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잘피자생지의 서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7월 GPS를 활용하여 서식면적을 기록하였고, 직접적인 잠수 조사로 서식 현황을 확인하였다. 잘피가 자생하는 곳은 해수와 퇴적물 공극수의 영양염 분석과 함께 분포 면적, 종조성, 형태적 특성, 밀도와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추자도에는 3종의 거머리말속 잘피(거머리말, 수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가 출현한 것에 비하여 제주도에는 거머리말한 종이 동북연안에서만 서식하고 있었다. 제주도의 거머리말 서식면적은 238,572m2이고, 추자도의 잘피 서식면적은 23,584m2로 수거머리말이 21,216m2, 포기거머리말이 1,870m2, 거머리말이 498m2를 차지하고 있었다. 제주도와 추자도의 거머리말은 조간대부터 조하대 평균 수심 5m까지 출현하였다. 추자도의 포기거머리말과 수거 머리말은 각각 조하대 평균 수심 3~4m와 4~6m에서 출현하였다.
        4,000원
        2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잘피 2종인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의 빛, 염분과 수온 조건에 따른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빛의 유무는 거머리말의 발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게바다말은 유광조건에서 발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은 각각 0 psu와 15 psu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고, 두 종 모두 염분이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최적 수온조건은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이 각각 5􀆆C와 15􀆆C로 나타났으며, 25℃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거머리말과 게바다말의 최적 발아율의 차이는 두 종의 서식환경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잘피 종자의 발아에 대한 자료가 전무하므로, 이 결과는 잘피서식지 보전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4,000원
        2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의 현장 적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철사고정법으로 포기거머리말을 이식후 이식된 개체(이식구)와 인근 자연군락 포기거머리말 (대조구)의 밀도, 형태적 특성과 생산성의 변화를 약 2년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서는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밀도변화를 보였으나, 이식구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초기 밀도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초 길이, 잎 폭, 개체 길이와 엽초, 잎, 개체의 무게는 이식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해 이식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약 5개월 후부터는 대조구와 이식구가 유사해졌다. 잎 생산성도 대조구와 이식구 모두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으나, 이식초기 이식구의 개체 잎 생산은 생산성이 낮은 가을인데도 불구하고 증가하였다. 철사고정법으로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은 개체의 유실이 없었고,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약 5개월의 현장적응기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growth of the food packaging field is powered by the ever growing health conscious consumers and demand for fresher and higher quality foods. Active packaging technologies provide solutions for extending products shelf life with specially altered packaging systems. Among the several shelf life enhancer systems, active packaging system for preventing oxidation is discussed in this paper. Oxidation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main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of fats and oils. The oxidative processes result in the food becoming unacceptable for consumers. Such oxidation is inhibited by exclusion of oxygen and by the presence of antioxidants. First of all, oxygen scavengers made up of substances which chemically or enzymically react with oxygen were developed to remove oxygen. The commercial oxygen scavengers such as “ageless sachet”, “platinum catalyst”, and “glucose/oxidase enzyme” have been greatly discussed in their action mechanisms and applications. The use of antioxidants in packaging manufacture has so far been limited to stabilizing the polymer during the processing or retarding the change of polymer's physical properties during storage when UV irradiated. However, a further benefit derived from incorporation of an antioxidant into the polymer is more interesting for its ability to retard lipid oxidation of the packaged food via slow migration of an antioxidant from the polymer to food. In view of which,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some oxygen scavenger systems as well as antioxidant-impregnated or antioxidant-coated polymer packaging material.
        4,000원
        2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produce abiotic stress resistant transgenic cucumber, the cotyledonary node explants of cucumber (c.v. Eunsung) were inoculated with A. tumefaciens strain EHA105 containing the binary vector (pPZP211) carrying Nit gene. The 491 explants inoculated with bacterium solution for 30 min were maintained on 50 mg/L paromomycin contained shoot induction (SI) medium for first 2 weeks and then subcultured on 100 mg/L paromomycin to obtain transgenic adventitious shoots for 4 x 14 days. So far, 5 plant were selected, and then acclimated in soil. Of them, 3 transgenic plants with Nit gene were confirmed by Southern blot analysi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