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2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8년 경기도내 대형마트,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해조류 및 해조류가공품 8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도를 모니터링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해조류에 설정된 중금속 기준은 납의 경우 미역(미역귀 포함)에만 0.5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카드뮴은 김(조미김 포함)과 미역(미역귀 포함)에 0.3 mg/kg 이하로 설정되어있다. 검사 결과 기준이 설정된 제품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중 특히 비소의 경우 대부 분의 해조류에서 대체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비소와 달리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무기비소의 함량이 다소 높은 톳과 모자반을 함유한 가공식품에 무기비소 기준을 신설하여 2018년부터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톳 제품은 시행일 전에 제조되어 기준 적용 대상은 아니었지만, 건조 톳 8건 중 4건은 수산물, 4건은 기타 수산물가공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명확한 유형 분류 기준이 먼저 필요할 것이다. 노출량에 따른 위해도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섭취하는 해조류의 종류에 비해 중금속 기준이 설정이 되어있는 해조류는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해조류의 중금속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다.
        4,000원
        2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금강수계의 백제보 부근에서 이・화학적 수질의 시간적 변이 파악을 위해 2004 ~ 2017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용된 수질 변수는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 수온,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iolog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인(Total phosphorus, TP), 총질소(Total nitrogen, TN) 및 총부유물(Suspended solid, SS)의 항목으로 이들의 수질특성은 연별, 계절별로 큰 변이를 보였다. 총인 및 이온희석현상의 지표로 이용된 전기전도도는 계절별 분석에서 장마기에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며 강우와 역상관관계(p<0.01, n=163)를 보였으나, 계절별 총인은 갈수기에 비해 장마기에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강우와 상관관계(p<0.01, n=163)를 보였다. 한편,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강우와 유의한 관계(p>0.05, n=163)를 보이지 않았고, 계절별 총부유물 농도는 강우기에 크게 증가했고 강우와 유의한 관계(p<0.01, r=0.6155)를 보였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의 계절적 변화패턴은 화학적 산소요구량과 유사한 양상(r=0.4751, p<0.01)을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총질소의 변화 패턴 또한 총인과 유사한 양상(r=0.0579, p<0.01)을 보였다. 보 건설로 인한 수체의 정체와 유량 증가로 인해 총인과 총질소가 심층으로 침전되어 백제보 건설 전에 비해 건설 후에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고, 용존산소량은 보 건설 후에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4대강 사업 후 물리적 환경변화에 기인한 수질 변화 분석 결과에서 녹조량 감소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총인 관리와 총인 외에도 영양염류 조절,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증가를 유발하는 비점오염원관리 등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영덕호, 벽계지, 금풍지, 마산지 4개 호수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수생태계에 침입하여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외래어종인 큰입배스(Micropterus salmoides)가 서식 유무에 따라 어류군집에 미치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연도별로 각 2회에 걸쳐 어류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된 어류는 영덕호 9종 2,775개체, 벽계지 3종 96개 , 금풍지 7종 1,104개체, 마산지 15종 7,513개체로, 이중 벽계지와 금풍지에서는 개체수비율의 약 80%는 배스가 차지하여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벽계지와 금풍지의 군집생태지수를 분석해 보았을 때 낮은 종풍부도를, 반면에 배스가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영덕호와 마산지에서는 종풍부도가 높게 나타났다. 섭식특성 분석결과, 벽계지와 영덕호, 금풍지에서 낮은 잡식종 비율을, 마산지에서는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벽계지와 금풍지에서 잡식종 비율이 낮게 나타난 것은, 최상위 포식자 이자, 육식종인 배스가 우점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배스의 서식은, 해당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의 내성특성과 섭식특성 등, 군집생태지수를 이루는 모든 변수 값을 감소시킴으로 수생태계 어류군집에 건강성악화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에 속하는 하천 중 가장 큰 하천인 논산천을 대상으로 해당 수계 수질의 이화학적 자료에 담수어류를 지표로 제시하여 2009년도 논산천의 수질현황과 수생태계 건강성을 조사·분석하였다. 논산천은 금강과 합류되는 지점 부근에 도시화가 집중되어 있고, 전 지역에 걸쳐 축산농가가 산재되어 있으며, 소하천을 따라 농경지가 분포되어 있는 등, 수질악화 및 생태계 건강성이 우려되나, 아직까지 정확한 실태 파악되지 않고있다. 논산천은 전반적으로 이화학적 수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강 본류와 합류되기 전 부근에 수문이 설치되어 있어, 이 일대의 지점에서는 도시화가 덜 된 지점들에 비해 TP, PO₄-P, Chl-a 등의 수치가 더욱 증가한다. 어류 상에서 민감종은 전체 채집된 어류 개체수에 비해 3.7%에 그치며, 내성종은 54.7%에 이르고, 외래종(떡붕어, 배스)은 1.4%의 출현을 보였다. 생태건강도지수(IBI) 결과는 40점 만점 중 18점으로 ‘보통상태’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4대강 중 금강의 수질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2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동진강은 금강 수계에 포함된 중권역으로, 용호천, 정읍천, 천원천, 고부천이 동진강으로 합류되고 원평천과 신평천이 동진강과 합류되면서 서해 새만금지역으로 유입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으로 합류되는 하천들을 포함한 동진강에서의 수질 특성 지표들과 어류생물상 분포 특성간의 관계를 분석 및 확인하였다. 수질 특성 지표 분석 결과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은 3.2(±2.3)mgL-1,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은 7.3(±3.9)mgL-1, 총 질소(Total Nitrogen; TN) 농도는 4.1(±2.4)mgL-1, 총 인(Total Phosphorus; TP)농도는 123.7(±129.9)ugL-1 등의 범위로 나타나 지점 간 수질 특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류생물상 분석 결과 총 38종 2422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피라미(Zacco platypus)가 22.0%, 아우점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가 17.3%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지점 평균 충식종은 17.7%, 잡식종은 74.8%로 나타났고 민감종은 8.6%, 내성종은 69.7%로 나타났다. FAI(Fish Assessment Index) 분석 결과 39.3±19.6(6.25-75)점으로 동진강 전체 수계는 나쁨 상태(매우 나쁨~좋음)로 분석되었다. 잡식종의 비율과 충식종의 비율은 수질 특성 중 TP, BOD, COD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TN과의 관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질 특성들이 증가함에 따라 잡식종의 비율은 증가, 충식종의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수질 특성 지표들이 어류생물상의 종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시뮬레이터 시스템이 가지는 복잡성과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웹 기술을 이용한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기존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필수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웹 기반 기술을 선별하여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핵심 기술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이 가능한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작품은 시험평가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시뮬레이션 분야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000원
        29.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peripheral ionotropic receptors in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in the orofacial area.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ting 230 to 280 g were used in the study. Under anesthesia, a polyethylene tube was implanted in the subcutaneous area of the vibrissa pad, which enabled drug-injection.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of artemin, changes in air-puff thresholds and head withdrawal latency time were evaluated. Subcutaneous injection of artemin (0.5 or 1 μg) produced significant thermal hyperalgesia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subcutaneous injection of artemin showed no effect on air-puff thresholds. IRTX (4 μg), a TRPV1 receptor antagonist, D-AP5 (40 or 80 μg), an NMDA receptor antagonist, or NBQX (20 or 40 μg), an AMPA receptor antagonist, was injected subcutaneously 10 min prior to the artemin injection. Pretreatment with IRTX and D-AP5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In contrast, pretreatment with both doses of NBQX showed no effect on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Moreover, pretreatment with H-89, a PKA inhibitor, and chelerythrine, a PKC inhibitor, decreased the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is mediated by the sensitized peripheral TRPV1 and NMDA receptor via activation of protein kinases.
        4,000원
        30.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vitamin E 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lidocaine-induced antinocice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male Sprague-Dawley rats. Orofacial formalin-induced nociceptive behavioral responses were used as the orofacial animal pain model. Subcutaneous injection of formalin produced significant nociceptive scratching behavio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5 and 10 mg/kg of lidocaine attenuated formalin-induced nociceptive behavior in the 2nd phase,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group.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1 g/kg of vitamin E also attenuated the formalin-induced nociceptive behavior in the 2nd phase,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group. However, low dose of vitamin E (0.5 g/kg) did not affect the nociceptive behavioral responses produc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formalin. The present study also investigated effects of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both vitamin E and lidocaine on orofacial formalin-induced behavioral responses. Vehicle treatment affected neither formalin-induced behavioral responses nor lidocaineinduced antinociceptive effects. Howev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0.5 g/kg of vitamin E enhanced the lidocaineinduced antinociceptive effects in the 2nd phase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group.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naloxone, an opioid receptor antagonist, did not affect antinociception pro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both vitamin E and lidoca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vitamin E enhances the systemic treatment with lidocaine-induced antinociception and reduces side effects when systemically treated with lidocaine. Therefore, the combined treatment with vitamin E and lidocaine is a potential therapeutic for chronic orofacial pain.
        4,000원
        3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tion activity and di-peptide (anserine, carnosine) contents of marinated pork loin from Korean native black pig (KNBP) and crossbred of Landrace×Yorkshire×Durock (LYD) by addition of fruits (pineapple and gold kiwi). Sliced pork loin (13~15 mm) was marinated in three different treatments: 1) no fruits addition, 2) with seasoning and pineapple for 5 h, 3) with seasoning and kiwi for 5 h. Addition of fruits significantly decreased pH, hardness and chewiness of marinated KNBP and LYD pork loin. Anti-oxidation activity in por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 of fruits. Especially, addition of gold kiwi in the pork loin marinated for 5 h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on activity and carnosine contents. Also, it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juiciness and tendern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rk loin marinated with gold kiwi for 5 h could be one of the solutions to enhan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rinated KNBP and LYD.
        4,000원
        32.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 animal model for evaluation of temporomandibular (TMJ) nociception under TMJ inflamma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participation of IL-1β in inflammation-induced TMJ nocice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male Sprague-Dawley rats. Intra-articular injection of 3% formalin was administered to evaluate hyperalgesia 3 days after CFA injection. Intra-articular injection of 3% formalin did not produce nociceptive behavior in normal rats. Although intra-articular injection of 3 doses of CFA produced TMJ inflammation, only 1:3 diluted CFA produced hyperalgesia when formalin was injected intra-articularly 3 days after CFA injection. Co-administration of IL-1 receptor inhibitor with formalin into the TMJ cavity 3 days after CFA injection was performed. Co-administration of IL-1 receptor inhibitor significantly inhibited formalin-induced hyperalgesia in rats with CFA-induced TMJ inflamm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tra-articular injection of formalin produced hyperalgesia under chronic TMJ inflammation. Moreover, IL-1β plays an important role in TMJ hyperalgesia under chronic inflammation and blockade of IL-1β i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inflammatory TMJ pain.
        4,000원
        35.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5년 9월 23일~ 11월 25일까지 총 10회기를 진행하였고, 주 1회 10회기에 걸쳐 방과 후 활동을 프로그램 시간으로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초등학교로 해당학급의 교사들의 관찰과 추천사항을 통해 주변사람들의 눈치를 보며 자신의 감정표현을 못하고, 자신감이 부족하여 말수가 적고, 수동적인 참여를 하는 2학년 ∼6학년 재학생 아동 5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사전‧사후 관찰 결과를 통해 산만하 거나 상대방에 대해 부정적으로 표현하던 아동들이 중후반기 단계부터 활동에 집중도가 높아지고 자신의 표현을 적극적으로 하는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선정된 대상들이 학급 담임교사들의 추천에 의해 선정된 아동들로 위축아동보다는 자기표현과 감정조절 및 행동조절능력에 미숙한 아동들로 이루어져있음을 관찰을 통해 확인하여 양적인 결과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 대상 선정 시 양적연구도 함께 진행을 한다면 보다 확실하고 명백한 연구결과를 확인가능하다.
        4,000원
        3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면적 개벌의 대안으로서, 대상 개벌은 생산림지의 생태 조건 보전과 임분 재생을 모두 고려하는 작업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대상 벌채 기법의 적용 및 효율성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에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소나무림 대상 벌채 (10m, 20m 및 40m) 처리 전・후의 하층식생 반응 및 소나무 재생과 임분 환경 변화와의 상관성을 방형구법을 적용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하층식생 피도 및 종다양성은 대상 벌채 넓이에 상관없이 교목 종 및 광선호 종의 확장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신갈나무, 맑은대쑥 및 산딸기 등의 벌채 후 잔존 교목 및 광선호 종들의 활발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상 벌채 구역의 소나무 정착은 수관층 환경 (광량 및 수관열림 도) 및 토양나출도와는 정의 상관, 그리고 하층식생 및 임상 목질잔해물의 피도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000원
        37.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central GABAA and GABAB receptors in orofacial pain in rat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prague-Dawley rats weighing between 230 and 280 g. Intracisternal catheterization was performed for intracisternal injection, under ketamine anesthesia.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induced thermal hyperalgesia and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induced mechanical allodynia were employed as orofacial pain models.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bicuculline, a GABAA receptor antagonist, produced mechanical allodynia in naive rats, but not thermal hyperalgesia. However, CGP35348, a GABAB receptor antagonist, did not show any pain behavior in naive rats.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muscimol, a GABAA receptor agonist, attenuated the thermal hyperalgesia and mechanical allodynia in rats with CFA treatment and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bicuculline also attenuated the mechanical allodynia in rats with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baclofen, a GABAB receptor agonist, attenuated the thermal hyperalgesia and mechanical allodynia in rats with CFA treatment and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respectively. In contrast to GABAA receptor antagonist,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CGP35348 did not affect either the thermal hyperalgesia or mechanical allodynia. Our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GABAA receptor, but not the GABAB receptor, participates in pain processing under normal conditions.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GABAA receptor antagonist, but not GABAB receptor antagonist, produces paradoxical antinociception under pain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ntral GABA has differential roles in the processing of orofacial pain, and the blockade of GABAA receptor provides new therapeutic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4,000원
        38.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tivation of glial cells in the spinal cord has been contribute to the initiation and maintenance of pain facilitation induced by peripheral inflammation and nerve injur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botulinum toxin type A (BoNT-A), injected subcutaneously or intracisternally, on the expression of microglia and astrocytes in rats.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induced inflammation was employed as an orofacial chronic inflammatory pain model. A subcutaneous injection of 40 μL CFA into the vibrissa pad was performed under 3% isoflurane anesthesia in SD rat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changes in Iba1 (a microglia marker) and GFAP (an astrocyte marker), were performed 5 days after CFA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of CFA produced increases in Iba1 and GFAP expression, in the ipsilateral superficial lamia I and II in the medullary dorsal horn of rats. Subcutaneous treatment with BoNT-A attenuated the up-regulation of Iba1 and GFAP expressions induced by CFA injection. Moreover, intracisternal injection of BoNT-A also attenuated the up-regulated Iba1 and GFAP expres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nociceptive action of BoNT-A is mediated by modulation activation of glial cells, including microglia and astrocyte.
        4,000원
        39.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12-year-old spayed female Pomeranian (weighing 2.4 kg) was referred with primary complaints of acute dyspnea, cough, and lethargy. Diagnostic imaging studies found degenerative mitral valve cusps, chordae tendinae rupture, severe mitral regurgitation (5.45 m/s of peak velocity), and marked left atrial and ventricular dilation. The dog was diagnosed as having degenerative mitral valve disease (DMVD) with ISACHC stage IIIa heart failure. Her clinical condition was stabilized after administration of cardiac medication (e.g. diuretics and pimobendan). Ten months later, the dog was referred back to the clinic due to a sudden worsening of clinical signs. Echocardiographic study found pulmonary hypertension in addition to DMVD. After medication was adjusted, clinical signs were stabilized in 2 weeks. The patient was returned after 4 months for cardiac recheck and there was no obvious worsening of clinical signs. Incidental finding of a left-to-right atrial septal defect from rupture of the atrial septum secondary to marked left atrial dilation by DMVD was noted by echocardiography. To diminish left atrial volume overload, the frequencies of both furosemide and pimobendan were increased (i.e. from q 12 hr to q 8 hr) in addition to adding spironolactone (1 mg/kg q 12 hr). Based on diagnostic findings, this case was re-diagnosed as acquired atrial septal defect secondary to rupture of the atrial septum with advanced stage DMVD. The dog was then stabilized and is currently being regularly monitored.
        4,000원
        4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집중력이 중요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비 집중 상태’와 ‘집중 상태’에 대한 뇌파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비선형 해석 방법의 하나인 반복 정량 분석(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RQA)을 이용 하였다. 건강한 아동 21명(남성 12명, 여성 9명)을 대상으로, 청각 자극이 나오는 시점 전 500msec를 ‘비 집중 상태’ 자극 후 500msec를 ‘집중 상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반복 정량 분석의 파라미터 값은 ‘비 집중 상태’보다 ‘집중 상태’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p < 0.05). 또한, 상태에 따른 유발 전위의 반복궤적과 색상 반복궤적을 도식화하여 비선형 특성을 확인하였고, ‘비 집중 상태’보다 ‘집중 상태’일 때 뇌가 복잡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청각 자극에 대한 비 집중·집중 시 뇌의 비선형 특성을 반복 정량 분석을 통해 해석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