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2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ince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can adversely affect postural control, core stability exercises have been investigated to improve postural control.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focused on kinetic chain exercises.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n kinetic chain (OKC) and closed kinetic chain (CKC) core stability exercises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ies and vertical jump height in CAI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18 participa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OKC group (n=9) and CKC group (n=9).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ies and vertical jump heigh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program comprising OKC or CKC core stability exercises depending on the groups was conducted for 30 min twice a week for 6 weeks in 12 sessions. Results: In the OKC group, static measured with the eyes open or closed and dynamic balance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P<.05). In the CKC group, dynamic bal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atic balance ability measured with the eyes open between the two groups (P<.05). Vertical jump h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05). Conclusion: OKC and CKC core stability exercises improv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ies and vertical jump height in CAI patients. Specifically, the OKC core stability exercise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tatic balance ability than the CKC core stability exercise.
        4,000원
        2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th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electric heating performance of carbon thin films (CTFs), which were prepared from negative-type SU-8 photoresist by deep UV exposure and following carbonization. The prepared CTFs were found to have pseudo-graphitic carbon structures containing partially graphite domains in the amorphous carbon matrix. The CTFs showed a very smooth surface morphology with a roughness of 0.42 nm. The 107 nm-thick CTFs exhibited an excellent electric heating performance by attaining a high maximal temperature of 207 °C and a rapid heating rate of 13.2 °C/s at an applied voltage of 30 V. Therefore, the CTFs prepar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electrode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electric heaters.
        4,000원
        32.
        202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전 해체 공정 중 다량의 콘크리트 방사성 폐기물의 절단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방사성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방사성 에어 로졸은 인체 호흡기 흡착에 의한 내부피폭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방사선 방호를 위한 내부피폭평가가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작업환경의 에어로졸 특성값을 사용하기에는 선행 연구가 미비하며 콘크리트에 포함된 방사성 핵종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작업자 내부피폭평가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 연구된 콘크리트 에어로졸 특성값을 활용하여 원전 해체 전 절단 작업자의 내부 피폭량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콘크리트 절단 시 발생하는 사전 연구에서 발표된 에어로졸의 수농도 크기 분포데이터를 뉴턴-랩슨법을 이용하여 피폭평가 계산에 필요한 방사능중앙 공기중역학직경(Activity Median Aerodynamic Diameter)값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원전 정지 10년 후 비방사능 값을 ORIGEN code로 계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핵종별 예 탁유효선량을 IMB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핵종별 예탁유효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152Eu에 의한 최대 예탁유효선량은 전체 선량값의 83.09%를 차지하고, 152Eu를 포함한 상위 5개 원소(152Eu, 154Eu, 60Co, 239Pu, 55Fe)의 경우 최대 99.63%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원전 해체 전 콘크리트의 구성 원소 중 상위 5개 주요 원소 측정을 먼저 시행한다면 더 빠르고 원활한 방사능 피폭관리 및 해체 작업 안전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3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흰등멸구는 매년 해외로부터 비래, 정착한 후 2~3세대를 경과하며 벼의 생육 및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벼의 중요 해충 중 하나이며, 비래해충의 경우 비래 후 세대에 따른 변화 양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방제시기와 방제수단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공시충은 2018년 사육실에서(25±2 ℃, 60±5% RH, L:D=16:8) 누대사육하여 사용하였다. 흰등멸구가 국내에 비래 후 3세대까지 세대증식하면서 피해를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1세대와 3세대 간의 발육과 산란 등을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약충기간은 1세대와 3세대에서 각각 14.5일, 13.6일, 암컷 성충기간은 각각 17.2일, 11.8일로 나타났으며, 우화율은 98.3%, 85.0%로 조사되었 다. 산란기간은 각각 6.8일, 6.0일이었으며 산란수는 47.5마리, 122.6마리로 세대가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표 분석 결과, 순증가율, 내적자연증가율이 각각 5배,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