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59

        3702.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2개 선박회사로부터 입수한 1978년부터 1986년까지의 중요 기관고장에 관한 자료를 주성분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결과는 각성분의 인자부하량 크기에 따라 전기.자동제어기기, 보기류, 배관계, 과급기.냉동기류, 주기관계의 5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2. 기기의 고장현상을 발열.소손, 고장원인은 부식.마모 및 오조작, 그리고 기기이상검출의 수단은 누설.혼탁 등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주기관의 고장원인은 연료.윤활유 불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로 진동.이음에 의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가 많다. 4. 전기.자동제어기기 고장은 피해도 비교적 적으며 기계계의 고장 피해는 큰 편이다. 5. 주기관 등은 기기이상의 확실한 사실에 의하여 이상이 검지되는 경향이 매우 강하며 보기류, 과급기.냉동기.에어콘 등은 운전원의 감각적 판단에 의하여 이상이 검지되는 경향이 강하다.
        4,000원
        3703.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metric 음원을 어탐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본 실험에서는 parametric 음원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 음원으로 어체에 대한 표적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200KHz의 단일주파수 음원으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KHz인 단일주파수로 구동할 때의 지향각은 5.0˚였고, parametric 음원의 주파수가 5KHz, 10KHz, 16KHz, 20KHz일 때의 지향각은 각각 4.3˚, 2.2˚, 3.0˚, 2.5˚로서 주파수 저감비가 감소할수록 지향각이 예리하였으며 부엽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 parametric 음원의 주파수가 5KHz, 10KHz, 16KHz, 20KHz일 때의 음파변환효율은 각각 0.9%(Parametric 이득은 -41dB), 0.55%(parametric 이득은 -45dB), 0.1%(parametric 이득은 -60 dB), 0.04%(parametric 이득은 -68 dB)로 주파수 저감비가 감소할수록 음파변환효율은 급격히 낮아졌다. 3. parametric 음원으로 측정한 어체의 표적강도는 200KHz의 단일주파수 음원으로 측정한 표적강도에 비하여 단일어체일 때는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에서 5 dB씩 낮았으며 어체수가 2~3마리 일때는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에서 1~3 dB 정도 낮았으나 측면부분은 비슷하였다
        4,000원
        3704.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9월중에 남부해역에서 부산수산대학 실습선 402호와 403호를 이용하여 통발 어구로써 어획한 붕장어 Astroconger myriaster의 전장「체중 및 굵기 등의 상호관계와 어체 크기와 어구망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장 L, 체중 W 및 굵기 D의 상호관계는 W=3.58×10 상(-4) L 상(3.38) (r=0.99). D=0.07 L-0.59 (r=0.99). W=10.38 D 상(2.76) (r=1.00). W=1/2×D 상(2)「L 과 같이 표현된다. 2. 붕장어를 어획하는 통발 어구의 그물코 크기와 구멍의 직경은 각각 29.2mm, 18.6mm이상 되어야 한다.
        4,000원
        3705.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치망어업에 의한 최근 15년 간(1971~1985년)의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경년변동과 계절변동, 해역별 및 어종별 어획량 변동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은 1971년에 16,787M/T, 1985년에 84,103M/T으로서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978년부터 급격히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 99,475M/T으로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쥐치가 대량 어획되어 어획량의 64%를 차지하였고, 1976년 수산어법의 개정에 따른 통계수치의 증가에 원인이 있으며, 연안 수온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월평균어획량이 10~11월에 8,000~12,000M/T으로서 년평균 어획량의 32%를 차지하므로 정치망어업의 주어기는 10~11월로 볼 수 있다. 3. 1976년 이전에는 남해구에서, 1977~1980년에 동해구에서 정치망어업을 주도해 왔으나, 1981년 이후에는 그 경향이 불규칙하였다. 4. 어획량변동의 유사성 측면에서 볼 때, 어종별 어획량변동은 뱅어, 도루묵, 갈치, 멸치, 등과 같이 어획량이 감소하는 군, 노가리, 밴댕이, 망둥어, 전어, 양미리, 쥐치 등과 같이 증가하는 군 및 그 외 증감경향이 불분명한 군의 3개 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4,000원
        3706.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도등렬로서 집어된 어류를 목적장소까지 유도하기 위하여 2가지의 유도등 점멸방법 (Normal, Nega 방법), 3가지의 점멸간격 (1,5,10분) 및 3 가지의 적응등용전구 (1, 10, 20 W)를 사용해서 말쥐치 Navodon modestus(GUNTHER)에 광자극을 주었을 때 그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ormal 방법에 의한 점멸간격과 적응등의 밝기에 따른 유도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동계수는 각각 16.78% (1 분), 9.71% (5 분), 8.96% (10 분), 9.71% (1 W), 15.00% (10W), 21.08% (20 W)였고, 최종구간에서의 유도율은 각각 80.0% (1 분), 86.0% (5 분), 85.0% (10 분), 86.0% (1 W), 78.7% (10W), 72.7% (20 W)였다. 2. Nega 방법에 의한 각 점멸구간에서의 어류분포는 점멸간격과 적응등의 밝기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점등구간에 분포했으며 그 중 소등구간에 인접한 점등구간에 많이 분포하였다. 3. Nega 방법에 의한 최종구간에 대한 유도율의 변화는 L자형이 되었으며, 최종유도등만 점등되었을 때의 유도율은 각각 96.7% (1 분), 100% (5 분), 96.0% (10 분), 100% (1 W), 100% (10W) and 88.0% (20 W)였다.
        4,000원
        3707.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4, 85, 87년에 걸쳐 7~8월에 부산402호(380GT, 850PS)를 이용하여 한국동해안 주요항구 입구와 외해에서 해중소음과 선박기관소음의 해중음압 분포와 그 음의 스펙트럼 특성을 해황별로 환경소음과 선박기관진동소음으로서 비교.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속 0~2m/sec일 때 깊이 5m층에서의 환경소음의 음압준위는 부산 동항에서는 108dB, 부산 남항에서는 106dB, 구룡포항에서는 101dB로서 항내에 소음원이 많을 때는 높고, 그렇지 않을 때는 낮았다. 한반도와 울릉도 중간의 외해에서는 다같이 100dB로서 항구 부근보다 낮았다. 또 외해에 있어서 깊이에 따른 음압의 분포는 깊이 20m, 70m 층에서는 5m층에서 보다 1~2dB 낮고, 100m층 이하에서는 100dB로 거의 일정했다. 2. 풍속 10~15m/sec일 때, 외해에서의 환경소음의 음압준위는 5m층에서 108dB이고 그 후 점차 낮아져 70m 층에서 100dB이며, 그 이하에서는 100dB로 모두 같았다. 선박기관진동소음의 음압준위는 깊이 5, 50, 100, 150, 200m층에서 각각 146, 125, 112, 110, 104dB로서 깊어짐에 따라 점차 낮아졌다. 3. 풍속 10~15m/sec일 때 외해의 깊이 5m층에서 10Hz, 100Hz, 1KHz, 10KHz의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레벨은 해중소음이 각각 86, 75, 61, 32dB, 선박진동소음이 각각 105, 95, 86, 55dB로서 후자가 전자보다 20dB 정도 높았다. 200m층에 있어서는 전자가 80, 68, 47, 26dB, 후자가 82, 70, 59, 31dB로서 후자가 전자보다 4dB 정도 높았다.
        4,000원
        370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어통발의 P.P깔때기 살과 대나무 깔때기 살의 탄성을 측정하고 측면 구멍을 막은 통발과 원형의 유수저항, 침강시간 및 미끼의 냄새확산 등을 관찰한 다음 해상어획 시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P 깔때기 살의 탄성은 대나무 살보다 훨씬 작고, 하중이 증가할수록 탄성회복도는 감소하였다. 2. 플라스틱 장어통발의 유수저항 R(kg)는 유속 V(m/sec)에 따라 다음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0.36V 상(2.01) 3. 장어통발의 침강시간은 측면 구멍을 막은 경우 수면상에서의 완전 침수까지 1~2초 정도 원형보다 지연되나 그 후의 침강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4. 통발 내의 미끼 수용액은 측면 구멍을 많이 막을수록 원형보다 입구쪽으로 집중되어 확산되었다. 5. 측면 구멍을 일부 막은 통발과 원형을 가지고 어획시험을 한 결과 통발당 평균 어획미수나 평균어획량의 어획성능에 있어서 뻘로 된 어장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같다.
        4,000원
        3709.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색광에 대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능성어의 구간별 분포곡선은 양단구간보다 중앙구간에 많이 모여 대체로 ∩자형이 되었으며, 주야간의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였다. 2. 양색광쪽에서의 평균분포차는 8.07%(1.05~22.45%)였고, 주간(3.58%)보다 야간(12.55%)에 더 많았다. 3. 능성어가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청색, 적색, 백색, 황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적색, 청색, 황색, 백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일정한 증감추세를 보이지 않고 계속 불안전하게 변동했다. 5. 두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비교적 뚜렷하지 않았으나, 주간보다 야간에 그 차가 심했다.
        4,000원
        3711.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 분포는 광원에 따른 분포곡선의 형태가 서로 상이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대단히 심했다. 2. 능성어는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으나, 야간에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 B, C광원)하에서는 광원쪽에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24.13 lux (15.25~35.93 lux), 야간에 0.14 lux (0.25~0.63 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20.23%, 야간에 47.30%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과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했는데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D 광원)하에서는 야간의 집어율이, 빛의 세기가 강한 광원 (E~H 광원)하에서는 주간의 집어율이 각각 더 높았다.
        4,000원
        3712.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자기컴퍼스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자장발생장치와 컴퍼스 회전태를 이용하여, 수평자장의 세기와 컴퍼스 보울의 선회각속도 및 컴퍼스액의 점성계수에 따른 수반각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평자장의 세기를 한국근해의 표준자장인 0.30 gauss로 하고, 보울의 선회각속도를 (π/2×rda.)/min. 으로 하여 2회전(0~720˚ 시켰을 때의 컴퍼스 종류별 수반각의 과도특성은,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A, B 컴퍼스의 180˚를 주기로 편각의 최대, 최소치가 크게 나타났으며, C, D 컴퍼스는 90˚를 주기로 편각이 1~2˚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2. 컴퍼스 종류별 수반각의 크기는 A, C, D 컴퍼스는 각각 0.7˚, 0.7˚, 0.5˚로써 IMO/ANEX-II의 성능표준이나 ISO의 허용범위 1.0˚보다 적어 한국근해에서의 사용이 적합하나, B 컴퍼스는 1.5˚로써 다소 크게 나타났다. 3. 수평자장의 세기에 따른 수반각은, 전자장내에서 C컴퍼스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다음 D, A, B컴퍼스 순으로, 수평자장이 약해짐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며, 지자기의 수평자장이 0.18 gauss 보다 약한 위도 50˚ 이상의 고위도해역에서의 사용은 부적합
        4,000원
        3713.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압관로에서의 캐비테이션 발생 기구를 조사할 목적으로, 과도흐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초생에 관한 실험 및 압력이 급강하 할 때의 기포 성장에 대한 계산을 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기초로 한 계산에서, 작동유가 절대압 영이하의 부압에 노출되어도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장력을 갖기 위해서는 소위 말하는 기포(기포 주위의 액체가 연속체로 간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기포)가 유중에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음이 입증되었다.
        3,000원
        3714.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에서는 작동 유체중에 포집되어 있는 불용성 포집 계면층을 통과하는 금속입자 운동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호 불용인 착색 글리세린수용액과 사염화탄소 등의 계면층을 만들고 단일강구를 하강시켜 이 계면을 통과 할 때의 계면의 변화에 의한 유체 이동의 궤적과 그 후연에 생기는 기포체적에 관한 이론해석 및 실험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상층액 내에서의 강구 하강에 의한 유체 이동궤적은 상층액과 하층액의 비중 및 점도가 모두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층액의 두께에 영향을 받는다. 2. 하층액의 점도가 상층액의 점도와 같거나 큰 경우의 불용성 계면에서는 용액의 물성치에 관계없이 그 궤적 형상이 일정하고, 하층액의 점도에 의해 지배적이며 그 궤적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1)/(V-2.35)=0.014+0.038μl super(-1) + 0.028μl super(-2). 3. 하층액의 점도가 상층액의 것보다 큰 경우의 유체 이동궤적의 체적은 구의 하강거리와 상하층액의 점도비에 의해 다음과 같다. V(Sr) super(0.34)=7.86a super(-2.08). 4. 후류기포생성체적의 비는 R sub(e)수가 100 이하에서 R sub(e)수에 의존하나 그 이상에서는 M sub(0)수의 영향이 지배적이며 그의 상관식은 다음과 같다. (V sub(w)/V sub(b))M sub(0) super(-0.22)=0.012R sub(e) super(1.53) ; R sub(e)〈100. (V sub(w)/V sub(b))M sub(0) super(-0.22)=62.5 ;R sub(e)〉100
        4,000원
        3715.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으로부터 다음의 결론을 얻는다. 조파저항 이론의 전개에서 Michell 적분보다 더욱 정밀한 Neumann-Kelvin 문제가 복잡한 kernel 함수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원점 부근에서 Kelvin 소오스의 점근거동을 조사하여 세장체 근사를 행함으로 N-K 문제의 kernel 함수에 대한 근사와 동등하게 처리될 수 있었다. 조파저항의 계산 결과가 Michell 적분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실험치와의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세장선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훨씬 복잡하고 지루한 작업을 들 수 있었다. 전진 속도를 갖는 경우에는 수정된 Green정리를 이용하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717.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선유속계를 이용하여 디이젤 기관 연소실내의 한점에서 유속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소실내의 유동은 cylinder의 원주방향의 속도 성분이 크며, 유속변화는 밸브 timing과 피스톤 속도등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유속은 흡입시부터 증가하여 압축행정중 흡입밸브가 닫히는 60˚ABDC에서 최대치를 갖고 이후 피스톤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속도 감소하여 팽창행정중 배기 밸브가 열리는 120˚ATDC에서 다시 증가하였다. 3. 평균유속은 shroud 밸브 사용시가 no shroud 밸브 사용시보다 낮지만 shroud 밸브 사용시 흡입행정에서 난류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4. 90˚shroud 밸브 사용시가 120˚shroud 밸브 사용시보다 난류강도는 더 크고, 90˚shroud의 180˚위치에서 난류강도가 제일 크게 나타났다.(이 논문의 결론부분임)
        4,000원
        3718.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종재 마찰용접재 강도특성과 초음파 반사계수와의 상관성에 관하여 실험적으로 연구한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이종재 마찰용접 이음면에서의 초음파 반사계수를 펄스반사법에 의하여 측정산출할 수 있다. 2. 5MHz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탐촉자를 사용하므로써 시험편의 표면가공 오차를 무시할 수 있다. 3.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의 마찰용접에서는 용접조건으로 마찰가열시간이나 가열압력을 변수로 하였을 때보다 업셋가압력을 변수로 하였을 때 반사계수의 변화가 뚜렷하다. 4. 업셋가압력을 변수로 한 용접조건과 반사계수사이에는 선형적 상관관계가 있다. 5. 용접이음면에서의 이음인장강도와 반사계수와의 상관관계식을 정량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6. 초음파 반사계수에 의해 이종재 마찰용접 품질의 비파괴적 평가가 가능하다
        4,000원
        3719.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산 소형어선용 예연소실식 디이젤기관에 혼합연료유(정유+중유)를 사용할 경우 혼합연료유의 성질, 연소특성 및 기관성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연료유의 혼합비율(중량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중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점도-온도 곡선은 Walther-ASTM 식과 일치하였으며, 착화성지수인 CCAI의 값은 기울기 1.0에 가까운 직선으로 증가하였다. 2) 동일운전조건에서 착화지연은 CCAI의 값이 810(혼합비율 60%)까지는 미소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값에서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혼합연료유의 착화성을 나타내는 CCAI의 값은 810 이상에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3) 연소최고압력은 혼합비율 40%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며, 그을음농도는 60%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므로, 본 실험에서 무그을음 연료비절감의 안전운전 혼합비율은 50%가 적당하다
        4,000원
        3720.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6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계측.제어용의 계산기를 시험제작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장치는 필요 최소한의 부품만을 요구하므로 고도의 수학적인 계산능력보다 속도의 신속성이 요구되는 계측이나 제어에 저렴한 가격으로 응용될 수 있다. 2) Stand by current 만을 공급하는 기법을 동원하여 자기 디스크나 테이프 레코오더의 도움없이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었다. 3) 본 장치는 매우 간단한 관계로 주변장치의 의한 제약조건이 적어서 계측.제어의 응용에 매우 적합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