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1

        18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me-series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a 155mm refractor and a 2k×3k CCD camera at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We found 38 new variable stars in the 2.3°×2.4° region around the Cepheid variable TU Cas: 22 eclipsing binary stars, 11 δ Scuti type stars and an RR Lyrae star, and 4 unclassified variables.
        4,000원
        18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been performing a wide-field photometric monitoring program, named SPVS (Short-Period Variability Survey), at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The observation system consists of a small refracting telescope (D = 155 mm, f = 1050 mm) and a 2k×3k CCD Camera. The field of view is 1.0°×1.5°. Detection limit is about V = 13 for short-period small amplitude variables such as δ Scuti-type pulsating stars, and about V = 15 for long-period large amplitude variables such as eclipsing binaries and RR Lyrae stars. The instrument is designed to be remote-controlled through interne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search for variable objects in bright Galactic open clusters. We present results of test observations conducted towards NGC 7092.
        4,000원
        19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찹쌀과 멥쌀로 진양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찹쌀 진양주의 주모는 α-amylase가 121.0 unit, β-amylase가 40.0 unit이었으며 산성 중성 protease 각각 34.2, 23.7 unit의 활성을 나타냈다. 멥쌀 진양주의 경우는 α-amylase는 156.0 unit, β-amylase는 45.2 unit를 산성 중성 protease 활성은 각각 9.1과 0.1 unit로 나타났다. 찹쌀 진양주와 멥쌀 진양주의 발효 과정 중에 pH는 0일에 각각 5.33, 4.04이었으나 발효 3일부터는 일정한 값을 나타냈다. 산도는 찹쌀 진양주가 2.30%, 멥쌀 진양주가 2.05%로 발효 3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lcohol 함량은 찹쌀 진양주는 2.58~13.5%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멥쌀 진양주 또한 2.51~15.5%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멥쌀 진양주의 alcohol 발효가 더 우수하였다. 유기산은 oxal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등 6가지를 측정한 결과, 총 함량이 찹쌀 진양주는 4.38mg%, 멥쌀 진양주는 7.63mg%로 거의 2배 정도가 멥쌀 진양주의 양이 많이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maltose, glucose, fructose, sucrose를 측정한 결과, 찹쌀 진양주가 4.98 m%이었고 멥쌀 진양주가 2.90 m%로 찹쌀 진양주에서 더 많은 유리당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찹쌀 진양주가 멥쌀 진양주에 비해 종합적 기호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9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국에 존재하는 항충치활성 물질 및 glucosyltransferase 저해 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감국 ethanol 추출물의 항충치활성을 S. mutans 및 구강세균에 대해 검색한 결과, S. mutans와 2종의 구강세균에 대하여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국 ethanol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GTase 저해효과는 78.4~92.3%의 범위로 나타나 농도가 증가할 수록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감국을 ethanol로 추출,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활성성분을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TLC 그리고 HPLC 등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감국에 존재하는 항충치활성 물질은 약간의 극성을 띠는 중성물질로 분자량이 200-400정도 되는 저분자 물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95.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atic stretching and Evjenth-Hamberg stretching the on range of motion (ROM) of the knee joint.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twenty healthy males without weight-training experience. The ROM of the knee joint was measured by using an En-Knee. Three tests (performed on the 1st week, 4th week, and 8th week)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 of each variable. Data were analyzed with a analysis of variance (grouptest) for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through SPSS 10.0.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e change in the ROM was dependent on the stretch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OM was improved in both methods by each time, but the E-HS was more improved than the SS.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HS is more efficient than the SS on the ROM of the knee joint.
        4,000원
        196.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임상 조건하에서 수정란이식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이식 시술자 측면의 숙련도, 난이도, 소요시간, 주입 위치, 자궁의 출혈 및 위치 조절이 체외수정란이 이식된 수란우의 임신과 유산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임신율은 숙련된 시술자, 자궁각 2/3 지점에 이식 및 위치 조절군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으나, 이식 난이도, 소요시간 및 출혈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시술자 측의 요인에 따른 유산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
        4,000원
        20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servation environment of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BOAO) has been examined using various statistical data including real observation times versus allocated times and seeing statistics.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observation logs of the 1.8m telescope in the period 1998 - 2004. New criteria have been set up to calculate a more realistic observation efficiency of the observatory. The new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new criteria gives the overall observation efficiency of BOAO as 38.6%, that is equivalent to 115.8 observable nights out of 300 allocatable nights. The seeing statistics shows that the mean seeing measured at the focal images is 2".3. The present study of the observation environment of BOAO suggests that differential photometry and spectroscopy should be preferred modes of observation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of BOAO.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