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2

        301.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초지조성시와 관리시에 시용하는 인산질 비료의 시용이 초지식생, 목초 및 토양의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무시용구의 3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포장 배치하여 1989년 9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수원 근교에서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산질 비료 무시용구의 식생은 불량하였으며 인산시용에 의해서 두과 목초의 비율이 증가되었는데 특히 초지관리시의 인산효과가 현저하였다. 2. 목초의 무기물 함량중 질소,
        4,000원
        302.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at the grassland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grasses, a field experiment was arranged with four treatments as a randomized complcte bloc
        4,000원
        30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과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유휴지와 휴경지 뿐만아니라 논을 이용한 양질의 조사료를 연중생산 하기위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바 본 연구에는 여러 초종의 목초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드카나리그라스 등7품종 단파와 톨페스큐 혼파를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논 포장에 2007년 10월1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 6m2 로하고 파종방법은 산파하였고, 시비량은 화본과 목초는N-P2O5-K2O = 210 : 150 : 180 (kg/ha), 두과목초는 N-P2O5-K2O = 50 : 120 : 120 (kg/ha) 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 특성인 간장, 착수고, 출사기,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 구 전체를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서 임의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남부지역 논재배에서 목초류 초종 선발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생초 수량이 87.1ton/ha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톨페스큐가 70.7ton/ha이고 건물수량은 각각 23.9ton/ha , 16.2ton/ha 이고 두과류에서는 헤어리베치가 생초수량이 32.4ton/ha로 가장 많지만 건물수량은 9.3ton/ha에 불과하였고 특히 크림손클로버는 수량이 저조하지만 꽃이 붉은색이어서 경관을 조성할 목적으로 어메니티 측면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톨페스큐 혼파초지에서는 건물수량이 13.5ton/ha이었고 예취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클로버가 점차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민경제가 발전하면서 동물성 단백질의 수요증가로 국내 가축의 사육두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와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바 타작물에 비해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적응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논 재배용 수수류 품종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도입 품종인 점보 등 6품종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2007년 5월3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12m2 로하고 재식거리는 50cm 간격으로 6열을 파종하였고 시비량은 N-P2O5-K2O=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 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초장,출수일,당도,내습성,병해,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4열중에 가운데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율과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수수류 유망품종으로는 Revolution, SX17 등으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건물수량이 31톤/ha, 25톤/ha 등이며 생육이 양호하며 소화율이 47 ~ 48% 이고 NDF는 각각 64.8%, 70.2% 등이고 ADF는 각각 40.2%, 43.2% 등으로 양호하였다.
        30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와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축산농가는 경영비 상승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양질 다량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배수가 양호한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국산개발 옥수수와 도입 옥수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자 이들을 재배하여 논 재배 적응성과 수량성을 알아보았는바 공시재료는 국내 육성 품종인 광평옥 등 2품종과 도입 품종인 P3394 등 4품종 총 6품종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2007년 4월23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재식거리는 70 x 15cm로 시험구당 12m2로 하고 시비량은 N-P2O5-K2O =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농촌진흥청 옥수수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간장, 착수고, 출사기, 당도, 내습성,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4열중에 가운데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옥수수 유망품종으로는 강다옥과 P3394 등으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생육이 양호하며 건물수량은 각각 28.8톤/ha, 25톤/ha 등으로 옥수수도 밭뿐만 아니라 배수한 양호한 논 토양에서 논 재배가 가능한 여름철 사료작물임을 알 수 있었다.
        30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고품질의 조사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바 본 연구에서는 사료용 옥수수를 재배하여 사일리지를 만들어 가축급여를 할 경우에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함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국내육성 옥수수 사이에 콩을 간작하여 논 토양에 옥수수 재배에서 필요한 질소를 고정하고 이를 옥수수가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옥수수와 콩의 공존으로 수량뿐만 아니라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한 가능성을 알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육성 품종인 광평옥에 논토양에 적응성이 있는 작두콩과 강낭콩을 간작으로하여 충남 천안 농가의 논 포장에 2008년 5월27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재식거리는 70 x 15cm로 시험구당 12m2로 하고 시비량은 N-P2O5-K2O =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농촌진흥청 옥수수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간장, 착수고, 출사기,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 4열중에 가운데 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옥수수에 작두콩과 강낭콩을 간작하였을 경우에 옥수수 단작보다는 수량적인 측면에서도 콩 간작이 높았고 사료가치면에서도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현제 시료를 분석 중에 있으며 작두콩과 강낭콩 중에서 작두콩이 수확기까지 잎과 줄기가 녹색을 띠고 있어 유망하다고 할 수 있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