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3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척지에서 여름철 대표 사료작물인 옥수수와 수수수수 교잡종의 생산성 및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의 시용시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8년은 화옹간척지에서 2009년은 석문간척지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간척지에서 사료작물의 생산성은 옥수수가 수수수수 교잡종보다 높았으며 사료가치도 옥수수가 수수수수 교잡종보다 높았다.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의 시용시 생산성은 옥수수의 경우 화학비료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수수수수 교잡종의 경우 화옹간척지에서 시험한
        4,000원
        3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ef traceability, a system that provides all the records of beef production, helps customers purchase that they get to know detailed information of the Hanwoo bee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NA identity possibility in various cooking methods to ripen meat (soy sauce, gochujang sauce, 10% vinegar, 10% coke, 10% Cheongha, 10% Soju, raw, dried, and decayed) for beef traceability. The DNA content of decayed beef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oking methods. It is thought that result of mixed pollutant, it did not affect amplified DNA allele height because of bovine specific microsatellite (MS) markers. The ripened sample in 10% vinegar 3 days was lowest a mount of extracted DNA (156 ng) and amplified DNA allele height (based on the raw samples to 38%) by MS markers compared with the other cooking methods.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mplified DNA allele height and the amount of extracted DNA. Therefore, beef DNA identity test in various cooking methods to ripen meat can used by bovine specific MS markers. Beef traceability system by DNA identify test will give more confidence in food safety to customers
        4,000원
        3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논에서 생육특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해서 천안(국립축산과학원)과 나주(전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논에서 2004부터 2006년까지 수행되었다. 두과 사료작물은 자운영, 크림손 클로버, 사료용 완두 그리고 헤어리 베치 초종을 공시하였고 각 초종의 품종은 자운영에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품종(야생종)과 크림손 클로버(C.V. Linkarus), 사료용 완두(C.V. Austroan pea), 헤어리 베치(C.V. Oreg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