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p external rotation angle on pelvis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prone hip extension. Sixteen healthy me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Each subject performed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in a prone position, and extended the dominant hip at three different hip external rotation angles (0°, 20°, 40°) with a 30° hip joint abduction.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G Max), gluteus medius (G Med), and hamstring (HAM) and the G Max/HAM and G Med/HAM ratios were determined with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The EMG signal was normalized to 100%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MVICs) and expressed as %MVIC.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lpha level=.05) and the Bonferroni post hoc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G Max and G Med muscle activity were noted among the three different hip external rotation angles. G Max muscle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t both 40° (p=.006) and 20° (p=.010) compared to a 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G Med muscle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t 20° (p=.013) compared to a 4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The G Max/HAM activity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at both 40° (p=.004) and 20° (p=.014) compared to a 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The G Med/HAM activity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at 20° (p=.013) compared to a 4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In conclusion, 40° and 20° hip external rotation angles are recommended to increase G Max activity, and 20° hip external rotation is advocated to enhance G Med muscle activity during prone hip extension with ADIM and 30° hip abduction in healthy subject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caused by the greenhouse effect due to carbon dioxide(CO2) or nitrogen oxides(NOx) generat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including oil and liquefied natural gas. Many countries, including our own, the United States, those of the European Unio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shown growing interest in clean energy, and have been concentrating on the development of new energy-saving materials and devices. Typical non-fossil-fuel sources include solar cells, wind power, tidal power, nuclear power, and fuel cells. In particular, organic solar cells(OSCs) have relatively low power-conversion efficiency(PCE) in comparison with inorganic(silicon) based solar cells,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s and the CIGS [Cu(In1-xGax)Se2] thin film solar cells. Recently, organic cell efficiencies greater than 10 % have been obtained by means of the development of new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which feature improvements in crystalline properties, as well as in the quantum-dot nano-structure of the active layers. In this paper, a brief overview of solar cells in general is presented. In particular, the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the next-generation OSCs including their operation principle, device-manufacturing processes, and improvements in the PCE are described.
As the fabrication technology used in FPDs(flat-panel displays) advances, the size of these panels is increasing and the pattern size is decreasing to the um range. Accordingly, a cleaning process during the FPD fabrication proces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prevent yield redu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PD cleaning system and a cleaning process using a two-phase flow. The FPD cleaning system consists of two parts, one being a cleaning part which includes a two-phase flow nozzle, and the other being a drying part which includes an air-knife and a halogen lamp. To evaluate the particle removal efficiency by means of two-phase flow cleaning, silica particles 1.5μm in size were contaminated onto a six-inch silicon wafer and a four-inch glass wafer. We conducted cleaning processes under various conditions, i.e., DI water and nitrogen gas at different pressures, using a two-phase-flow nozzle with a gap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substrate. The drying efficiency was also tested using the air-knife with a change in the gap distance between the air-knife and the substrate to remove the DI water which remained on the substrate after the two-phase-flow cleaning process. We obtained high efficiency in terms of particle removal as well as good drying efficiency through the optimized conditions of the two-phase-flow cleaning and air-knife processes.
We synthesized Fe-doped TiO2/α-Fe2O3 core-shell nanowires(NWs) by means of a co-electrospinning method anddemonstrated their magnetic propertie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morphological, chemic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thesamples,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photoelectronspectroscopy were used, as was a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The morphology of the nanostructures obtained aftercalcination at 500oC exhibited core/shell NWs consisting of TiO2 in the core region and α-Fe2O3 in the shell region. In addition,the XPS results confirmed the formation of Fe-doped TiO2 by the doping effect of Fe3+ ions into the TiO2 lattice, which canaffect the ferromagnetic properties in the core region. For comparison, pure α-Fe2O3 NWs were also fabricated using anelectrospinning method. With regard to the magnetic properties, the Fe-doped TiO2/α-Fe2O3 core-shell NWs exhibited improvedsaturation magnetization(Ms) of approximately ~2.96emu/g, which is approximately 6.1 times larger than that of pure α-Fe2O3NWs. The performance enhancement can be explained by three main mechanisms: the doping effect of Fe ions into the TiO2lattice, the size effect of the Fe2O3 nanoparticles, and the structural effect of the core-shell nanostructur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the related coupling phenomena with respect to various geometric parameters of Ag nanoparticles, including the size and inter-particle distance. The plasmon resonances of Ag nanoparticles were studied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FDTD) calculations. From the FDTD calculations, we discovered the existence of a symmetric and an anti-symmetric plasmon coupling modes in the coupled Ag nanoparticles. The dependence of the resonance wavelength with respect to the inter-particle distance was also investigated, revealing that the anti-symmetric mode i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inter-particle distance of the Ag nanoparticles than the symmetric mode. We also found that higher order resonance modes are appeared in the extinction spectrum for closely spaced Ag nanoparticles. Plasmon resonance calculations for the Ag particles coated with a SiO2 layer showed enhanced plasmon coupling due to the strengthened plasmon resonance, suggesting that the inter-particle distance of the Ag nanoparticles can be estimated by measuring the transmission and absorption spectra with the plasmon resonance of symmetric and anti-symmetric localized surface plasmons.
The effects of an addition of CNT on the sensing properties of nano ZnO:CNT-based gas sensors were studied for H2S gas. The nano ZnO sensing materials were grown by a hydrothermal reaction method. The nano ZnO:CNT was prepared by ball-milling method. The weight range of the CNT addition on the ZnO surface was from 0 to 10%. The nano ZnO:CNT gas sensors were fabricated by a screen-printing method on alumina substrates.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ZnO:CNT sens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XRD, EDS, and SEM. The XRD patterns revealed that nano ZnO:CNT powders with a wurtzite structure were grown with (1 0 0), (0 0 2), and (1 0 1) dominant peaks. The size of the ZnO was about 210 nm, as confirmed by SEM images. The sensitivity of the nano ZnO:CNT-based sensors was measured for 5 ppm of H2S gas at room temperature by comparing the resistance in air with that in target gases.
Currently, diopside (MgCaSi2O6) crystal glaze is used frequently for pottery works or in earthen wares, though the process is not straightforward. However, to create and control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crystals in desired amounts when making pottery is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a diopside crystal seed was created at a temperature of 1450˚C. After planting this seed in the glaze, a glaze combination and firing process which allows a user to create crystals with the desired position and at the desired size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eation process of the crystals, the growth patterns of the crystals were observed and examined using Raman spectrography and XRD and SEM analyses. As a result, the optimum synthesis condition of the diopside seed was created by mixing 1 mole of CaCo3, 0.2 mole of (MgCo3)4(MgCoH)2·5H2O and 2 moles of SiO2 and then applying a firing process to the mixture at 1,450˚C for 30 minutes. The optimum glaze content of the seed was 70 % feldspar, 20 % limestone and 10 % MgCo3. For the firing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crystal is larger with a longer firing time at 1100˚C by completing a two-hour process at 1280˚C. In addition, the diopside crystal has columnar structure and is less than 1μm in siz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cipitation behavior of the R-phase precipitated at the initial stage of aging and its effec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25%Cr-7%Ni-2%Mo-4%W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The R-phase was mainly precipitated at the interface of ferrite/austenite phases and inside of the ferrite phase during the initial stage of aging. It was transformed into the σ-phase with an increase of the aging time. The ferrite phase was decomposed into a new austenite(γ2)phase and the σ-phase by an aging treatment. The R phase was an intermetallic compound showing higher molybdenum and tungsten concentrations than the matrix and also showed higher molybdenum and tungsten concentrations than the σ phase. In the initial stage of aging, precipitation of the R-phase did not change the hardness, th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The hardness and the strength increased upon a longer aging time, but the elongation rapidly decreas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phas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ardness and the strength, though it did influence the elongation.
NiO catalysts were successfully coated onto FeCrAl metal alloy foam as a catalyst support via a dip-coating method. To demonstrate the optimum amount of NiO catalyst on the FeCrAl metal alloy foam, the molar concentration of the Ni precursor in a coating solution was controlled, with five different amounts of 0.4 M, 0.6 M, 0.8 M, 1.0 M, and 1.2 M for a dip-coating process. The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bonding properties of the NiO-catalyst-coated FeCrAl metal alloy foam samples were assessed by means of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SEM-EDS), X-ray diffraction(XRD),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In particular, when the FeCrAl metal alloy foam samples were coated using a coating solution with a 0.8 M Ni precursor, well-dispersed NiO catalysts on the FeCrAl metal alloy foam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were confirmed. Also, the XPS results exhibited the chemical bonding states of the NiO phases and the FeCrAl metal alloy foam. The results showed that a dip-coating method is one of best ways to coat well-dispersed NiO catalysts onto FeCrAl metal alloy foam.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위대한 항해의 시작”이라는 모토하에, 경인 아라뱃길을 알리기 위하여, TV, 라디오, 신문, 그리고 잡지를 이용한 홍보활동을 시작했다. 이러한 홍보활 동이 경인 아라뱃길에 대한 인식, 인상, 그리고 기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 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차원적 통계방법인 리즈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고, TV와 신문의 경우 경인 아라뱃길을 알리는데 중요한 매체로 분석된 반면, 잡지와 라디오 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매체로 분석되었다. 경인 아라뱃길 홍보활동의 경우, 4대 매체를 동 시에 이용할 때 TV와 신문간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했고, 라디오와 잡지간의 관계에서는 반감 효과가 발생한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이 연구는 어린이들의 전시 관람을 통한 문화예술의 경험을 관람의 목적과 목표, 선택의 과정, 경험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설문, 참여관찰 과 인터뷰, 인터넷 행태, 정책과 문헌에 대한 자료조사를 통해 인류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예 술경험과 문화산업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미래 인재 양성의 방향을 창의성과 문화 분야로 상정하고 있는 한국의 교육적 담론과 정책 속에서 어린이의 예술 경험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그 경험의 주체는 어린이가 아니며, 경험 의 과정은 제도 교육과 문화산업, 예술 시장이 만드는 산업의 맥락에 위치한다. 특히 상업화된 전시의 경험 과정이 주최측의 광고와 마케팅의 영향 속에서 부모와 학교에 의해 선택된다는 점, 상업적 매커니즘에 의해 만들어진 콘텐츠에 노출된다는 점은 어린이들이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산업에 편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 관람의 목적과 효과, 내용에 대한 방향 이 교과 교육에 대한 도움과 주류사회의 문화 체험에 있다는 점은 기존 제도 교육의 틀을 벗어 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 준다.
예술이 갖는 긍정적인 영향력과 효과는 어린이에게 중요한 경험이다. 따라서 날로 광폭해 져 가는 문화산업의 폐해에 맞서는 대안이 되기 위해 전시 관람과 예술 경험의 과정을 재고해 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 방송환경에서 강력한 인기를 모았던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리얼리티 프 로그램중 오디션 포맷은 특히 시청자들의 투표를 통한 직접적인 참여가 인기의 커다란 동인으 로 작용하고 있다고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실질적으로 먼저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만이 갖는 시청동기를 알아보고, 음악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활용되고 있는 시청자들의 참여에 있어, 검색, 추천, 투표 등 각각의 행위 유형이 시청 동기 및 시청자들의 성향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시청의 이용 동기로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오디션심사 관심의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이용 행위 중 검색행위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이용 동기 중에서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그리고 오디션 시 청 플랫폼 수의 순이었으며, 추천행위에는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혁신성, 그리고 SNS 이용시간 순이었다. 또한 투표행위에는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오디션심사관심, SNS 이용시간, 오디션프로그램 시청시간, SNS 이용 빈도 순이었다.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다양성영화를 이용하는 동기가 무엇인지를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 용하여 탐색하고 다양성영화의 지속관람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내용과 추구 가치의 차이로 인해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에 대한 수용자들의 관람동기 유형과 영향력도 다 를 것이라는 논리 하에 두 영화의 관람동기의 유형과 지속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 모두에 대해 유사한 문항과 설명력 수준으로 구성된 총 5개의 관람동기들을(지식추구, 영화학습,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추구) 추출 하였다. 그러나 각 영화 유형에 따라 지속관람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관람동기의 유 형 및 영향력 측면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다양성영화의 경우에는 지식추구, 감상지향, 기분전환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한 반면, 상업영화의 경우에는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 추구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는 <힐링캠프>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토크쇼 출연자의 자기노출 영역과 노출 정 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이를 유도하기 위한 진행자 질문과 끼어들기 유형은 무 엇인지 살펴보았다. 친밀감과 자기노출, ‘조해리의 창’, 그리고 질문과 끼어들기에 대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크쇼 출연자들의 자기노출은 숨겨진 영역에 주로 집중되어 있었다. 노출 시간이 길 었던 소재는 사적 비밀, 괴롭고 힘든 이야기, 가족 이야기, 연애 이야기였다. 토크쇼는 출연자 가 처한 개인 사정을 해명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부여하였으며, 출연자들은 이에 호응하여 적극적인 자기노출 태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토크쇼 진행자의 질문에는 일정한 패턴이 나타났다. 즉, 정보 확인과 사실 확인 요청 형태가 주로 사용되었고 정서 표현 질문은 드물었다. 분석 대상 토크쇼 출연자의 자기노출 영 역에 개인 차이가 있었음에도 전 편에 걸쳐 이러한 질문 패턴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토크쇼 가 구조화된 내러티브로 제작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셋째, 진행자의 끼어들기로는 청자의 간단한 반응 신호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흥 미로운 점은 출연자에 따라 진행자의 끼어들기가 상대적으로 소극적이거나 적극적으로 나타 났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 보조 MC의 경우 주로 반응과 친밀감을 나타내는 끼어들기에 관여 한 대신, 남성들은 무례를 감당해야 하는 비우호적 끼어들기를 전담하고 있었다. 이는 토크쇼 진행자 역할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음을 알게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적인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자기노출과 달리, 토크쇼에서의 자기노출 은 전략적 인상관리 차원에서 이를 활용하려는 출연자와 대중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제작진의 이해관계가 충족되는 장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자기노출이 과연 ‘진 짜’인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것 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이 연구는 현행 방송법 제65조가 행위자별 법적 권한에 대해 명료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 할 뿐만 아니라, 수신료 결정의 ‘교착상태’를 초래하는 규정으로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는 점을 지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2013-2014 수신료 인상 논의과정에서 법적 행위자 들의 실제 행위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담론 및 행위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행위자들의 법적 권한에 대한 평가와 함께 수신료 결정과 관련된 법조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수신 료결정과정의 3단계 중 제1단계와 제2단계에서 나타난 다수결주의는 처음부터 수신료결 정의 교착상태를 예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KBS 이사회의 정파성과 방통위의 정파 성, 국회의 정파성이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다수결주의는 극단적인 입법교착을 가져올 수밖 에 없고 사회적 논란을 증폭시킬 수밖에 없는 요인이다. 양당제 하의 대통령제 권력구조에서 정파적 다수결주의에 의한 입법교착의 발생은 민주주의의 효율성마저 떨어뜨릴 수 있다. 방송 법 제65조에 명시되어 있는 법적 절차는 행위자들의 실질적 권한 중심으로 법률행위가 이루 어지고 있다기 보다는 법률에 명시되지 않은 행위자들의 주도적인 행위/담론과 정파적 의사결 정이 지배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법률적 구조 하에서 행위자들의 실질적 행위가 계속 된다면 앞으로도 수신료 결정이나 인상은 합리적 절차를 담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신료 결 정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수신료 결정단계마다 나타나고 있는 ‘정파적 다수결주의’를 배제하는 일이다. 적어도 3단계에 서 모두 나타나고 있는 정파성을 한 단계라도 축소하는 것이 수신료 결정과정의 합리성을 증 진시키는 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몇 가지 입법 제안을 하였다.
이 연구 는 제작 PD들이 방송 공익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방송 공익성에 대 한 PD의 인식이 시청자들과 얼마나 다르며, 이런 인식적 괴리에 어떤 요인이 개입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KBS의 제작 PD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해서 방송 공익 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에 대한 제작 PD과 시청자들의 평가 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규범적 공익성에 대한 PD와 시청자의 인식은 상당히 유사한 편이었다. PD와
시청자 모두 방송 공익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정치적 독립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었
다. 그러나 방송 공익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작 현장에서 필요한 요인들을 의미하는 ‘실천적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PD와 시청자 간에 유사성과 괴리가 함께 존재하는 모습을 보
이고 있었다. PD의 담당 장르와 경력은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과 시청자와의 괴리 모두에게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요인이었다. 경력이 짧은 드라마, 예능 PD와 오랜 경력의 시사교양 PD
는 방송 공익성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며, 시청자와의 인식적 괴리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
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방송 공익성에 대한 PD들의 인식이 서로 다르며, 동시에 시청자들과도 상당한 인식적 괴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방송사는 공익성의 개념과 구현 방법에 대한 내부적인 조정과 합의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외부적으로는 수용자가 생각하는 공영방송 의 가치를 파악해서 제작진과 수용자 간의 인식 차이를 좁히는 것이 필요하다.
극치료(drama therapy)는 크게 과정지향(process-oriented)의 연극치료와, 연극제작 과 그 생산물에 무게 중심을 둔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과정지향의 여러 연극치료이론과 그 실제에 대한 소개와 실천에 비해 공연 지향의 ‘치료적 연극(therapeutic theatre)’, 혹은 ‘치료적 공연’에 대한 이론적인 정립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에 본 연구는 ‘치료적 연극’의 양상과 개념적 정의 그리고 그에 따른 영역적 특성에서부터 출발 하여,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를 대표하는 연극치료사 스테판 스노우와 르네 에무나를 중심으로 공연지향 연극치료가 지닌 치료적 가치의 특이성과, 이를 발현하는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 다. 무엇보다 스노우와 에무나의 치료적 공연에 대한 공통된 사상과, 그들 각각의 치료적 연극 을 대변하는 ‘수행적 연극치료 모델’과 ‘자기-현시적 연극’을 통해 그들 간 방법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종국에는 치료적 연극이 왜/어떻게 치료적이라 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연극’ 본유의 치유적 속성을 발판삼아 출현한 다수의 특수/장애인 극단들의 연극생 산이 본격화되고 있고, ‘치유’ ‘치료’라는 용어가 공연제목에 유행처럼 덧붙여지는 있는 현 시 점에 있어서 ‘치료적 연극’의 궁극적 목표와 그 특성 및 효과에 관한 본 연구는 치‘ 료적’ 공연 모 색의 지표가 되어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는 뮤지컬 관객의 SNS 사용에 있어 자기 결정성 이론의 중요한 세 가지 변수인 자 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관객 만족과 SNS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 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SNS를 이용하는 뮤지컬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 였으며, 정보 검색 및 공유 역량(자율성)과 정보 전달 역량 및 타인에 대한 영향력(유능성), 커 뮤니티 보유와 지속적 관계(관계성)를 물어 이러한 요인들이 관객 만족과 SNS 재이용에 영향 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자기결정성의 세 가지 요인인 자율성과 유능성, 관계성 은 모두 관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관계성이 더 큰 영 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관객 만족은 SNS 재이용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뮤지컬 관객의 지속적인 동기 부여를 위한 SNS 활용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Cu2O nanowires were synthesized at large scale on copper plate by thermal oxidation in air. The effect of oxidation time and temperature on the morphology of the nanowires was examined. The oxidation time had no effect on the diameter of the nanowires, while it had a great effect on the density and the length of the nanowires. The density and the length of the nanowire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ith increasing oxidation time. The oxidation temperature had a tremendous effect on the size-distribution as well as the density of the nanowires. When the oxidation temperature was 700˚C, uniform size-distribution and high density of the nanowires was achieved. At lower and higher temperatures, the density of the nanowires was lower, and they displayed a broader size-distribu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u2O nanowires were grown via a vapor-solid mechanism because no catalyst particles were observed at the tips of the nanowires.
The β-transus temperature in titanium alloy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sign of thermo-mechanical treatments. It primarily depen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lo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non-linear and complex. Considering these relationships is difficult using mathematical equations. A feed-forward neural-network model with a back-propaga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sim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β-transus temperature of titanium alloys, and the alloying elements. The input parameters to the model consisted of the nine alloying elements (i.e., Al, Cr, Fe, Mo, Sn, Si, V, Zr, and O), whereas the model output is the β-transus temperature. The model developed was then used to predict the β-transus temperature for different elemental combinations.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rained neural-network model to study the effect of alloying elements on the β-transus temperature, keeping other elements constant. Very good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achieved with previously unseen experimental data. Some explanation of the predicted results from the metallurgical point of view is given. The graphical-user-interface developed for the model should be very useful to researchers and in industry for designing the thermo-mechanical treatment of titanium allo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