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목적은 청소년의 인권인식에 미치는 의사결정시 부모태도, 학 교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변인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의 2020년 청소년인 고등학생 2,99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Stata 16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을 수행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의사결정시 부모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인 권인식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는 자아존 중감과 인권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인권인식 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의사결정시 부모태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인권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 었고, 학교생활만족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인권인식에 정적 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권인식 증진을 위해서 교 육적 경험 측면에서 청소년들에게 무엇이 필요하고 어떠한 제도가 교육 현장에서 시행 및 개선되어야 하는지 고민 및 논의하였다는 관점에서 의 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 논문은 결정론적인 역사적 순환에서 인간이 개입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여러 방식을 세 편의 수태고지 시를 중심으로 다시 읽는다. 예이츠의 역사 체계에서 역사 순환은 단순히 인간의 외부에서 부과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여러 잠재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한다. 「레다와 백조」는 그리스 문명의 탄생이 레다라는 인간의 실존과 몸을 통해 매개됨을 보여준다. 「한 희곡 작품에서 발췌한 두 편의 노래」는 인간의 자유가 실패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역사 순환의 힘에 저항하는 것에서 표출됨을 드러낸다. 「재림」은 역사 순환이 역사에 대한 사실 그 자체가 역사의 사실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관점과 문제의식에 따라 해석하여 재구성된다는 예이츠의 확신에 맞닿아 있다. 세 편의 수태고지 시에서 예이츠는 역사의 순환과 인간의 잠재력—몸, 실존, 자유의지, 해석 등—사이의 대립을 화해로 전환하는데, 이는 역사의 순환을 재배열하고 의미를 부여하려는 인간의 투쟁으로 매개된다.
인간구성의 24원리의 집합체는 다섯 가지 지각기관, 다섯 가지 행동기관, 감각적 마음 (manas)과 다섯 가지 미세 요소의 16가지 요소와 다섯 가지 거친 요소, 이기적 마음 (ahaṁkāra), 지성적 마음(buddhi)과 미현현(avyakta) 등 8가지 물질원리(aṣṭa-prakṛti)로 이루 어졌다. 감각적 마음의 정의는 ‘감각적 마음은 내적 감각기관’이다. 감각적 마음은 감각기관 의 도움과 함께 인식의 대상을 인식한다. 감각적 마음은 무의식적이지만 행위를 가지고 있 다. 그렇지만 감각적 마음은 개인적 자아와 결합하기 전까지는 행위를 할 수 없다. 이기적 마음은 미현현, 지성적 마음, 다섯 가지 미세요소 등과 함께 여덟 가지 창조의 원천 가운데 하나이다. 이기적 마음은 지성적 마음의 기능에 포함된다. 지성적 마음이 불균등하게 판단 하면 모든 도샤(doṣas)가 손상되는데 그것의 원인은 이기적 마음이 아니라 감각적 마음이 원인이라고 말한다. ‘최고의 자아(paramātman/Ātman)’은 시작도 없으며, 24가지 요소의 모 든 속성과 행동 등은 자아에 의해 목격되며, 그가 원하는 대로 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고의] 자아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향수할 의무가 있다. 자아는 ‘자아’, 또는 번역자들처 럼 ‘최고의 자아’의 의미로 ‘지각력을 지닌 뿌루샤’와는 차원이 다른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 은 고전 상캬 체계에서 보면, 모든 사실이 그렇다고는 단정을 지을 수는 없지만, 굳이 대조 하여 비교하면 뿌루샤는 근본 물질원리인 쁘라끄리띠(prakṛti)의 역할과 비슷하고, 자아(ātman)는 뿌루샤의 역할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아유르베다가 이원론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With the dramatic advance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se of an AI anchor in the news industry is a subject of great interest. An AI anchor is a computer-generated news anchor that mimics the human voice, appearance, and facial expressions to present the news. A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news media utilize an AI anchor in the news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news topics between AI and human anchors? (2) How does the viewership differ based on these topic choices, with a focus on the emotional impact?
Crowding is widely observed in various tourism contexts. Compared with natural scenic areas, theme parks have concrete boundaries and are physically, economically, or culturally separate from the surrounding area, it also brings problems with carrying capacity and visitor management. Data shows that China has become a critical theme park market, and crowding has become a major problem for theme park operators in Chin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uman crowding on visitors' emotion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using the M-R model as a framework.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Shanghai Disneyland and Zhuhai Chimelong Ocean Kingdom, 295 and 41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pectively.
In the current study, we directly measure consumers’ physiological responses (i.e., brain waves via electroencephalogram [EEG]) to advertising stimuli (digital storyteller vs. human storyteller) to confirm the narrative transportation process of storytelling immersi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transforming healthcare, yet little is known about how consumers experience and make decisions regarding follow-up care with medical AI. We tak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combining behavioral research and neuroscience to examine how anthropomorphism and personalization influence well-being and follow-up decisions. Study 1 found that consumers felt well-being after interacting with a highly personalized interaction, whether human or AI doctor. However, they preferred follow-up visits with the human doctor. Empathy mediated these effects. Study 2 used fMRI to show that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had greater activation when interacting with the human doctor, indicating more emotional processing and conflict resolu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dical AI cannot currently replace human doctors, who remain vital for actual medical consultations and treatment. However, consumers viewed AI doctors positively and expressed a belief that AI will enhance well-being. By integrating neuroscience, this research provides biological evidence complementing behavioral finding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recognized as essential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chwab, 2017), which i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and processing and transforming data information to inform goal-directed behavior (Paschen, Kietzmann, & Kietzmann, 2019). Due to the advances in intelligent systems and the incorporation of AI agents in smart devices, more than eight billion digital voice assistants will be used globally by 2024 (Thormundsson, 2022; Gilkson & Woolley, 2020). For successful and positive consumer-brand relationships, constructs such as trust,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re vital (Garbarino & Johnson, 1999; Nyadzayo & Khajehzadehb, 2016). Unlike humans,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could achieve relationship marketing engagement by encouraging users to anthropomorphize the other parties in their technology-mediated interactions, such as applications like chatbots, virtual assistants, and service robots (Steinhoff et al., 2019). Those applications can also use humanoid traits to engage customers in organizations (van Doorn et al., 2017).
Robo-advisors are gaining momentum, as they aim to provide personalized and low-cost financial advice (Jung et al., 2019).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robo-advisory is bounded by the lack of trust (Jung et al. 2018). Anthropomorphism or robo-advisor resemblance to a human (i.e., avatar, name, or gender) can remedy that. Indeed, robo-humanization can establish trust and impact on behavioral intents toward the advisory technology through social presence (Go & Sundar, 2019), warmth (Cyr et al., 2009), perceived expertise of the advisor (Qui & Benbasat, 2009), including perceived integrity and persuasiveness (Tan & Liew, 2020). Gender can amplify anthropomorphic cues and, thus, increase trust (Beldad et al., 2016). Finally, trust toward the technology is directly related to its adoption intent (Bruckes et al., 2019).
Digital humans integrating anthropomorphism into the performance and problem-solving features of AI offer innovative sources of insights and value that promotes a product, service, or br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gital human’s aura and anthropomorphism on perceived interactivity, attitude toward a brand, attitude toward a digital human,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 entrenched digital human’s aura and anthropomorphism increase perceived interactivity, attitude toward a brand, attitude toward a digital human, eWOM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the digital human’s aura and anthropomorphism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interactivity, attitude toward a brand, attitude toward a digital human, eWOM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Imagin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ravel decision-making. Given the intangible nature of tourism products, tourists cannot directly experience and evaluate the tourism resources in advance. Thus, tourists must first mentally predict and imagine the future travel experiences and scenarios in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marketing information (e.g., travel photo, promo video) and prior knowledge, then form their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travel product. This future-thinking process is called “mental simulation”. Stacks of research have shown that mental simulations positively affect travel behavior (Le et al., 2019). However, given that travel is a kind of novelty-seeking activity, tourists are usually not familiar with the destination environment and activities. The lack of prior knowledge might inhibit their mental simulation process, even if destination photos and videos are provided. Thus, how to effectively arouse tourists’ mental simulation of destination experience is an important question for effective tourism marketing.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s (VIs) to human influencers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the uncanny valley and parasocial relationship using an online experiment. Specifically, we posited that highly humanlike VIs may evoke the feeling of the uncanny valley, as compared to human influencers or cartoonlike influencers, which, in turn, would act as a psychological barrier to building a parasocial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type of virtual influencer and decrease advertising attitu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ople do feel the uncanniness from both highly humanlike and cartoonish influencers as compared to human influencers. This particular psychological experience negatively influenced the parasocial relationship, which, in turn, negatively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a social media advertisement featuring the VIs. However, importantly, this effect was moderated by individual differences in anthropomorphism. This is one of the first studies that directl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social media influencers in a rigorously designed experimental setting and expands the previous research on Vis, uncanny valley, and parasocial relationship. Bo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contribu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Considering the popularity of virtual influencer (VI) marketing while its effectiveness remains fully unexplored, there is a need of academic attention testing consumer responses to VIs in comparison with human influencer marketing. Hence, this study aims to fill this gap by comparing consumers’ perceptions of a human versus virtual influencer’s endorsem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nsumers differently evaluate human and virtual influencers’ endorsement motives, which may further influence their attitudes toward a brand, advertising (i.e., endorsement), and an influencer and purchase intentions.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 of the number of endorsements (single vs. multiple) and perceived innovativeness are examined.
Influencers have become a critical component of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awareness, encourage consideration, and drive purchases. A new type of influencer, computer-generated and 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avatars, has emerged amid this boom. Despite the mixed marketing results virtual influencers deliver, they are generally thought to create similar engagement as human influencers. Consumers appear capable of developing complex psychological processes when engaging with virtual influencers. Even though the positive impact of influencers is evident,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how they can affect consumers' well-being. The feeling of envy is a significant well-being concern in the social media world. Assuming virtual influencers can deliver similar emotional effects as human influencers, can we feel envy towards virtual influencers?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AI chatbots with highly human-like characteristics could reduce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zed AI chatbot advertising because they will likely worsen consumer concerns about privacy. Conversely, using AI chatbot with less human-like characteristics will not heighten consumer privacy concerns, thereby increasing the impact of personalized AI advertising.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enacting laws mandating explainable traceability when using AI(Artificial Intelligence) to solve real-world problems. HAI(Human-Centric Artificial Intelligence) is an approach that induces human decision-making through Human-AI collaboration. This research presents a case study that implements the Human-AI collaboration to achieve explainable traceability in governmental data analysis. The Human-AI collaboration explored in this study performs AI inferences for generating labels, followed by AI interpretation to make results more explainable and traceable. The study utilized an example dataset fro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o reproduce the Human-AI collaboration process used in actual policy-making, in whic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utilized R&D PIE(R&D Platform for Investment and Evaluation) to build a government investment portfolio.
본 연구는 노인인권과 관련된 국내학술연구(학술지 게재논문)를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노인인권 영역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90편의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의 노인인권 연구는 2000년 이후로 본격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방법별로 보면 문헌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기타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로는 조사방법론이 주로 활용되었다. 전공분야별로 보면 사회복 지학 분야가 가장 많았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의 노인인권 영역에 따라 분류했을 경우, ‘존엄·안전’ 영역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 중 ‘노인학대 및 대응’에 관한 연구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노인인권 실행영 역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전체 16개 실행영역 중 전반에 해당하는 8개 실행영역의 연구가 미흡 또는 전무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인권 실행영역에서의 고른 학문적 관심과 연구가 필 요함을 제언한다. 그리고 노인인권 영역별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며, 나아가 폭넓은 연구방법론의 활용과 활발한 다학제간 연구를 제언한다.
최근 주주의 이익뿐만 아니라 양성평등, 근로자의 인권 등 사회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탄소세 도입 등 환경문제에 이르기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슈를 회사법에 포함하여 논의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 한 논의는 ESG 경영, 즉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 rnance)의 이슈이다. 인권, 환경 등 공익적인 문제가 회사법에 영역에 포함 되어 기업의 공익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업의 윤리적인 책 임을 넘어 법적 책임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ESG 경영에서 사회요소(S) 중 인권경영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글로벌 대기업은 막대한 자본력을 가지고 개발도상국의 값싼 근로자들을 이 용하여 가격경쟁력있는 생산품을 생산한다. 그 과정에서 열악한 근무환경과 과도한 노동시간, 저임금 등 인권침해가 발생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영세 한 대기업의 자회사나 협력업체를 통해 인권침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글 로벌 대기업은 그 책임을 지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근로자의 인권을 보 호하기 위해서 최근 유럽에서는 글로벌 대기업의 인권경영을 강제하는 법률 이 제정되고 있다. 공급망실사법이 대표적이다. 공급망실사법은 기업의 생산 절차를 거쳐 유통을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의 도달하기까지 인권침해가 일어 나는지 글로벌 대기업에게 실사의무를 지우는 것을 말한다. 이는 UN, OEC D 등 국제기구의 인권경영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는 아직 이 에 관한 구체적인 법률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기구의 모범법체계와 서 유럽의 인권실사 법 등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응방안 을 논의하였다. 인권경영을 위하여 첫째, 정부 차원에서 EU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급 망 인권 실사법을 우리나라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 차원에서는 기 업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이사회에서 인권경영을 위한 내부통제기준 및 준법감시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에는 기업의 투명성을 위한 사외이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인권에 대한전문성을 가진 사외이사를 외부에서 선임하여 인권 및 환경경영위원회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우 리나라는 최근 자본시장법의 개정을 통해 여성임원할당제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상무이사가 아닌 사외이사를 여성으로 채우고 있으며 EU 국가 의 경우와 비교할 때 아직 여성이사의 비율은 미미하다. 따라서 점진적으로 여성이사의 비율을 높혀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업에 강제적으로 여성 사 외이사를 강요할 경우 미국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차별의 문제도 있 을 수 있고 기업에 과도한 부담을 줄 수도 있으므로 영국의 ‘comply or ex plain’ 제도를 통해 점진적으로 회사 이사진의 다양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 을 것이다. 회사법의 목적은 결국 회사의 생존을 위해서이다. 생존을 위해서는 사회적 요구인 회사의 공익적 목적에도 부응하고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여야 한다. 회사법에서 이사회 등 회사의 의사결정권자가 합리적이고도 합법적인 의사결 정을 할 수 있도록 통제하여 이윤 창출과 인권, 환경 등 ESG 경영을 위하여 회사가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higher education in Indonesia’s marine and fisheries sector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evaluating policies and current problem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in marine and fisheries sector. To achieve the goal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marine and fisheries sector, Indonesian government needs to secure non-salary expenditures to strengthen support for areas directly related to the effects of education, such as improving educational facilities, expanding scholarships, and so on. Education institution need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systematic practice-based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local fishermen community and fisheries indust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upply of manpower throughout the fisheries industry. Fisheries industry needs to stop relying on the government or education institutions to secure excellent human resources and actively participate and cooperate in the education field so that excellent human resources can flow into the industry. Based on this strategy,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Indonesia’s marine and fisheries sector should focus on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대학은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을 만들고 기술혁신을 통하여 가치를 생산하는 핵심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중나선모델(Triple Helix Model)의 변화와 진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진기술의 습득과 소화, 개선과 추월을 통한 과정에 요구되었던 다양한 인력양성 육성과 정책분석의 질적연구를 활용하였다. 1960년대는 기능공과 기술공 위주로 기능적역량이, 1980년 대와 1990년대는 대학원제도가 정착, 고급 인력양성과 함께 정부주도의 대학-기업연구소와의 Triple Helix Model (THM) 혁신활동에 필요한 기능과 기술역량의 인력양성이 강조되었다. 2000년대는 첨단․신산업에 요구되는 창의적 인재양성으로 진화하였고 대학 중심 THM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연구역량이 요구되었고 2010년 이후 창의와 융합역량의 인력양성 방향 성을 대학스스로 결정하는 큰 변화로 진화하였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조와 융합 인력양성의 지속적 수행을 위한 혁신모델로 ‘삼중나선싱크로시나리오모델’을 제시한다. 대학은 자유롭게 문제를 찾아내고 정부는 신기술을 위한 지원과, 개인경험과 기업문제를 하나의 시나리오로 엮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도전의 장이 되어 끊임없는 혁신을 견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