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ajoa oyster mushroom was bred in Mushroom Research Institute in 2004. This oyster mushroom was bred and cultivated one after mating single spores collected from Boonli 89-1 and ASI 2018-249.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mushroom were showing a lot of pinheadings, the gray-colored and infundibuliform pileu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around 26∼28℃ and that for the pinheading and growth of fruitbody was around 15∼18℃. Incubation period were required around 24 days with bottle culture and about 21days in P.Pvinyl bag culture. The yields was shown high by 140.7g/bottle and 260.3g/P.P vinyl bag.
        2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다조아느타리버섯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6∼28℃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5∼18℃이다. 나. 갓색은 회색이고 얕은 깔대기형이며 발이수가 많다. 다. 병재배시 배양일수는 20℃에서 24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4일이며 대형태는 굵고 짧은형으로 농가실증시험에서 병당수량은 140.7g으로 높은 편이었다. 라. 봉지재배시 배양일수는 20℃에서 21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4.2일이며 대형태는 굵고 짧은형이었고 농가실증 시험에서 봉지당 수량은 260.3g을 나타냈다. 마.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고, 균사생장량 및 종균배양기간에서도 지역간 균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바. 세균성 갈변병 중 Pseudomonas agarici와 푸른곰팡이병 Trichoderma virens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실증재배시 과습한 환경관리 농가에서는 갈변병이 2∼4%발생되었다. 사. 다조아느타리버섯은 균사활력이 강하고 병, 봉지재배 적응성이 높은편이나 발이량이 많아 초기 환기량이 많이 요구되고 후기에는 환기량을 줄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
        4,000원
        24.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재배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흑백느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흑백느타리는 X-선 조사된 애느타리1호 단핵균주에 병느타리1호의 단핵균주 교잡에 의해 육성된 품종으로 균사생장적온은 25∼30℃, 자실체 발생 및 생육온도는 14∼16℃이다. 나. 갓색은 흑갈색이고 편편형이며 대는 순백색이고 직립형이다. 다. 배양일수는 20 에서 20일정도이고 자실체는 굵고 짧은형으로 농가실증시험에서 병당 수량은 142.8g으로 높은 편이었다. 라. 색택이 흑갈색이고 생육온도가 17℃이상으로 높으면 회갈색을 나타낸다.
        3,000원
        25.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재배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소담느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소담느타리는 애느타리1호와 수한느타리1호의 단핵균주 교잡에 의해 육성 된 품종으로 균사생장 적온은 25∼30℃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4∼16℃이다. 나. 갓색은 회색이고 얕은 깔대기형이며 발이수가 많다. 다. 배양일수는 20℃에서 20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일이며 가늘고 짧은형으로 농가실증시험에서 병당 수량은 148.2g으로 높은 편이었다. 라. 균사활력이 강해 배양이 빠르므로 적기에 발이유기가 요구된다.
        3,000원
        26.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재배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진미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적온은 25∼30℃,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5±1℃이고 갓색은 회색이며 얕은깔대기형으로 발이수가 많았다. 배양일수는 20℃에서 22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4일이며 가늘고 긴형으로 농가실증시험에서 병당수량은 145.9g으로 높은 편이었다. 버섯의 갓색과 갓형태, 이형개체 발생,, 균사생장량, 종균배양기간 등에 대한 균일성도 양호하였고, 세균성 갈변병에 대한 저항성은 소정도로 나타났으나 푸른곰팡이병은 발생되지 않았다. 또한 균사활력이 강하고 15 이하에서는 진한회색을 나타내며 육질이 부드럽고 대가 백색으로 깨끗한 직립형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3,000원
        2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양송이(포토벨라)의 발이 및 생육에 적정한 온도를 구명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발이 소요일수는 15℃에서 23일로 가장 짧았으며 그다음은 18℃, 21℃ 순이었다. 2. 자실체 발생 개체수는 15℃에서 2,364개/3.3㎡로 가장 많았으나, 수량은 18℃처리구에서 39.2 kg/3.3㎡로 가장 높았다. 3. 온도별 자실체특성은 21℃에서 상품(上品)비율이 75.1%로 15℃, 24.5%와 18℃, 48.9%보다 양호하였다. 4. 수량은 15℃와 18℃에 있어서 평당 36.5∼39.2kg으로 비숫하였으나 18℃에서 상품비율이 48.9%로 높아 100평당 소득은 16,013천원으로 높았다.
        3,000원
        3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재배시 본답의 기비와 분얼비를 대체하여 묘판에 1회 시비하는 용출제어형 입상배합(Bulk Blending) 피복비료를시용 후 벼 생육과 수량, 품질, 경제성 등 완효성비료의 처리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개발된 육묘상비료의 T-N용출량은 온도가 높을수록빨라졌고 온도에 관계 없이 분얼비 시용 시점인 14일경부터 높아져 21일경 최고에 달했다.2. 이앙 후 60일에서 질소흡수이용율은 표준시비 28.6%에 비하여 개발된 육묘상 비료가 높았으며 200 g시비구에서 73.1%, 300 g시비구에서 66.1%로 나타났다.3. 생육단계별(최고분얼기, 유슈형성기 등) 초장, 경수,SPAD값 생육상황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시비에서 표준과 대등하였다.4. 성숙기에도 간장, 수장, 단위면적당 수수는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 표준과 같거나많았다.5. 10a당 백미수량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시비량별로 보면 표준시비 528 kg대비 개발된 육묘상 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525∼552 kg으로 대등하거나 많았다.6. 백미 품질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 수록 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완전미율, 아밀로스함량,백도, 투명도는 비료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7. 따라서 표준시비량 이상의 수량과 품질 및 경제적인측면을 고려한 개발된 육묘상 비료의 적정 시비량은300 g/상자(실비. 9 kg/10 a)이었다.8. 시비량은 육묘상비료가 표준시비에 비해 49.3% 절감되었고, 시비노동력도 49.2% 절감되었다.
        3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leaf color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diagnosing the plant nutrient status. A software was developed by Crop Environment and Production Technology Lab.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analyze the color image of rice canopy taken at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with digital camera and to recommend nitrogen fertilizer rate for target yield or protein content of rice. The software was coded in Visual Basic Ver. 6.0 and includes subroutine to calculate color indices from the digital image and several model equations relating the color indices to biomass and nitrogen accumulation of rice canopy at PIS, the grain yield to nitrogen density at PIS (PNup) and nitrogen accumulation from PIS to maturity (PHNup), and the PHNup to PNup and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P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Software. Using the Software,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PIS was recommended targeting the rice protein content of 6.3% for the 12 plots subjected to different amount of basal and tillering N fertilizer. N recommendation using the software reduce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 of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among plo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 treatment plots. However, the actual protein content of rice was lower than the predicted value. This discrepancy would be attributable to the much better weather condition during grain filling period in 2009 compared to the normal year that assume in the Software for N recommendation. Additional calibration process is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is Softwar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