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8

        181.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근의 대체보강재로서 섬유보강근에 대한 적용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단기거동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동결융해와 알칼리 환경하에서의 바살트와 유리섬유보강근의 미세구조와 인장거동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100회까지의 동결융해에서 5% 내외의 강도와 탄성계수 저하가 발생하였다. 20일까지의 초기 미세구조변화의 경우 알칼리용액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60℃에서는 20일 경과시에도 수지 용해와 섬유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수지계면의 섬유분리가 발견되었다. 알칼리 환경에서는 20℃환경에서 100일까지는 10% 내외의 강도저하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500일 노출시 최대50%의 강도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0℃와 60℃ 환경에서는 50일과 100일에서 급격한 강도저하가 관찰되었으며, 바살트섬유보강근의 경우에는 알칼리에서 섬유부풀음에 의한 손상으로 강도저하가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블레이디드된 섬유보강근의 장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알칼리성 확보를 위한 표면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8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내화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섬유 강화 폴리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의 보의 적절한 내화설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화재료의 가열실험을 실시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열전도율과 비열을 구하고 또한 고온에서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험과 해석적 접근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열적특성을 제안된 해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고온으로 감소된 휨내력을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FRP로 보강된 부재에서 고온 노출시 열특성을 반영한 부재의 열전도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내력을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bond strength of FRP reinforced inorganic adhesive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wa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bond strength was increased at room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00 to 200 ° C, bu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184.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활용증대 방안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와 내구성 저하 시 보수․보강으로 사용되는 FRP (AFRP, CFRP) 판으로 보강된 순환골재 고강도콘크리트(40MPa, 60MPa) 보를 제작하여 순환골재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표면매입보강에 따른 에폭시와 FRP 판의 부착력을 고려하지 않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 FRP 보강판을 거푸집에 미리 설치하였으며, 순환골재 치환율(30%), 콘크리트 강도(40MPa, 60MPa), 이형철근(D10, D13), FRP 판의 종류(AFRP 판, CFRP 판)를 변수로 12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FRP 판과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휨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FRP 판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에 비해 최대 17%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FRP 판에 비해 CFRP 판의 보강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보강 성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의해 측정된 균열모멘트는 파괴계수를 이용한 결과 기준식과 비슷한 값을 나타났으며 휨 모멘트는 FRP 판을 보강한 일부 시험체가 KCI 2012와 ACI 440-2R에서 제시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5.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에 탄소섬유시트, 유리섬유시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등을 이용하여 보강 했을 때, 보강재 종류, 보강재 물성, 보강량 등에 따른 보강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변수별 보강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가상의 휨부재를 기준실 험체로 선정하여, 기준실험체에 대해 항복단면과 극한단면일 때의 모멘트-곡률 관계를 파악하였다.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에 보강재 종류, 보강재 물성, 보강량 등 다양한 변수를 적용하여 총 11개의 실험체의 모멘트-곡률 곡선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보강한 실험체의 휨강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성에 대해서는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별 휨 보강 효과는 보강량이 많고, 파괴시 재료강도가 높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연성효과는 보강재의 파괴시 변형률이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전과 손상 후의 보강효과에 대해서는 휨보강 효과와 연성효과 모두 10% 이내로 미미하게 나타나 손상상태에 있더라도 온전한 상태로 해석해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192.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lexural capacity of beam-column connection using FRP bars as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was higher than the predictions obtained using the equivalent stress block, whereas its flexural ductility was considerably lower than the companion connections using mild longitudinal bars.
        193.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social needs, eco-friendly material for concrete structures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Hwang-toh is one of the eco-friendly architectural material and hwang-toh has been used by partial or complete replacement of portland cement. Four beam specimens with the variations of types of FRP bar (GFRP or CFRP bar) and cement are prepared and tested. From development test, the performance of FRP rebar for PVA fiber reinforced AHC was evaluated.
        19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code equations for the bond strength of FRP bars with concrete using test data compiled from the different sources. ACI equations have a better agreement with test results, whereas high overestimation is observed in JSCE equations.
        19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철근과 FRPH Bar를 주철근으로 한 철근 콘크리트 보부재를 대상으로 정적실험 및 반복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여 에너지 소산성능 및 반복하중 저항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24MPa의 설계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보부재(200×200×2175mm)를 제작 하였으며, 4점 휨 시험을 수행하여 초기균열하중, 항복하중, 파괴하중을 측정하였다. 정적하중 재하실험을 통해 각 시험체에 대한 항복하중과 파괴강도를 측정하였는데, 항복하중은 RC보에서는 48.9kN, FRPH 보에서는 36kN으로 평가되었으며, 파괴하중은 두 시험체 모두 50kN의 강 도를 보였다. 정적하중-처짐 결과에서는 FRPH 보는 RC보에 비하여 인장경화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FRPH bar의 인장경화 특성에 기인한다. 반복하중하에서 FRPH bar를 가진 보에서는 일반 RC보와는 다르게 작은 폭의 균열이 넓게 발생하였으며, 우수한 처짐 복원력을 나타내었다. 정적·동적 에너지 비율을 이용한 에너지 소산능력에서는 RC보에서는 0.62, FRPH 보에서는 0.83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를 통해 FRPH를 가진 보부재에서 효과적으로 반복하중에 대하여 저항함을 알 수 있다.
        197.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trengthening effect of fiber-reinforced polymer(FRP) grids on flexural members. For this purpos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seven flexural specimens with the main variables of an FRP grid and inorganic mortar used as adhesive. All the specimens failed due to the tensile rupture of FRP grids without debonding between FRP grids and inorganic mortar.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ening effect was dependent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FRP grids.
        19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trofit effect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jacketing by optimal algorithm for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RC) moment frame is investigated. FRP based retrofits are applied to both columns and beams in RC frame, simultaneously. The amounts of FRP reinforcements according to the retrofit positions are independently determined by the genetic algorithm based optimal method The amounts of FRP reinforcements and the collapse probability are considered by using the objective functions.
        19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pilot study on textile reinforced mortar(TRM) construction method, the pres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nsile performance of fiber-reinforced polymer(FRP) grids inserted in inorganic mortar. For this purpos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wenty specimens with the main parameters of inorganic mortar and FRP grids. As a result, splitting failure did not occur between inorganic martar and FRP grids. As FRP grids were completely fractured, the specimens failed by showing the similar tensile behavior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gr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