mm. Adult females are length and width of ± 5.5 mm and ± 3.4 mm. Naturally occurring small hive beetles can vary greatly in size, possibly depending on diet, climat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dditionally, we were analyzed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COI) gene of the SHBs. The sequence of the COI gene of SHB was identical to that of SHBs in Korea, but different by fourteen positions from Italy.
        30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of Gustavia Kramer, 1879 comprises 16 species are collectively distributed in the worldwide. Only one species, Gustavia microcephala Nicolet, 1855 has been recorded in Korea. We found a new species, Gustavia aominensis Fujikawa, 2008 to Korean inventory from the litter and soil samples of Sasa borealis at Cheong-ok mountain natural recreation forest. A diagnostic description of this species with detailed illustration and data on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are presented.
        30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rothidae is one of the uncommon group of Neuroptera. The family currently include about 22 genera and 100 species in the world. The genus Isoscelipteron include about 20 species in the world, with the distribution covering Eurasia. Several species of this family are known to be a termite predator during larval stage. We collected Isoscelipteron pectinatum adult, which is a new species record in Korea, which is in fact a new family record as well. Here we provide a brief description, photos of adult and male genitalia, and DNA barcode sequence based the specimen examined.
        30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lixungulia, a small genus within the subfamily Allantinae (Symphyta: Tenthredinidae), consists of three species distributed only in Northern China: F. alboclypea Wei, 1997; F. crassitarsata Wei, 1997; F. cylindrica Wei, 2003. It is close to Asiemphytus Malaise and Macremphytus MacGillivray but is separat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laws simple and very slender; basal lobe and inner tooth absent. Up to date, Filixungulia has not yet been recorded out of China.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the genus Filixungulia is newly recognized from South Korea with two species, F. alboclypea and F. cylindrica. This discovery extends the range of the genus Filixungulia, which was previously known as a Chinese endemic genus. Also, a key, diagnosis and photographs of each species are provided.
        30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enus Trimorus are egg parasitoids of Carabid beetles. They are comprised of two subgenus (Trimorus, Neotrimorus), Neotrimorus are composed of 3 species. One of them Trimorus (Neotrimorus) ferrari was described by Veenakumari & Rajmohana from the Andaman islands India, but only male is determined. For the first time, female Trimorus (Neotrimorus) ferrari Veenakumari & Rajmohana, 2013 is collected from Myanmar. Herein, description and photograph of female T. (Neotrimorus) ferrari are provided, also redescription and photograph of male are included.
        307.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30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species of the minuta-subgroup within the oncaeid copepod genus Triconia Böttger-Schnack, 1999 collected in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are newly recorded. A female T. minuta (Giesbrecht, 1893 [“1892”]) and both male and female T. umerus (Böttger-Schnack and Boxshall, 1990) from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are redescribed with the comparison of its morphological details, which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the larger body size, the length to width ratio of the genital double-somite, the relative length of the outer basal seta on P5, and the ornamentation of the appendages. The characters, which are used for identification, such as the length ratio of the outer subdistal and outer spine versus the distal spine on P3-P4, and the outer spine length of the middle exopodal segment on P3 and P4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formation on the variations in the endopodal spine lengths of swimming legs 2-4 is also provided for T. minuta and T. umerus, with the summary of the wide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se two species.
        5,400원
        309.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ot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s Non-violent, Ordinary People’s Search for Justi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in Korea, widely accepted as a new type of movement based on the nonviolence and engagement of ordinary people, has attracted many scholars to study its historical character. Ye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oots of the Movement spirit. This paper introduces a unique approach, offered by Moon-Young Lee. Lee traced the roots of the Movement in four moments in a Korean history: first, ideals of ancient Koreans; Pungryu-do in Silla dynasty; Donghak and Christian movement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Lee examined the character of the agent, goal to be achieved and the means to achieve the goal in each of four moments. Comparing the four, Lee found out that there are continuity and evolution in the four moments, which explain the extraordinary feat by ordinary people in the non-violent peaceful demand of independence.
        4,000원
        310.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리스도교는 길(路) 위의 종교이다. 기원후 1세기, 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과 이방 사람에게 전파하기 위해 도상에 올라선 바울은 그리스도교 복음의 떠나는 본성을 그대로 지닌 ‘선교 여행자’였다. 바울이 선교 여행을 떠날 당시는 로마 제국의 치안 유지와 함께 제국 곳곳에 건설한 가도와 해로로 여행자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었다. 바울의 선교 여행도 로마 제국의 영토 내에서 로마의 가도와 해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울의 제1차 선교 여정의 이동 경로와 로마의 길의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길을 통한 그리스도교 복음의 여정과 그것의 선교학적 의미를 연구한 다. 키프로스와 소아시아의 로마 도상에서 바울은 그리스-로마의 문화 및 종교관을 마주하며 하나님을 전하는 방식에 대하여 숙고했고, 궁극적으로 이 여정이 바울의 신학적 성숙을 이끌었다. 바울의 선교적 성숙은 그가 믿고 있던 복음의 의미를 풍성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선교 방식의 변화도 초래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울은 그의 제1차 선교 여정 중 안디옥 설교와 루스드라 설교를 통해 지역적 특징과 청중의 문화적 수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선교적 접근 방식의 차이를 처음으로 드러냈다. 바울은 안디옥 설교에 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부활을 강조한 반면, 루스드라에서는 오로 지 살아계신 창조주 하나님을 전달하는데 집중했다. 이처럼 바울의 설교는 지역적 특징과 청중의 종교문화적 감수성에 따라 그 선교방식을 완전히 다르게 취했다. 이런 현격한 선교 방식의 차이는 로마의 도상에 서 이루어진 여정으로 바울이 로마 제국의 종교 문화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도상의 복음이 그 지역의 종교 문화적 감수성 과 만났을 때 선교적 성숙이 성취되고 있음을 바울이 걸어갔던 제1차 선교 여정이 보여주고 있다.
        8,000원
        31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실질적인 행동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2016년 4월 14일~5월 20일까지 번식기 육추시기에 약 한달 간 진행했다. 그 결과 경북 일대에서 전장(Total Length) 423.5㎜ 와 무게 550g 의 암컷 1개체를 포획하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추적에 성공했으며 직접관찰과 위성추적 관찰 좌표 6지점을 획득 하였다. 가장 먼 지점의 거리는 둥지로부터 93m의 이격 거리였다. 그리고 육추시기에 약 100m 반경에 대한 서식지 분석결과 밭 34.2%, 혼효림 30.6%, 과수원 10.5%, 자연초지 9.4% 순의로 토지피복도 우점 순위가 나타났다. 이는 이전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로 향후 수컷 또는 다른 개체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보호와 보전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을 기대한다.
        4,000원
        313.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稿では、1868年に創刊された諸新聞に日本の新聞大衆化の萌芽を見 出すことはできないかという問題を提起し、各紙の創刊号の序文やあと がきに書かれた発行の目的・編集方針、および記事本文の振りがなにつ いて、『大衆化』『わかりやすさ』という観点から考察した。 序文やあとがきの調査からは、他国の新聞事情や新聞の有益さを述べ ることで新聞を普及させようとしたり、記事のわかりやすさや人々の啓 蒙がめざされたりしたことがわかった。同時に、中外新聞等によって 新聞人気が広まりつつあることが認識されており、事業として成功させ ようという考えが存在したこともうかがい知ることができた。1868年は 新聞の普及がめざされ、そしてそれが実現されようとした時期だったと いうことである。 振りがなの調査からは、すべての漢字に振りがなが付けられることは なかったが、総振りがなに近いほど多用した記事や両振りがなを用いた 記事もみられた。これは、人々の啓蒙や事業としての成功を成し遂げる ために記事をわかりやすくする手段の一つとして振りがなが利用された ためと考えられる。 以上により、1868年を日本の新聞大衆化の萌芽の時期とみることは可 能であると結論づけた。
        6,100원
        314.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year of 2013, anthracnose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on stem of stonecrop in a plant resource field, Southern Forest Resource Research Center, Jinju, South Korea. The disease symptoms were appeared 2-5 cm smudged irregular black spot color on the plant stems. Suspected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lesion with surface sterilization method and identified it a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es. Artificially inoculated the isolated pathogen led to the similar disease symptom as originally observed in the field. The fungal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inoculated lesion and it exhibited the sam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riginal isol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thracnose of stonecrop grown in open field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Korea.
        4,000원
        318.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집나방과의 상제집나방(신칭, Saridoscelis kodamai Moriuti)을 한국과 중국에서 처음으로 기록한다. 또한, 상제집나방아과(신칭, Saridoscelinae)를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상제집나방의 성충 외형과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국내에서 상제집나방의 발생에 관해 채집 기기 및 기존의 기주식물 기록과 비교해 논의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