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1.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녹광' 품종의 플러그 육묘시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생육조사 결과 초장은 주간온도와 DIF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절간장도 초장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엽전개속도는 주로 일 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엽장, 엽폭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체중은 주야간 온도가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일평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생체중과는 반대로 엽록소함량은 일평균 온도가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야간온도가 증가할수록 엽록소 함량이 저하되었다. 줄기직경은 DT/NT=15/15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다른 처리구는 비슷한 경향이었다. T/R율은 DT/NT=30/(+15DIF)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지상부가 지하부에 비해 과번무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녹광 고추의 플러그 육묘시 충실한 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주간온도가 , 야간온도는 범위의 0DIF또는 약한 +DIF조건에서 육묘하는 것이 강건한 묘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主) 재배품종인 의성종과 영천종의 유효성분을 HPLC 및 TLC로 분석한 결과 주(主)성분인 paeoniflorin 함량은 의성종이 영천종보다 높으며 albiflorin과 oxypaeoniflorin의 함량을 두 재배종에서 비교하면 의성종은 albiflorin 함량이 많고 영천종은 oxypaeoniflorin의 함량이 많았다. 생산지에 따른 paeoniflorin의 함량차이는 2.15% 에서 4.08% 의 범위였고 의성과 거창의 것은 비슷하였으며 영천의 것이 가장 낮았다. 18종의 재배종들은 품종에 따라 다양한 paeoniflorin 함량 차이를 보이며 작약성분분석의 HPLC 크로마토그랍을 albiflorin, oxypaeoniflorin 및 paeoniflorin 피크를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크게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할수 있었다. 이 세가지 유형은 의성종 패턴 9종, 영천종 패턴 4종 풍기표준종패턴 5종 이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작약의 paeoniflorin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3월과 9월에 수확한 것이 낮았으며 5월과 11월에 수확한 작약의 paeoniflorin 함량이 높았다.
        4,600원
        23.
        199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4.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etunia hybrida hybrid를 약배양(葯培養)하여 반수체(半數體)를 얻을 목적으로 약(葯)의 치상시기(置床時期)와 배지(培地)의 종류(種類),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종류와 농도, 약(葯)의 전처리(前處理)와 품종(品種)에 따른 캘러스 형성률을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약배양하기 전 0.8-1.2cm의 길이의 화뢰(花雷)가 달린 모본(母本)의 줄기를 에서 15일간 저온처리(低溫處理)하였다. 약을 채취하여 1/2 MS배지에 NAA 5.0mg/, BAP 0.5mg/를 첨가한 배지(sucrose 30g/, 2g/, pH 5.8)에서 배양 4주후 연녹색의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이들 캘러스로부터 배양 3주후 2ip 2.0mg/가 함유된 MS배지에서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4,000원
        25.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tunia hybrida와 Nicotiana sanderae의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체세포잡종식물(體細胞雜種植物)을 얻기 위하여 원형질체융합(原形質體融合)에 미치는 융합제(融合濟)의 종류, PEG의 처리시간(處理時間) 및 융합시(融合時) 온도(溫度), 융합용액(融合溶液)과 희석용액내(稀釋溶液內)의 의 양(量) 및 희석용액(稀釋溶液)의 pH에 대해 실험(實驗)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두 종(種)의 원형질체(原形質體)를 5.5mM이 함유(含有)된 PEG 6,000 30%용액(溶液)으로 에서 10분간 처리(處理)한 후 50mM이 함유(含有)된 희석용액(稀釋溶液)의 pH를 9.0으로 조절(調節)한 용액(溶液)으로 희석(稀釋)시켰을 때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율(融合率)이 가장 높았다.
        4,000원
        26.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lanum melongena var. fructualbo 품종(品種)을 이용(利用)해서 원형질체 유리(遊離)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要因)을 규명하여 원형질체를 배양(培養)하여 금후(今後) 유용(有用)한 체세포잡종식물의 획득(獲得)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험(實驗)하였다. CPW 무기염이 함유(含有)된 0.7M mannitol 용액(溶液)에 1시간(時間)동안 전처리(前處理)한 후(後) cellulase 1.5%, macerozyme 0.2%, mannitol 0.6M, MES 0.01M, BSA 0.2%, pH 6.3에서 4시간(時間) 배양(培養)한 것이 원형질체 수량(收量) 및 상태(狀態)가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수세용액내(水洗溶液內) mannitol 농도(濃度)는 0.7M에서, sucrose 농도(濃度)는 0.6M로 하여 ESSCC방법(方法)으로 회수(回收)하는 것이 건전하고 안정(安定)된 원형질체 대량획득(大量獲得)에 적합하였으며, 거의 최적조건을 이용(利用)하여 처리(處理)된 원형질체를 의 밀도(密度)로 8P-KM배지(培地)에 배양(培養)했을 때 3~5일(日)부터 세포신장(細胞伸長)을 하였고, 그 이후(以後)부터 세포분열(細胞分裂)이 이루어져 10일(日) 후(後)부터 colony 형성(形成)이 관찰되었다.
        4,000원
        27.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drobium kingianum의 유묘증식(幼苗增殖)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발아(發芽)에 미치는 기본(基本) 배지(培地)의 영향(影響)과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미치는 hyponex의 종류별농도(種類別濃度), auxin 농도(濃度), 당(糖), 한천(寒天) 및 pH의 영향(影響)을 알고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는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유묘(幼苗)의 증식(增殖) 및 생장(生長)은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 IBA , sucrose , agar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multiple shoot가 형성(形成)되었으며 유묘(幼苗)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시키기 위해서는 auxin이 첨가(添加)되지 않은 배지(培地)에 sucrose 한천(寒天) 및 pH는 5.0이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4,000원
        2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rrent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using steel wire from waste tires as recycled steel fiber for construction purposes. It analyzes preexisting waste tire-related data before processing and selecting waste steel wires to compare their composition and three quality standards if appearance as defined by concrete steel fiber regulations (KS F 2564), tensile strength, and flexibility, in order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reusing waste steel w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ste steel wires satisfy quality standards stated in the concrete steel fiber regulation (KS F 2564), indicating that they may be reused as recycled steel fiber for concrete.
        29.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vibratory crusher was developed to develop the high quality recycled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The vibratory crusher was installed on the production line of recycled aggregate and the produced recycled aggregate was compared with that from conventional crusher for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vibratory crusher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ed recycled aggreg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ecycled aggregate was better than conventional aggregate by 39% in water absorption ratio, 10% in absolute dry density, 31% in resistance to wearing, 14% in satisfactory particle size distribution, 41% in volume of clay ball and 32% in safety, thus showing that the quality of the recycled coarse aggregate is much improved. The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a lot of mortar, minute cracks and segregation have been removed.
        31.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리의 종간잡종 육성체계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OA hybrid 중 자발적으로 생식세포 염색체가 배수화된 계통을 이용하여 후대 획득과 후대검정에 필요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의 경우 화분의 채취시기에 따른 생존율과 발아율은 10월에 비해 6월이, 생존율은 n성 화분이, 발아율은 2n성 화분이 높았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2배체 OA hybrid와 2배체
        35.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2경간 연속 강합성보의 내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긴장재를 정모멘트 구간의 강주형 하부에 설치하였다. 이 방법은 정모멘트 뿐만 아니라 부모멘트도 감소시킬 수 있다. 강합성보를 긴장재로 보강함으로써 내하율 식에서 목표 내하율을 만족시키기 위한 긴장재 개수와 초기 긴장력의 결정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방법을 실교량의 강합성보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36.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원통형 정착구를 사용하고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강 I형 보의 극한거동을 실험을 통하여, 초기 긴장력, 편심거리, 강연선의 개수 및 단면적의 변수에 대한 보강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초기 긴장력 보다 강연선의 개수, 단면적, 편심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보강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원통형 정착 시스템은 이러한 변수를 적용함에 있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로 원통형 정착 시스템이 강주형의 보강에 효율적이고 적용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