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무, 옥수수, 메밀, 표고버섯, 당귀, 감초 및 대추의 물추출 혼합물(13 : 50 : 15 : 2 : 5 : 5 : 5, v/v) 이 쥐 혈청과 피부의 testosterone(T) 및 dihydrotestosterone(DHT) 함량과 간독성 및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일 9 mL/kg-BW 씩 음용수에 섞어 SD(Sprague-Dawley)계의 흰쥐에 5주 동안 투여하였으며, 5-a -reductase의
창포의 뿌리를 주근(main root)과 측근(lateral root)으로 분리하여 3 열풍건조분말의 주된 포화지방산으로는 caprylic acid, pentadecanoic acid, stearic acid 및 heneicosanoic acid 등 10종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각각 주근과 측근의 경우 caprylic acid가 28.35%, 31.44%이었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oleic acid 및 lin
창포 뿌리를 주근(main mot)과 측근(lateral root)으로 분리하여 열풍건조 분쇄, 분말화한 후 일반성분, 당 및 아미노산등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식품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주근과 측근 건조분말에는 각각 조단백질 12.76%, 9.84%와 조지방 7.43%, 3.42%로 높게 함유하고 있어 에너지공급원과 식물성 고단백질 원료로서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리당으로는 sucrose, stachyose, raf
Activated carbon is amorphous and its intraparticle pores are well developed. Thus it has high adsorption capabilities and catalytic effect, and is utilized in many areas of industries such as food processing. In recent years, the demand of activated carbon has been increase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waste treatment and removal of poisonous gas. Therefore, in this study an activated carbon was made using the waste and then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activated carb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arbonization yield was decreased when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400 to 600℃ and that the optimal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500℃.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aOH for removing ash in the raw sample was 1~2N. The iodine adsorption of activated carbon using waste sample at 500℃ carbonization was 1204.28mg/g. The activation result of carbonization sample showed that the optimal activation condition was the carbonization at 500℃ and the activation at 800℃. So the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was thought to be possible, reused as resource, and decrease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orami' is a new sweetpotato cultivar with light purple flesh developed at the Mokpo Experiment Station,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This cultivar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Yamakawamurasaki' and 'Shinmi' in 1994, Se
느타리버섯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숙성 중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김치의 숙성기간에 따른 pH를 측정한 결과 생 느타리버섯 김치는 처음에 대조구인 배추김치보다 높았으나,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값이 배추김치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데친 느타리버섯 김치는 배추김치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고, 적정산도는 pH의 경우와 반대현상으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생 느타리버섯 김
흑진주벼 색소 분획의 급성독성 시험을 하기 위하여 ICR계 생쥐 각 암수 6마리를 1주일 이상 순화시킨 다음 경구투여를 실시하여 14일 동안 급성독성 평가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추출물의 급성독성 실험에서 생쥐의 암수 모두 9000mg/kg의 대량 경구 용량에서도 사용한 6마리가 모두 사망하지 않았다. 2 1000, 3000 및 9000mg/kg 경구 용량에서 14일간 측정한 체중변화는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고 증상의 이상도 보이지 않았다. 3. 경구 용량 시험의 부검결과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와 다른 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아서 안정성이 높은 물질로 확인되었다.
115 종의 생약재 중에서 식품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자원을 검색한 결과 식품부패성 세균 Bacillus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인 것은 단삼, 관중, 가자, 독활, 파고지, 오미자이었으며, 식중독균인 효모 Candida albicans IFO6258에 대해서는 지모와 관중 두 생약재가, 식품부패성 효모 Schizosaccharomyces sp.에 대해서는 지모, 관중, 원지가 각각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는 관중, 단삼, 소목, 방기, 오미자, 오배자, 고삼, 목향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피부 각층 및 모발에 침입하여 피부병을 야기하는 백선균 Trichon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해서는 지모, 강황, 목향, 호장근, 지유, 황금, 가자들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항균spectrum이 넓으면서 비교적 항균활성이 강한 관중, 단삼, 가자, 황금에 항균활성이 강한 생약자원인 가자, 계피, 방기, 황금등의 생약재를 각각 1 : 1로 혼합한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혼합 추출물에서 단독 추출물 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Soybean varieties derived from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food types such as soybeans for vegetable, sprout, sauce and paste and soybeans with colored seed coa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differences in storage protein concentrations among these four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storage protein concentrations among four groups. In 7S protein, the α '-and α -subunit concentrations did not vary among four groups, while a β -subunit concentration greatly varied. 7S protei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40.6%) in soybean for sauce and paste and the lowest(37.7%) in soybean for vegetable, while 11S protei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62.3%) in soybean for vegetable and the lowest (59.4%) in soybean for sauce and paste. In view of the fact that 11S protein has much higher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than 7S protein, it was shown the soybeans for vegetable may have higher nutrition value than other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