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1

        322.
        199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pple is most favorable fruit in Korea, and apple farmland has been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agreements of Uruguay Round and apple is considered as one of strategic agricultural goods. Especially expansion of apple farmland is concentrated in Kyungpook region because of the suitable climate and its market share is about 70 percents in 1992. But in tree age of apple, although newly and replanting area is increasing, the rate of old orchard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varieties of apple, it is concentrated in Fuji and is forecas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amount of apple production of Kyungpook region is 480 thousand tons, that is concentrated in Wui-sung, Young-ju and An-dong. The quantity of apple production per 10a. is 1,315kg, that is low level compared with that of America and Japan, and the gap of technology among farmers is heavily. The difficulties of apple farming in Kyungpook reg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mechanization and facilities due to the small scale of farmland, second, lack of rural labor force, third, concentration on Fuji apple varieties, fourth, low productivity of apple farming.
        4,000원
        323.
        199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measured lagrangian currents in the coastal regions off east coast of Korea. The experiment sites are the Ulijin region where Polar Front of the East Sea is formed and the Ulgi region where coastal upwelling occurs frequently in summer. Each drifters are equipped with GPS receiver, and their trajectories are montiored by receiv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drifters through radio signal. The experiment with 'transmitting' GPS is very useful in monitering flows in coastal regions. Trajectories of drifters in the Uljin Polar Front region in October 1994 showed counterclockwise flow pattern. The flow pattern agrees with the SST distributions obtained from NOAA-11 AVHRR image for the same period. The lagrangian trajectories of drifters at 5m and 15m depths in the Ulgi region for normal period of April 1995 showed that the currents at the top 15m layer are almost uniform and their magnitude is 29cm/s. However, the currents, measured by KORDI, during the upwelling period of June 1994 showed that the currents at 5m depth were 1.2 times stronger than those at 15m depth. The current pattern in the Ulgi upwelling region agrees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seawater temperature measured by NFRDA at the same period.
        4,000원
        324.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구조해석을 위한 전후처리 통합운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구조해석, 전처리 및 후처리가 윈도우즈 환경에서 통합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데, 다중처리, 객체연결 및 결합 기법 등을 사용한 다중 윈도우상에서 대화식 입출력 기능과 여러가지 입출력 결과의 동시표현 등으로 더 향상된 그래픽 사용자 접속장치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메뉴, 대화상자, 다중 윈도우상에서의 단계별 자동입력 등을 통하여 자료의 입력이 용이해졌고, 동일 화면상에서 입력자료와 출력결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본 시스템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구조물에 대한 정적 및 자유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4,300원
        326.
        199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mall-waterplane-area-twin-hull(SWATH) ship has been recognized as a promising high performance ship because of her superior seakeeping characteristics and large deck area for various operatio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nohull ship. significant advances in analytical technics for the prediction of the ship motions, wave loads and structural responses, structural fatigue and its prediction, and hull vibration for ship motions, wave loads and structural responses, structural fatigue and its prediction, and hull vibration for SWATH ship have been much developed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Based on these developments in technology an integrated computational procedures for prediction wave loads and structural responses can be used to get a accurate results. But the major problem of SWATH ship's structural design is the accurate prediction of structural responses by the maximum critical loads likely to be experienced during the life of SWATH. To get a easier and safer computational procedures and the analytical approach for determining the accurate structural responses, a case study has been presented through the project experienced.
        4,300원
        327.
        199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난사고의 발생으로 표류중인 조난선박을 구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업은 조난선박의 현재 표류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다. 표류지점을 예측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들은 기본적으로 해류와 바람의 영향을 벡터적으로 합성하여 수색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해류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표류(leeway)를 예측하기가 어려운데 leeway는 주로 실물을 이용한 현장실험을 통하여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연안용 소형선박을 대상으로 제주 북방해역에서 실제 표류실험을 하였는데, leeway 산출에는 지금까지의 기법과는 달리 표류선박에서 측정된 상대유속과 유향 그리고 상대풍속과 풍향을 사용하였다. 실험자료로부터 산출된 leeway는 풍속의 약3% 부근이며 leeway angle은 자료중 80%가 -65˚에서 -15˚사이였다.
        4,000원
        328.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대형판 구조물은 일체식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보통 접합부에서 약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실무에서 이러한 P.C대형판 구조물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일체식 구조물에서와 동일한 해석모델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델을 사용하요 얻은 해석결과는 실제 P.C구조물에서의 발생하는 것들과 매우 상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P.C구조물의 해석에 적합한 몇가지 유한요소모델을 시도해 봄으로써 수직접합부에 실제의 낮은 전단강성을 적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물에서의 힘과 응력분포 및 처짐의 변화를 관찰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실부자들을 위해 수직접합부 전단강성의 영향을 감안한 단순화된 모델이 오차범위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제안되고 있다.
        4,000원
        329.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관령 지역에서 Tall fescue 9개 품종을 공시하여 가을철 예취시기에 따른 2번초의 수량구성 요소와 개체중의 변화를 검토하여 이 지역의 환경조건에 적응성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여고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번초에서 개체당 경수가 많은 품종(Barcel, Forager)이 개체중도 무거워서 이지역의 환경조건에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라고 생각되었다. 2. 가을철 예취시기에 따른 2번초의 개체당 경수는 개체중과 0.1%의 유
        4,000원
        330.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강소성 유한 요소법 프로그램 RDHPSC는 2단헤딩 가공에 있어서의 신뢰 할 수 있는 해석수단이다. 2) RDHPSC에 의한 2단헤딩의 해석은 2단헤딩가공에서의 최적 가공 조건의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 2단헤딩 가공중의 금속흐름을 수치해석에서의 격자 변형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4) 2단헤딩 가공중의 표면 결함의 발생가능성은 수치해석 결과에서 원수방향응력과 계수 D를 관찰함으로서 탐색되어질 수 있다. 5) 2단헤딩가공중에 있어서의 내부결함 발생가능성은 수치해석의 격차 변형을 통하여 알 수 있다. 6) 마무리 가공금형 수명에 대한 최적가공조건은 수치해석에서의 접촉압력을 조사하여 얻을 수 있다.(이 논문의 결론부분임)
        4,200원
        331.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액재배시 배지 및 양액종류의 차이가 백경채, 탑채, 상추, 쑥갓 및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순수담액처리구와 혼합상토의 생육이 크게 차이나지는 않았으나 순수담액처리구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모래배지에서의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백경채, 탑채, 상추와 잎들깨의 생육은 순수담액의 산기양액처리구에서 가장 좋았으며 쑥갓의 경우 양액종류에 관계없이 순수담액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2. 엽록소의 상대적 함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Vitamin C의 함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공시작물 공히 전반적으로 양액의 종류에 상관없이 혼합상토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모래배지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잎들깨에서는 모래배지와 순수담액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4,000원
        332.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33.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C++언어를 이용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매트릭스 연산과 평면뼈대 구조물의 해석이 가능한 PC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의 주요 개념인 객체, 클래스, 처리방식, 상속성 및 다형성을 도식화하여 설명하였으며, 매트릭스 연산과 평면뼈대 구조해석에 대한 예제 해석 결과는 이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기법의 특징인 프로그램의 확장성과 재사용성 및 다양한 GUI의 구현가능성을 이용하여 앞으로의 객체지향 유한요소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4,000원
        334.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광과 자연광에 인공광을 이용한 보광처리시 형광등, 백열등, 고압나트륨등으로 인공광의 종류를 달리하였을 때 백경채, 탑채, 상추, 쑥갓 및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대조구보다 보광처리구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2. 고압나트륨등처리구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여 엽중량비가 낮고, 엽면적이 넓으며 엽중이 무거워 외관상 상품가치가 높았으며 백열등처리구에서는 생체중은 무거웠으나 도장하여 상품성이 저하되었다. 형광등처리구에서는 고압나트륨등에 비하여 생육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3. 엽록소의 상대적 함량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고압나트륨등의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다. 4. Vitamin C의 함량은 처리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광 종류에 따라 작물마다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4,000원
        335.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온과 시용질소의 형태를 달리한 양액이 탑채와 백경채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탑채, 백경채 모두 야온 15℃ 에서 생육이 왕성하여 생체중이 무거웠으나 건물율과 vitamin C의 함량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다. 2. 양액의 N형태 비율에 따른 백경채의 생육은 NO3- : NH4+ 의 비가 0 : 8에서만 극히 생육이 저조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양액내 NO3--N의 함량이 높을수록 vitamin C의 함량이 많고, NH4+-N의 함량이 높을 때는 건물율이 높았다.
        4,000원
        336.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37.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38.
        196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39.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의 이동으로 유입된 유해해양생물은 해양생태계교란을 유발하고 있으며 주로 선박평형수와 선체부착생물의 형태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박평형수의 이동으로 인한 유해해양생물은 모든 선박에 의무적으로 처리설비를 선박에 설치하도록 강제화되었기 때문 에 상당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선체부착생물의 경우 현재 IMO 가이드라인을 통해 각국에 관리를 권고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비 강제화로 여 전히 이동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선체부착생물은 해양생태계 교란 문제도 있지만 에너지효율 저감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IMO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선체부착생물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국제적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강제화 규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체부착생물 규제를 이미 시행하고 있는 국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선체 부착생물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