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6

        161.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사들이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신념을 형성하려면, 학생들에게 제공할 것과 유사한 교수학습 방법을 직접 경험할 필요가 있다. 지구과학 교사 20명을 포함한71명의 한국 중등 과학교사들이 미국 중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실시된4주간의 여름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수업 및 활동을 경험하였다. 아울러 교사들은 각자 학생 역할과 교사 역할을 맡아서 모의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중심 수업을 실제로 체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제공된 이러한 교사 재교육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이 교사들의 과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신념은 구체적으로 과학학습의 목적, 교사와 학생의 역할 그리고 수업에 대한 것으로 총 7문항으로 제시되었다. 즉 교사들의 교사중심적인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의 양상이 학생중심으로 옮겨갔다는 점이다. 물론 그 변화가 교사중심에서 완벽하게 학생중심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는 것이 라기보다 교사중심에서 탈피하거나 이에 반하는 쪽으로 변화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한편, 연수에서 경험한 협동학습이 참여 교사들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신념변화를 초래한 주요 요인들 중의 하나였음을 보고한다.
        4,000원
        162.
        200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163.
        200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6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천문영역에서 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천문영역에 있어서 향상 점수에 근거한 협동 학습과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통적 학습 사이의 영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의 학생들은 협동학습 방법으로 주당 4시간씩 4주 동안 수업을 받았다. 협동학습을 받는 동안에 학생들은 매주 ‘태양계 탐사와 별’ 단원에 대한 형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위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지식에 있어서 상당히 다른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이 전통적인 학습방법보다는 협동적인 학습방법에 보다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협동 학습은 천문학적 지식의 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있어서 전통적인 학습보다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를 과학 수업에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과학 개념의 조직과 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경기도 평택시 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고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실험반에는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수업을, 그리고 비교반에는 일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포트폴리오의 적용 효과는, 학생들의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참여한 학생들은 마인드맵 작성을 위한 기초훈련을 거친 후에 지층과 화석, 열과 물체의 변화 단원을 학습하는 동안 4번의 마인드맵을 작성하였다. 마인드맵을 채점하여, 그 결과를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학급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개념의 조직과 양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의미있는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학급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급의 학생들보다 개념을 균형있고 위계적으로 조직하고, 학습한 개념의 양도 더 풍부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169.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합과학교육으로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지구계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을 통합하려는 시도이며 자연을 탐구하는 보다 전체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는 지구계 교육 중 그 활동 프로그램의 하나인 '지구 기후게임'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과서 중심의 획일화된 주입식 교수-학습 방법에서 탈피한 학생이 중심이 되는 토의식 협력학습, 역할극 수업모형 등 다양한 수업 모형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연구에 적용된 ‘지구 기후 게임'은 지구계를 구성하고 있는 기권, 수권, 암권, 생물권의 상호작용에 대한이해를 도모하기에 적합한 주제였다. 지구계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정의적인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지구계 교육 활동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수업 방법보다 학생들의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장기적으로 ESE 활동 프로그램은 과학적 태도 형성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ESE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은 과학을 생활에 응용하는데 매우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71.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최근 수행된 국제 비교 연구인 TIMSS-R과 PISA 2000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 과학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성취도 및 성 차이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에 실시된 TIMSS-R에 포함된 33개의 지구 과학 관련 문항과 2000년에 실시된 PISA에 포함된 13개의 지구 환경 과학 문항에 대한 국제 및 국내 평균 정답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나라 학생들은 문항 유형별로는 선택형 문항에서, 수행 영역별로는 단순 정보 이해문항에서 국제 평균 정답율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은 그래프 해석, 표 해석등 자료 해석과 관련된 문항에서 국제 평균보다 특히 높은 정답율을 나타냈는데, 이러한 경향은 남학생들에게 더 두드러졌다. 한편, 우리 나라 학생들은 천문학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는 특히 여학생에게 더 심하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여학생들은 문항의 내용, 유형, 수행 영역 등 모든 부분에서 남학생들보다 낮은 정답율을 보여 심각한 성 차이를 드러냈다.
        4,600원
        172.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492 students in five different departm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fty(10.2%) of respondents were vegetarians, 81(16.4%) were heavy meat eaters and all the others were light meat eaters. All students had their biggest meal at supper. Three hundred and ninety-three(79.9%) of the respondents usually had rice for breakfast. Three hundred -sixteen(64.2%) ate 3 meals a day, 155(31.5%) ate 2 meals and all the others ate 1 meal or more than 3 meals. The length of mealtime was 30 minutes in 268(54.5%), 10 minutes in 209(42.5%) and more than 1 hour in all the others. Respondents considered taste the most important meal factor with nutrition, hygiene, and amount ranked accordingly. A majority(63.0%) of respondents ate occasionally ate between meals, while 28.1% snacked frequently, and 8.9% ate no snacks. Although nutrition dept. students had studied nutrition subject, some results of nutrition dept. students were desirable and others were undesirable in dietary behaviors. Therefore they should have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ir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for students'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organized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4,000원
        173.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ed to find out menu prefere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was conducted in a form of questionnaire sampled form middle school students in 10 schools where the meal program under commission was operating in Seoul.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from Dec. 1 to 20, 2000 and gathered menu preference of staple, soup or stew, side dishes and dessert by each meal, season, gender.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a using the SAS package, such a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Most of the schools provided rice for lunch, while the students preferred noodles, mandu and bread. Most of students preferd beef rib soup. Gimchi stew with clear soup was favored for breakfast and stews for lunch and dinner. Side dishes were more favored by female students, in which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tudents preferred dessert the most with fruits(4.49). It is required that the quality of school meals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service of various kinds of desserts.
        4,800원
        17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tional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Yanbian by ethnic : Korean, Korean-Chinese, Chinese. The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individual interviewing method. Statisticai data analysis was completed by SAS 8.0 package program for t-test,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verage energy intake per day was high in Korean-Chinese. Nutrient Adequacy Ratio(NAR) was highest in iron and lowest in zinc. Mean Adequacy Ratio(MAR) score was 0.68~0.85 for each group.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INQ) were over 1.0 for most nutrients except 0.41 of zinc and 0.76 of calcium. Average energy intake ranked high in Korean-Chinese, Korean and Chinese.
        4,300원
        178.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dietary intake obtained by easy method and to compare dietary behavior of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The subjects consisted of 276 house wives and 228 female college students. Mean daily energy intake of house wives was 1926.0kcal and that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1949.0kcal. Calcium intake as NAR(Nutrient adequacy ratio) was lowest in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 Iron intake was also low in subjects and lower in female college student than in house wife. Meal frequency per day was regular in subjects. Skipping meal time in subjects was breakfast and snaking time was late evening generally. Frequency of eating out was rare in most subjects and 60.6% of subjects preferred chinese food in eating out, while house wives preferred Korean food than female college student in eating out. The vegetables were preferred than meat or fish and used by fried in sauces. Hot and sour tastes were more like than greasy taste in subjects. Nutrient intake levels and dietary behaviors of house wife were to be like as tho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general. BMI(Body mass index) was lower in female collage students than house wives, similarly in Korean. According to these results, house wive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had similar dietary patterns. Calcium intake was tend to be low and dietary pattern was regular, dietary qualifies of subjects were adequate. Nutrient intake and dietary pattern in Yanbian were to be like as in Korean, and the Korean-Chinese in Yanbian maintained traditional dietary patter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