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행형제도의 목표는 목적론적 성격으로 '죄가 밉지 사람이 미운 것이 아니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범죄인에게 자신이 저지른 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하는 것이 아닌 과학형주의를 기초로 사전의 범죄를 예방하고 사후에 범죄인의 교화를 통하여 다시 사회의 온전한 구성원으로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한국의 현 행형제도가 선진화되어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있다. 그 나라의 선진화는 감옥을 가보면 안다고 하듯이 한국의 민주주의의 성숙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 교도소이고 수용자의 처우 기준은 그 나라의 인권보장수준의 척도가 된다. 이 글은 개선되고 있는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교도소를 ‘범죄학교’라고 부르고 있고 한국의 수용자 처우를 보다 국제적 기준으로 끌어 올리고 ‘범죄가 범죄를 낳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없애며 수용자들이 좋은 시민으로서 다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권차원의 처우와 제도적 장치의 개선을 연구해 보려 한다. 우선 수용자에 대해 적용되는 국제인권법의 발전을 살피고, 고문 및 여타 부당한 처우의 법적 금지, 국제적 구제절차, 수용자 처우에 관한 UN 최저기준 규칙 및 국제법상 합법적인 구금요건을 고찰하고, 최근의 행형법안을 중심으로 한이들 국제적 기준에 따른 국내실천방안을 모색한다.
과거 해양자유와 개방적 자원사용 레짐은 오늘날 해양관리와 공유자원관리 레짐으로 변화하였다. 해양생물자원, 해양광물자원, 해양공간, 해로 등 해양자원은 경합성은 강하나 배제성은 약한 공유자원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방치하면 공유의 비극이 발생하며 따라서 합리적 해양관리가 필요하다. 주요한 국제 해양이슈는 해양오염 연안관리, 해수면상승, 어자원관리, 포경, 해양관할권, 심해저광물자원, 군사적 해양안보, 해적활동, 생태적 환경안보 등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견고하고 지속적인 정책레짐이 형성되어 왔다. 이 논문은 오늘날 해양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등장한 국제적 해양환경안전 이슈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레짐의 형성, 그리고 향후 바람직한 정책레짐 형성과제 등에 대해 국제정치학 또는 국제정책형성론적 시각에서 거시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We carried out a follow-up study 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Astronomy Olympiad(IAO). We surveyed home and school environ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four high school student and fiv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AO from 2002 to 2005. In the home environment variable of science elite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IAO, we found out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science elites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career. I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we found out considerably their motivation capacity, intelligent curiosity, flexible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is study illuminated that the experience of IAO participation offered the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to gain mare self-esteem and positive confidence on scientific study. The IAO experience is construed to effect greatly the students' future. Through the IAO experience, the participating students are expected to major in astronomy and become excellent astronomers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the interest of student will increase greatly in the area of astronomy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substantial development of Korean astronomy. In this respect, with the constant support to the IAO participants, the effort to cultivate outstanding astronomers and follow-up study on those participants of the IAO should be continued.
공급사슬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객의 수요가 다양해지면서 공급사슬에서의 물류기능은 점점 중요시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생산자는 전체 물류의 60% 이상을 제 3자 물류 업체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택배 시스템은 자신의 서비스 능력과 상호보완관계에 있는 여타 서비스 제공업체와 연계하여 공급사슬 효율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한데 공급사슬 전체에 대한 물류서비스를 여러 업체로부터 개별적으로 외부 위탁하는 경우보다 한 번의 계약으로 통합된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협력택배시스템의 추진이 필요하고 있다. 타사에의 정보 누출을 꺼려 아직은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나 보다 효율적이고 저렴한 물류비용을 위해서는 앞으로 제조업과의 다 자간 전략적 제휴는 필수적인 상황으로 전개될 것이다. 이에 현 3PL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제조업과의 협력 방안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brand personalities of deluxe hotels in Seoul,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brand personality between local and international hotel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460 employees in kitchen and F&B departments of 11 deluxe hotels in Seoul. A total of 39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ylsis(86.5%) and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PSS Win(12.0) for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and AMOS(5.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eluxe hotels have brand personalities relatively strong at 'affection', 'sophistication', 'competence' dimensio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hotel nationality. The brand personality scores of international brand hotels perceived by employees were high at the 'excitement'(p<0.001), 'sophistication'(p<0.001), and 'competence'(p<0.01) dimensions, whereas local hotels were considered more obedient(p<0.01). Overall, it could be a key factor for successful brand management that establish a distinctive brand personality, and a localized brand personality measure will lead to more desirable decision mak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levels of F&B(Food & Beverage) personnel in hotel by using JDI(Job Descriptive Index),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or job type and job satisfaction,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ve facet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by hote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660 employee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food & beverage department of hotel A (Domestic independent deluxe hotel) and hotel B(international chain deluxe hotel). A total of 498 questionnaires were usable; resulting in 75.5% response rate.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16 to 27, 2000. As a result of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total JDI score was 136.57 out of full mark 210. Personnel of Hotel A was more satisfied significantly with work itself (p<.01), supervision (p<.001), co-worker (p<.01), total JDI (p<.001) than those of hotel B. Total JDI and work itself score were higher on employees of front of the house than those of back of the house in both of hotels. Payroll was the most important facet on job satisfaction. Finally, work itself (p<.001) and payroll (p<.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hotel A and work itself (p<.001), supervision (p<.05) and promotion (p<.05) did in hotel B. The findings indicated the neces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pt to the vision of enterprise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최근에 "선박의 밸러스트수와 침전물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 "이 채택되면서 국내에서도 이 국제협약을 수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외국의 밸러스트수 제어/관리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의 환경관계법규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밸러스트수관리협약을 수용하기 위한 국내 입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서 집필된 지구과학 I, II 교과서와 국내외 각종 지구과학 교재의 지질 연대 자료를 검토하였다. 지구과학 I, II 교과서의 자료는 대부분 최신의 자료가 아니며, 많은 자료들은 지질학 원론과 지구과학 개론 등의 국내 대학 교재에 제시된 수 십년 전의 자료를 그대로 따랐다. 또한 외국 대학의 지구과학 또는 지질학 개론서의 경우에서도 유사하게 수 십년 전의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최근 국제 층서 위원회(ICS)에 의하여 연구 제시된 국제 층서 챠트(ICS 2000), 국제 지질 연대표(IGTS 2003) 및 지질 연대표(GTS 2004) 등의 많은 새로운 자료들이 제시되어 있다. 새로운 자료 중에서 중요한 것들에는 신생대의 고제3기와 신제3기, 석탄기의 미시시피아세와 펜실베니아세, 원생이언의 고원생대, 중원생대 및 신원생대 그리고 시생이언의 시시생대, 고시생대, 중시생대 및 신시생대를 들 수 있다. 이들 새로운 지질 연대 자료는 새로운 지구과학 교과서 집필시 인용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