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3

        182.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핵폐기물 매립장의 인공 방벽으로 사용되는 시멘트 물질들과 주변 지하수 반응 결과로 형성되는 강알칼리성 지하수와 주변 암과의 반응을 통해 변화되는 지하수 특성을 지구화학 모델링을 통해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멘트 수화반응을 통해서 pH는 13.3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생성되는 광물들은 Brucite, Katoite, Calcium Silicate Hydrate(CSH 1.1), Ettringite, Hematitie, Portlandite였다. 이들 광물들과 경주 지역에서 채취된 지하수의 반응 모델링에서는 지하수의 pH가 12.4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강알칼리성 지하수와 주변 화강암과의 반응은 년 동안 반응속도 모델링을 통해 모사하였다. 그 결과 지하수의 최종 pH는 11.2였으며 pH는 규산염 광물과 CSH 광물들의 용해 침전에 의해 조절되고 있었다. 또한 지하수 수질도 이들 광물들과 점토광물 및 산화광물들의 용해 침전에 의해 결정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기간 동안의 강알칼리성 지하수와 주변 암과의 반응 모델링을 통해 지구화학 및 수질 변화를 예측함으로서 인공 방벽의 안정성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8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리층 두께가 5 μm이며 Si/Al 몰비가 1.5인 Na형 faujasite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이차성장 공정에 의하여 제조하였고, 투과부에 13X 제올라이트 흡착제 충진 전후의 진공모드에서의 CO2/N2 분리거동을 CO2/N2 몰비가 1인 혼합기체에 대하여 30℃에서 평가하였다. 충진된 13X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CO2 투과도와 CO2/N2 선택도를 동시에 증진시켰다. 이 현상은 13X 제올라이트 흡착제 충진이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의 기공채널을 통한 CO2 탈출을 증진시킴으로써 faujasite 제올라이트/α-알루미나 상계면에서의 CO2 탈착을 증진시켰기 때문으로 설명되었다. 본 논문으로부터 흡착제와 분리막의 혼성화는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선택도와 투과도의 역비례 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4,000원
        186.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hwann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Upon nerve injury, Schwann cells are activated and produce various pro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IL-6, LIF and MCP-1, which result in the recruitment of macrophages and phagocytosis of myelin debris. However, it is unclear how the nerve injury induces Schwann cell activation.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necrotic cells induce immune cell activation via toll-like receptors (TLRs). This suggests that the TLRs expressed on Schwann cells may recognize nerve damage by binding to the endogenous ligands secreted by the damaged nerve, thereby inducing Schwann cell activa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we stimulated iSC, a rat Schwann cell line, with damaged neuronal cell extracts (DNCE). The stimulation of iSC with DNCE induced the expression of various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IL-6, LIF, MCP-1 and iNOS. Studies on the signaling pathway indicate that NF-xB, p38 and JNK activation are required for the DNCE-induced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Furthermore, treatment of either anti-TLR3 neutralizing antibody or ribonuclease inhibited the DNCE-induced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in iSC. In summa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maged neuronal cells induce inflammatory Schwann cell activation via TLR3, which might be involved in the Wallerian degeneration after a peripheral nerve injury.
        4,000원
        187.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gle-pass flow-through (SPFW) 방법에 의한 유리고화체의 용해율 측정에서 정밀도를 구하기 위하여 연구소간 실험프로그램의 하나로서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정용해율을 구하였는데, 이 SPFT 방법은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에서 표준화를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100/200 mesh 크기의 모의 저방사능 유리고화체 분말시료를 , 알곤 분위기에서 SPFT 방법으로 리튬 완충용액 (pH=10)을 이용하여 용해실험을 시도하였다. 얻어진 용출액 중 규소와 붕소의 농도에 따라 용해율의 변화를 구한 결과, 유리의 정용해율이 부근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8.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의지하수중에서 가압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로부터 세슘의 침출률에 미치는 공학적 방벽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난 약 6년간 벤토나이트 또는 금속시편등의 존재여부에 따라 침출시험을 수행하였다. 침출률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정시간이 경과한 다음부터는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벤토나이트 또는 금속시편이 있을 경우 세슘의 누적누출분률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이들이 없는 경우의 누적분률은 급격히 증가한 다음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누적분률에서 갭에 존재하는 세슘의 재고량을 제한 값은 공학적 방벽이 존재하는 경우의 누적분률에 거의 근접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용후핵연료 중 세슘의 초기누출분률은 갭 중 세슘의 재고량에 의존하지만, 세슘의 장기침출률은 공학적 방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그러나 세슘의 초기침출률은 공학적 방벽의 지연효과로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처분장에서 사용후핵연료 중 세슘의 장기침출률은 를 넘지않는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값을 가질 것이다.
        4,000원
        189.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01' pl'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olecular events in apoptosis by CoCl2, mimicking hypoxic cond ition and recovering effects by LED ir l'adiation on Human SH-SY5Y neuroblastoma cells The SOUl'ce 0 1' light for ir l'adiation was a continuous-wave LED emitting at a wavelenl양h of 590 nm, and manufactured that ene rgy density was 5 mW!cm2 on sample surface, After ir l'adiation, cell viabi lity was measured with BrdU , cell morphol ogy was examined with Diff- Quik staining, cell signaling was monitored with various apoptosis-related molecules using RNase Pl'otection Assay(RPA) , W11en treated with CoC12, apoptotic induction was found in the SH-SY5Y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and time-dependent manner , Diff-Quik s taining was revealed that DNA fragmentation re presented apoptosis was examined in CoC12-tl'eated group, Moreover, RPA assay of SH-SY5Y cclls lIs ing val'iolls apoptosis-related molecllles showed that the apoptotic cell population was mcreased J-loweve. there was sorne signifïcant change in LED irradiatied cells aftel' treatement of CoC12 The main mechanism for Lhese a poptosis appearecl to be mito c hondriεt - m ecliated pathway, such as cytochrome- c‘ caspase-9, caspase-3, pro-apototic protein ßax, anti-apototic protein Bcl-2, and death receptor• mediated pathway, such as Fas, cas pase- 8, a ncl TNFR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oCI2 induce apoptosis in SH-SY5Y via different dual apop tosis pathway through death receptor pathway as well as mitochondria- dependent pathway and LED irradiation can recl llces the CoCl2-induced apoptosis by blocking their internal signaling pathway
        190.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칼슘-벤토나이트와 접한 약 의 우라늄 산화물을 함유한 유리고화체가 알곤 분위기에서 모의 화강암지하수에 의해 침출되었을 때 노란색의 우라늄화합물이 벤토나이트와 고화체의 경계면에 농축되었다. 6년간의 침출후 형성된 우라늄 화합물이 beta-uranophane 임을 XRD, 적외선 스펙트럼과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이 화합물의 용해도를 , 탈이온수에서 측정한 결과 약 이었다.
        4,000원
        192.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sencephalic trigeminal nucleus (Mes V) contains cell bodies of primary afferent sensory neurons that relay proprioceptive information from the periodontium and masticatory muscles and function as typical sensory neurons or potentially as integrative interneurons.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these two potential functions using combined experimental approaches of retrograde labeling and whole cell patch clamp recording. Mes V neurons that presumably originate from periodontal nerve fibers in subsets of Mes V nucleus were identified by retrograde labeling with a fluorescent dye, DiI, which was applied onto inferior alveolar nerve. These cells were elliptical perikarya shaped cells about 40μmin diameter. In these neurons, we measured high voltage-activated calcium channel (HVACC) currents GABAв agonist, baclofen, inhibited calcium currents, and the HVACC currents inhibition by baclofen was voltage-dependent, exhibited prepulse facilitation, indicating that it was mediated by Gi/Go protein.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Mes V neurons not only have cell bodies originating from periodontium, but also receive synaptic inputs including GABAergic neurons suggesting that Mes V neurons function as both primary sensory neurons and integrative interneurons.
        4,000원
        19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μ방lt emitting diodes (LED) devices are commercially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for low-Ievellaser therapy (11ι,T) , and it has several advantages over lasers such as a safe, efficient, and less-expensive altemative to treat wounds. And LED irradiation at the same biostimulatory wavelength has similar bíochemical effεαs. In the present study, to asses whether the I핑ht-emitting diode (LED) irradíation can stimulate bone regeneration, irradiated bony defects with or without grafting materials on rat calvaria were compared to corresponding nonirradiated control. Fifty male Sprague-Dawly rats weighing about 150g, were used. Factors for present study were designed as follows, 1) presence or absence of grafting materials, 2) with or without irradiation, and 3) number of irradiation. Two weeks after operation, rats were sacrifìced. Radiologic and 비stomorphologic fmdings were evaluated. Macrospically, there were no incidents of infection, dehiscence, hematoma and necrosis during study. Radiological findings showed greater radiopacity in the graft group and radiopacity increased as the number of irradiation increase. And microscopically, new bαle formation was great in the graft group and increased as the number of irradiation increase, Present study has shown that LED irradiation improved bone regeneration through radiologic and histomorphologic fmdings in ra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