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21.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externally reinforced structural system for SMC(Sheet Molding Compound) panel water tank, designed according to the Japanese design code, is experimented to evaluate its seismic performance. The test tank is 3m long, 2m wide and 3m high, considering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shaking table. The measured hydrodynamic pressures are found to be approximately 70% of the Japanese design code values. It may be partially due to the convex shape effect of the unit panels. The analytical results of externally reinforced system based on the measured dynamic water pressures are found in good agreement with the test results. If the design hydrodynamic pressures are estimated properly, the proposed analytical model for the externally reinforced water tank becomes a useful design tool and the Japanese design code is found to provide a safe design for the external frames of SMC panel water tank.
        4,000원
        2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아(冬瓜, wax gourd, Benincase hispida)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 유산균(Lactobacillus casei와 Bifidobacterium bifidum) (이하 유산균이라 한다)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동아 추출물은 안기오텐신전환효소의 활성을 47.9%,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13.2% 저해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23.4% 나타냈다. 설사 증세자 120명에게 동아 추출물 제제를 72시간 복용시킨 결과 117명이 개선되었고, 6∼12시간째에 개선율이 가장 높았다. 개선율은 80%가 치료되는 상태를 기준하였다. 유산균제제는 안기오텐신전환효소의 활성을 21.4% 저해하였다. 설사 증세자 120명에게 유산균 제제를 72시간 복용시킨 결과 108명이 개선되었고, 24시간째에 개선율이 가장 높았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을 위한 동아 추출물과 유산균을 함유한 제제(tablet)를 개발하였다. 이 제품은 안기오텐신전환효소의 활성을 27.1% 저해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20.3% 나타냈다. 인체폐암 A549 세포에 100 ㎍/㎖ 및 250 ㎍/㎖ 농도로 이 제제를 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결과, 세포 증식을 67% 억제하였고, 동아 추출물 제제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제제 단독으로 작용시킨 것보다 억제율이 높았다. 또 이 제제를 인체대장암 HCT116 세포에 100 ㎍/㎖ 농도로 가한 결과, 24시간 후 세포 증식이 70% 억제되었고, 동아 추출물 제제나 유산균 제제 단독으로 작용시킨 것보다 개선율과 개선 속도가 높았다. 이 제제를 설사형, 변비형, 일반형의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세자 164명에게 72시간 복용시킨 결과 100% 개선시켰으며, 개선율은 3∼6시간째에 가장 높았고, 동아 추출물 제제나 유산균 제제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개선율과 개선속도가 높았다.
        4,000원
        23.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경찰 경비함정에서 근무하는 경찰관, 전경 등 승조원이 바다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경보를 발령하고 즉시 구조할 수 있는「함정 승조원 추락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길게는 7박 8일의 출동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요원들은 수시로 급변하는 해상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함상생활 중 불의의 추락사고를 당할 위험에 노출 돼 있는 것이 사실이다.
        3,000원
        36.
        200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콩의 물 소모량에 대한 수분이용효율 산정을 위하여, 한국에서 육성된 우량품종 29개와 미국의 대표적인 내한발 품종인 PI416937을 대상으로 토양수분함량 조건을 대조구(최대 포장용수량의 50%)와, 한발처리구(최대 포장용수량의 25%)로 달리 하였을 때, 콩 30품종에 대한 처리 14일 후의 물 소모량, 건물중, 상대생장율을 이용하여 수분이용효율을 산정하였다. 콩 30 품종의 영양생장기 후반 기간 동안 요구되는 하루 당 콩 한 개체의 평균 물 소모량은 대조구에서는 183 mL/plant/day로, 한발처리구에서는 64 mL/plant/day이었으며, 콩 영양생장기간 중 포장용수량 25%의 한발 시, 콩이 가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량은 포장용수량 50% 대비 약 63%가 감소하였으며, 30개 품종의 평균 건물생산량이 약 37% 감소하였다. 콩 30품종의 물 소모량은 한발처리 후 건물중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상대생장율과 수분이용효율과는 한발처리구에서만 약한 상관성을 보였다. 콩 30품종의 상대생장율과 수분이용효율은 대조구와 한발처리구 모두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 상대생장율이 높은 품종이 수분이용효율이 높으며, 수분이용효율이 높은 품종이 상대생장율이 높은 콩의 수분특성을 제시하였다. 30개 품종의 평균 수분이용효율은 대조구에서 2.1 g/L를, 한발처리구에서 2.9 g/L를 보여, 한발 시 콩의 수분이용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제시하였다. 한발처리구에서 수분이용효율이 PI416937(3.5 g/L)보다 높은 한국 콩 품종은 대풍콩(3.8 g/L), 단백콩(4.0 g/L), 금강콩(3.8 g/L)이었다.
        38.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rghum seed is traditionally used as secondary food sources in addition to rice in Korea. While the hypoglycemia regulating phytochemicals have been found in sorghum seed, peptides related with hypoglycemia never been studied before. To obtain the peptide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ally high-expressed peptides in hypoglycemic sorghum seed, peptide profiles of seven hypoglycemic and five nonhypoglycemic sorghum lines bred in RDA were determined using surface-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SELDI-TOF MS). The twelve sorghum lines exhibited 104 peptides on CM10 protein chip array (weak cation exchange) and 95 peptides on Q10 (weak cation exchange) in the molecular mass range from 2,000 to 20,000 Da. Heat map via supervised hierarchical clustering of the significantly different peptides (p < 0.01) in peak intensity among the 12 lines effectively revealed the specifically upregulated peptides in each line and distinguished between 7 hypoglycemic and 5 non-hypoglycemic line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hypoglycemic and non-hypoglycemic lines, 10 peptides including 2231.6, 2845.4, 2907.9, 3063.5, 3132.6, 3520.8, 4078.8, 5066.2, 5296.5, 5375.5 Da were specifically high-expressed in hypoglycemic lines at p < 0.00001. This study characterized seed peptides of 12 sorghums and found ten peptides highly expressed for hypoglycemic sorghum lines, which could be used as peptide bio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hypoglycemic sorghum.
        3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rghum seed is traditionally used as health supplements and the secondary food mixed with rice in Korea. While the research of reserve protein in sorghum seed have been carried out in many countries used as major food, much less is known about reserve proteins of Korean local sorghum seeds. To obtain protein characteristics in 20 Korean local sorghum seed, quantitative content of reserve protein was determined after fractionation by modified ‘Osbone’ method and α-kafirin of prolamin was determined by SDSPAGE. Mean albumin, globulin, prolamin and glutelin contents based on total seed protein content of 20 Korean local sorghum seed were 6.2%, 0.9%, 57.9% and 35.1%, respectively. Sorghum cultivar with high prolamin were ‘Whin-susu’, ‘Whin-Chalsusu’, ‘Whanggeum-Chalsusu’, and ‘Daepungshushu’. Sorghum cultivar with high α-kafirin were ‘Whin-susu’, ‘Geumsan-Chalsusu’, ‘Whin-Chalsusu’, and ‘Jangmok-susu’. Among the 20 varieties, ‘Whin-susu’ and ‘Whin-Chalsusu’ were selected as high α -kafirin and prolamin sorghum cultivar, which showed 64.5 and 71.9% of prolamin contents, respectively.
        4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cuses on the push-out tests performed for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Y-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The end bearing resistance of the Y-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s of rib height and rib width.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nd bearing resistanc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rib widths and rib heigh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