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 the new social background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s and businessman in the Ming Dynasty, “Sanyan and Erpai” broke the role design paradigm of opposition between intellectuals and businessman and shaped it in the works the new role of the integration of intellectuals and businessman. The design of this role is a true reflection of the convection phenomenon of social scholars and merchants at that time, and has new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Different from ordinary intellectuals and ordinary businessmen, they have all experienced the choice of seeking official positions and doing business at the same time in their lives. They have the same skills in terms of mannerism, business spirit, and management wisdom.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merchant roles portrayed in literary works.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dual social characteristics of respecting Confucianism and respecting officials at the same time attaching importance to the commodity economy were the social roots of the author's design of this role. This role was also of practical significance on the stage of the real society at that time.
『수호전』의 양산박은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적 공간으로서, 현실세계에 존재 하지만 다른 현실공간과는 절대적으로 다른 공간인 대항 공간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은 ‘이의제기의 공간’으로 생성되었으며 ‘한시적 공간’으로 소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양산박의 생성과 소멸은 ‘헤테로토피아’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수호전에 함축된 다양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을 통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작품에서 추구하는 이상세계가 어떠한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이 ‘공간’이 현실세계에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통해 그 장소가 지니는 함의를 분석해보는 것은 작 품의 본질을 파악하는 하나의 시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유기 속 많은 장소는 고도의 상징과 비유의 기법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그중에 서도 화과산은 손오공이 나고 자란 곳이며, 손오공과 매우 밀접하게 관계 맺고 있는 장소이다. 장소와 장소 경험의 주체가 상호 작용하면 ‘장소성’, 즉 장소의 정체성이 형성된다. 화과산은 손오공의 탄생, 손오공의 다섯 차례의 귀환에 따라 각기 다른 모 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손오공의 발전과정, 변모를 살펴보고 그와 상호작 용하는 화과산의 모습, 의미 등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화과산이라는 장 소가 가지는 상징성과 장소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化生寺→弘福寺→法門寺→鞏州城→河州衛→福原寺→雙叉嶺→鎭山太保劉伯 欽→兩界山[五行山]에 이르는 『西遊記』 출발단계의 에피소드 배치가 유식 5위의 최 초 2단계에 해당한다는 점을 고찰한 논문이다. 삼장의 중국 내 여행은 유식 수행의 資糧位, 그중에서도 十住에 해당한다. 그것은 삼장의 여행이 주로 숙박하여 묵는 일 [住]로 묘사되어 있다는 점 등 몇 가지 소설적 장치의 고찰을 통해 확인된다. 삼장의 雙叉嶺에서의 체험은 유식의 자량위, 그중에서도 十行에 해당한다. 그것은 쌍차령에 서 만난 진산태보가 십행의 善伏 삼매를 성취한 功德林 보살의 형상으로 해석된다는 점을 포함한 몇 가지 비유와 상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확인된다. 삼장의 쌍차령 천 도재 이야기와 兩界山 직전까지의 여정은 자량위, 그중에서도 十廻向에 해당한다. 또 한 양계산과 양계산 직후의 체험은 加行位의 각 단계에 상응한다는 점을 살펴보았 다. 그것은 손오공이 양계산을 뚫고 나오기 전에 삼장 일행을 동쪽으로 7∼8리 훨씬 넘게 거꾸로 돌아가도록[十廻向] 하는 점 등의 소설적 장치에 대한 고찰을 통해 확인된다.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은 세계적으로 높아졌다.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르며 이미 선진국의 전략적 발전 수단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하이테크 발전의 선두에 있으며 글로벌 경제 번영, 삶의 질 개선 등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과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한 법적 고민을 초래한다. 인격권은 일신전속성을 가지는 권리이다. 권리자는 자신의 인격적 이익에 대해 완전히 지배하는 권리를 향유하며, 인격의 독립을 유지 받고 보장받는 권리이다. 인격 존엄은 일반적인 인격 이익의 기본 내용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하고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그러나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인공지능에 의한 자연인의 성명·초상·프라이버시·개인정보 등 인격권 침해 상황을 초래한다. 중국은 최근 민법전 제정에서 인격권편을 별도의 장으로 마련하여 인격권 관련 내용을 규정하였다. 중국 민법전 인격권편은 인격권의 구체적 내용을 명확히 함으로써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고, 인공지능에 의한 인격권 침해 발생 시 권리자 보호 를 위한 법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공지능 발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격권 침해 문제를 중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 민법전 규정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중국의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를 중심으로 장애인 취업정책을 살펴보았다. 그 동안 동아시아 사회복지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어 온 역사도 짧았지만 장애인 복지 영역에 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존의 중국 장애인 정책 관련 연구들은 동아시아 복지 모델 및 체계 분석에 치우치는 등 이론적인 측면을 강조해 온 탓에 장애인 정책 분석 및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의 장애인 취업정책에 대한 정책, 그리고 장애인 취업정책을 구성하는 제도 중 하나로서의 의무고용제도가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한국, 중국과 일본의 의무고용제도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중국의 의무고용제도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China Pilot Free Trade Zone is a "policy practice zone," and China has already established 18 pilot FTZs since the approval of Shanghai Pilot FTZ in Sept. 2013. Pilot FTZs have become high grounds for Chinese economic reform through 'optimization of business environment', 'facilitation of investment & trade', and 'policy innov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financial services and real economy.' Construction of pilot FTZ has aggressively extended national strategies such as active service, construction of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cooperative development of Jingjinji Metropolitan region (Beijin-Tianjin-Hebei), integrated development of Yangtze River Delta Economic Zone, and revitalization of northeast China, etc. as well as collaboration with surrounding nations. Recent entry of new stage of China-Korea relations has great potential of complementary cooperation. As a "policy practice zone" of Chinese economic reform, Pilot FTZs have arranged business environment facilitated with legisl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regulation system suitable for international trade-investment rules, and open financial environment through system innovation & reform in various fields such as investment, trade, and finance, etc. This is giving a new motivation for higher level and broadened area of China-Korea economic re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간 감수성 함양을 위해 설계된 대학 중국문화수업에 적합한 검사도구를 제안하고자 Rasch의 평정척도모형을 사용하여 양호한 문항을 선별하고 이 문항들로만 구성된 단축판을 구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25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여, 응답범주의 적절성, 문항의 내․외적합도, 문항난이도, 피험자 능력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답범주는 5점 척도보다 4점 척도로 일 때, 문항 및 피험자 분리지수, 검사 신뢰도가 가장 높았으며, 문항난이도 분포 및 피험자 능력 분포가 적합하였다. 범주확률곡선 분석에서도 응답범주별 경계점수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최종문항 선정과정에서 과적합보다 부적합 문항을 우선 삭제하였으며 해당 문항의 난이도가 그 영역의 다른 문항에 의해 측정되지 않는 문항을 재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18문항을 대상으로 단축판을 구성하였고 문항난이도를 고려하여 문항의 순서를 재배열하였다. 끝으로 단축판 검사의 활용방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양국의 웹드라마 제작배경, 창작의 주체, 시청자 그룹, 콘텐츠 구성, 드라마 제작, 수익모델, 프로모션, 시청자 피드백 및 심사 기준 등 아홉 가지 측면에서 비교고찰을 하였다. 아울러 중국 웹드라마 산업에서 시청자 포지셔닝, 고품질의 드라마 제작, 관람 연령 등급제도의 제정, 감독 메커니즘 개선 및 완전한 산업체인 솔루션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중국 웹드라마 산업은 독특한 산업특징, 표현방식과 산업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인터넷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웹드라마 산업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산업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새로운 제작, 소비 및 운영 모델을 계속 탐구해야만 웹드라마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꾀할 수 있다.
본고는 신시기 초 항미원조 영화를 통해 사회주의 혁명 시대의 ‘연장선’에서 포스트 사회주의로의 문화 전환 문제를 고찰하고 있다. 항미원조 서사는 신시기를 사회주의 혁명과의 ‘단절’로 보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던 ‘80년대 담론’을 보완하면서도, 마오쩌둥 시기 중국과 그 이후의 혁명적 자아 상상과 전환을 고찰할 수 있는 문화적 매개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1980년대 초 항미 원조 영화 중 가장 대중적이고 변화적 징후가 명확히 드러난 『마음 깊은 곳』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영화 속 ‘생존자’의 이야기, ‘혁명’ 대가정에서 ‘혈연’ 소가정의 추구, ‘여성’ 인민지원군의 등장을 포스트 사회주의 문화징후로 추출하고, 이를 마오쩌둥 시기 항미원조 서사 특징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전후(前後) 서사 변화를 추동하는 배후의 문화 기제를 탐구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사회주의 혁명 시기와의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대로 안정적 전환을 꾀했던 신시기 항미원조 서사의 문화 기획과 그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20세기를 통틀어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스펙트럼의 반대편 극단에 위치하였던 미국에서의 화인들의 삶을 두 문화를 동시에 경험한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변화된 시대의식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높다. 哈金의 경우 20세기 말 미국 이주 화인의 삶을 화려하지 않지만 담백한 문체로 은유된 재현의 방식을 통해 문학에 구현해냈으며 한국에서의 학술적 외연 확장의 중국문 학이라고 범주화했을 때 인지도가 있는 작가다. 여기서는 哈金의 단편소설집을 중심으로 상상된 중국이라는 이미지를 미국 사회와 문단에서 두드러지게 재현할 수 있었던 소설의 특징적인 요소를 주로 살펴보게 된다. 나아가 뉴욕 퀸즈 플러싱이라는 주요 배경이 된 장소에 대해서 그 공간적 의미를 살펴본다. 장소로서의 특수성에 은유된 화인 디아스포라들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로부터 상상된 중국과 미국 내 특수한 로컬의 결합이 어떻게 트랜스문화적 공간 속에서 글로컬 정체성을 만들어내는지의 과정을 진단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哈金의 문학의 지향점이 코스모폴리타니즘을 향해 있다고 가정되는 세계문학 속의 하나의 지점을 만들어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고는 사마천이 「淮陰侯列傳」에서 전형화한 韓信이라는 역사적 인물의 심리 변화 양상을 고찰하되 그 핵심은 문학적 서사구조에서 찾았다. 특히 「淮陰侯列傳」의 서사별 문장과 문체의 특성을 ‘전술-전략의 서사’, ‘수사적 특징과 문학적 변론’, ‘韓信의 심리 변화의 서사구조’라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사마천이 다각도로 재구성한 문학적 서사구조 및 생동하는 묘사와 대화문, 比喩와 引喩 등 다양한 수사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사마천이 ‘韓信-漢王’, ‘韓信-蒯通’의 대화 장면을 통해 해학적 요소와 문학적 서정을 가미하고 韓信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독특한 서술 시각을 드러냈다는 점에도 유의하여 분석하였다. 필자는 司馬遷이 ‘韓信-漢王’의 권력적 역학관계의 묘사에 드러낸 미묘한 감정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사마천이 이러한 장치를 ‘漢王-蕭何’의 관계 에도 설정하고 있음을 고찰함으로써 「淮陰侯列傳」이 명편으로 각인된 이유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마천의 서술방식은 蒯通이 韓信을 설득하는 대목에서 절정을 이루는데, 다양한 수사법 등 문학적 장치를 동원한 사마천의 문학적 필치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사마천이 韓信의 업적에 중점을 두면서도 특히 모반 등의 대사를 중심축에 두고 등장인물 간의 심리적 갈등이 증폭되는 지점에서 사마천의 필력이 돋보 인다는 점도 밝혀냈다. 요컨대, 본고를 통해 「淮陰侯列傳」에서 보여준 사마천의 서술방식은 문체의 내적 형식인 서정성 그리고 풍자와 유머 등과 객관성이 기본 골격을 이루되 韓信이라는 인물에게는 결여된 ‘謙讓’과 과도한 욕망이 모든 일을 그르치고 있음을 다양한 시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제자백가의 각 학파는 비록 주장하는 사상이 서로 다를지라도 동일 사물에 대해서 언급하여 의견을 전달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그러한 사물 중에는 발명품이나 도구도 포함되는데, 본고는 그 가운데 規矩, 즉 그림쇠와 곡자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자백가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이 規矩를 어떠한 의미로 자신의 문장에서 거론 하였는지, 이 도구들이 그들이 주장하는 내용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작가간에 規 矩란 용어를 제시하는 방식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는지 등 문제에 대해 분석했다. 또한, 사상가들이 본인들의 담론에서 規矩를 선택한 이유와, 그것을 통해서 추측 가능 한 당시의 사회상, 아울러 당시 사람들이 세계를 어떤 식으로 인식했는지 분석했다.
본 연구는 챗봇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외국어 교육용 챗봇의 발달 현황과 교육현장에서의 활용 사례를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메신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챗봇 서비스를 국내 중국어 교육에 도입하여, 국내의 중국어 학습용 챗봇 설계방안을 마련하고, 또 이를 활용하는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중국어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여 향후 중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챗봇 활용 수업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학습자 요구를 바탕으로, 개설을 희망하는 교과목을 분류하면서 진로방 향과 관련된 특수 목적 중국어 교육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수업 설계를 위하여 취업환경을 먼저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통해 좀 더 특수 목적에 맞춘 수업을 설계하 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부산 B대학의 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공 분야를 선정하여, 지역 대학 인문계열의 중국어 전공자들에게 부합하는 항공서비스 목적 중국어 교육과정의 기본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수 목적 중국어 교육과정에 필요한 직무와 학습의 복합형 수업 설계를 위하여 NCS를 활용한 강의계획서도 함께 제시하였다.
Chinese tones has always been one of the key and difficult points in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 therefore, the method of Chinese tones has always been the hot topic and focus in the field of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 too. Scholars have put forward advice and suggestions based on their own teaching practice, some of these methods are helpful in teaching Chinese tones. However, most of them are still relatively abstract and difficult for non-native Chinese lear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rners”) to learn tones, it is difficult to reach a consensus in the end.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attentions have been paid to how to enhance learners' perception of tones. So, this paper will also start with strengthening the learners' perception about tones, elaborate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5 degrees of the Method of Five Degrees Notation and the Numbered Musical Notation 1 (do), 2(re), 3 (mi), 4 (fa), 5 (sol), and put forward a teaching method, which combines the numbered musical notation as the tones' value of the four Chinese tones to sing and read(it is called "The Method of Singing and Reading in Combining the Numbers Musical Notation" in this paper). At the same time, combined with the author's teaching practice,this paper argues that the Method of Singing and Reading in Combining the Numbers Musical Notationand can make learners percept Chinese tones more directly, understand them more easily, and make their learning interest stronger, thus to get a good teaching result.
숫자는 객관적 수치를 나타내는 수량 전달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다양한 함축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어에는 종종 숫자와 조합된 줄임 말을 활용하여 어떤 대상을 대신하여 지칭하거나, 주요 내용을 포괄하여 명시하기도 한다. 그중 가장 익숙한 예시로 ‘两会’는 ‘全国人民代表大会’(전국 인민 대표 대회)와 ‘政治协商会议’(정치 협상 회의)를 통칭하는 말이며, ‘一国两制는 “하나의 국가 내에 두 체제를 허용 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단어 구성을 숫자 줄임말이라 부른다. 숫자 줄임말은 특히 사회 정책이나 주요 사안을 제시하는 정부 공문서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각각 상이한 숫자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어 나타난다. 또 일부 숫자는 표면적으로는 같은 숫자라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나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숫자를 제외한 부분 또한 간단한 단어에서부터 구, 비교적 긴 문장까지 다양한 형식을 띠고 있다. 본고는 중국 정부 공문서에서 나타나는 숫자 줄임말의 내부 형식을 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에 함축된 의미도 살펴보고자 한다.
Tense, aspect and epistemic modality belong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have the effect of transforming virtual events into actual events. Linguistic typology studies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future tense into epistemic modality is a common feature of human languages. The future tense markers "- 겠 -" and "Yao"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have the conceptual meanings of "speculation" and "intention", which are used to describe the future events. The description of the future events can be divided into objectively inevitable events and subjectively inevitable or possible events. For these two cases, due to the uncertainty of future events, both of them show strong subjectivity. Therefor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pistem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peaker's certainty of subjective evaluation: inevitability, possibility and virtualit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 겠 -" and "Yao" in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and explain the cognitive mechanism behind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and subjectificat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human body experience is the basis of human cognition of the world, the starting point of cognition and the tool of cognition. Feet refers to the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nd some animals that touch the ground, and are important weight-bearing organs and movement organs of the human body. Chinese and Korean "foot" words are the core vocabulary in both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This article mainly studies simple words and compound words composed of Chinese and Korean “foot” morphemes, and divides their semantic image features into two types: “structural meaning” and “functional meaning”. “Structural meaning” refers to the synthesis of “shape, location, and composition”, and “functional meaning” refers to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the body parts themselves, the semantic functions of human words, and part of speech func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can be found,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and credible semantic examples and theoretical research basis for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hinese-Korean human lexics, and Chinese-Korean bilingual translation.
Tianjin is the largest economic and trade center in northern China. Tianjin dialect is a representative dialect of Tianjin local culture. Tianjin dialect is a vivid and wonderful flower in the garden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The simple and unsophisticated folk customs of the people of Tianjin produced the warm and humorous qualities of the Tianjin people, which are mainly reflected in the Tianjin dialect. The Tianjin dialect does not refer to the language spoken by people in every part of Tianjin. It usually refers to the dialect spoken by local residents in six districts of Tianjin, parts of western and southern suburbs and parts of eastern suburbs. It is a special phenomenon of dialect island. Since the 1980s, some social language experts have devoted themselves to studying Tianjin dialect. This paper briefly introduces the formation history, phonetic characteristics and special vocabulary of Tianjin dialect island. Through the actual survey, the emphasis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Tianjin dialect and the people's attitude toward Tianjin dialect, analyze the reasons for the change in the use of Tianjin dialect, and forecast the development prospects of Tianjin dialect in the future. More scholars are expected to study Tianjin dialect and study Tianjin dialect. The protection and propaganda of words play a positive r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