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에 거주하고 있는 24명의 독거 노인 (남자 10명, 여자 14명)으로 당뇨병 환자이고 경계성 고혈압 이상에 해당되며, 60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혈압과 혈청학적인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축기 혈압은 3주에 1주보다 A군에서는 4.9% 상승하였고 B군은 0.3%가 증가되었으며 C군에서는 5.9%가 감소되었다. 각 군의 3주 평균은 A군 158.3±24.3, B군 149.1±19.2, C군 143.9±5.1로 C군, B군, A군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완기 혈압은 1주에 비해 3주에 A군에서는 3.7% 증가하였고 B군은 0.3% 감소하였으며 C군에서는 1.5% 증가하였다. 각 군의 3주 평균은 A군 93.8±11.3, B군 93.2±11.2, C군 86.9±6.2로 C군, B군, A군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두릅음료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조절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2. 혈당은 3주에 1주보다 A군에서는 0.5%가 증가하였고 B와 C군에서는 각각 13.9%와 17.5%가 감소되어 두릅음료가 혈당저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중성지방은 1주에 비해 3주에 A군에서 11.6% 증가되었고 B군에서는 5.0% 감소하였으며 C군에서는 3.8%가 증가되었다. 총콜레스테롤은 1주보다 3주에 A군에서는 2.3% 증가되었고 B와 C군에서는 각각 8.7%와 14.5%가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A와 B군에서는 각각 4.8%와 13.2%가 낮아졌고 C군에서는 19.6%가 증가되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1주보다 3주에 A군에서 1.9% 상승하였으나 B와 C군에서는 각각 8.3%와 21.1%가 저하되었다.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두릅음료가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저하와 HDL-콜레스테롤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중성지방의 조절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 GOT는 3주에 1주에 비해서 A군은 16.4% 감소하였고 B군은 14.9% 증가하였으며 C군은 14.7%가 저하되었다. GPT는 3주에 1주보다 A군 1.0%, B군 43.0%, C군은 43.0%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총 빌리루빈은 3주에 1주에 비해 A군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B군에선 25% 감소를 보였으며 C군은 50%가 증가되어 GOT, GPT 및 총 빌리루빈의 농도는 두릅음료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총 단백질은 3주째 1주보다 A군은 13.6%, B군은 8.6%, C군은 11.8%가 증가되었고 알부민은 3주째 1주에 비해 A와 C군은 증가가 없었고, B군에서만 11.6% 감소하였으며 혈중요소질소는 1주보다 3주에 A와 B군은 각각 6.3%와 14%가 감소되었고 C군에서는 2.2%가 증가되었으며 요산은 3주에 1주보다 A와 C군에서 각각 20.4%와 11.1%가 감소하였고 B군에서만 14.3%가 증가하여 두릅음료의 효과가 총 단백질, 알부민, 혈중요소질소 및 요산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량 출하되는 양파의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식빵 제조시 양파분말을 0, 2, 4, 6. 8. 10%로 첨가하여 직접반죽법으로 제조하였을 때의 반죽특성 및 제품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살펴 보았다. Farinograph에서 반죽 형성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양파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Extensograph에서 신장도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신장 저항도와 최대 저항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Amylograph에서 양파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호화개시온도는 상승하였고, 최고점도는 큰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빵의 수분. 높이. 부피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crust 색도는 양파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고, a 및 b값은 점차 증가하였다. crumb 색도는 양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는 반면 a 및 b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양파분말 첨가군이 L-arginine, L-aspartic acid, L-g1utamic acid, L-alanine 등의 아미노산이 다량 검출되었다. 조직감 측정시 hardness는 대조군보다 양파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springiness는 분말 2, 4%첨가시 다소증가 하였으며, 나머지 첨가군에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는 2% 양파 분말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양파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제조할 때 배합비는 양파 분말 2% 첨가가 적당하며,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양파분말 4% 첨가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23.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 수산 발효식품인 젓갈은 부패를 억제하기 위하여 20∼25%의 식염을 첨가하므로 짠맛이 강하고 성인병 유발과 유관하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저식염 젓갈이 개발되고 있으나 저염 젓갈류는 비린내와 부패취가 강하여 기호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발암성 N-nitrosamine(NA)의 생성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염 젓갈의 저장성, 기호성 유지 및 NA 생성을 억제코져 두류(대두, 검정콩) 및 허브류 (애플민트, 페파민트. 레몬밤 및 스피아민트)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첨가한 저염 멸치젓을 제조하여 110일간 숙성시키면서 품질과 관련된 여러 인자 및 NA 생성 여부를 실험하였다. 저염 멸치젓 숙성 중 pH. 염도 및 산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숙성 110일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휘발성 염기질소는 저장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애플민트 추출물 첨가군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DMA 및 TMA 질소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숙성 75일째부터 그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질산염 질소는 젓갈 숙성 중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아질산염 질소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NA는 N-nitrosodimethylamine(NDMA)만이 검출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전 실험군에서 더 낮은 함량이었으며 이때 평균 회수율은 63.9∼99.7%였다. 허브 추출물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낯은 함량의 NDMA가 검출되었는데 특히, 페파민트 추출물 첨가군에서는 숙성 75일까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4,000원
        25.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henol이 암예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phenol 이 TBARS에 미치는 영향, TBARS와 암과의 상관관계 규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식이 phenol이 조직산화와 종양 발생(tumor onset)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한 amino acid-based diet와 transgenic mouse model을 이용한 protocol을 사용하였다. Mice는 human lymphotropic virus(type-1) transactivator (taxl) gene을 carry하며 동시에 종양이 외부로 나타난다. 25마리의 transgenic mice를 대조군, 2, 4, 8 mmol catechin/kg diet 군 및 wine solid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대조군은 catechin과 wine solid를 전혀 주지 않았으며, wine solid를 군은 red wine 750ml/kg을 주었다. Mice는 매일 관찰하여 맨 처음 종양이 발현하는 날짜를 기록하였다. Catechin과 wine solid를 섭취한 mice에서 종양이 발현하는 시기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더욱이 4mmol catechin diet 군과 8mmol catechin diet군에서는 실험기간동안 각각 1마리에서 종양이 발견되지 않았다. Catechin와 wine solid를 섭취한 mice의 뇌조직과 비장의 TBRAS 수준은 대조군 mice의 동일한 조직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조직의 TBRAS 수준은 종양 발생과 유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phenol의 종류에 상관없이 식이 phenol에 조직의 항산화(산화억제)를 통해 암예방(cancer prevention)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4,000원
        26.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천연 보습인자의 구성 성분인 L-α-아미노산을 피부에 주기적으로 반복 도포하여 일반적 으로 알려진 보습뿐 만 아니라 L-α-아미노산을 피부 톤과 결의 개선제로 활용하였다. L-α-아미노산의 알킬기(R)의 극성과 비극성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질케어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극성 알킬기를 갖는 L-α-아미노산 콤플렉스(L-α-아미노산-콤플렉스-1)가 비극성 알킬기를 갖는 L-α-아미노산 콤플렉스 (L-α-아미노산-콤플렉스-2)에 비해 21% 향상된 효능을 나타내었다. 임상 실험을 위해 20 – 40대 11인의 여성에 게 실험군으로서 L-α-아미노산 콤플렉스-1을 포함한 에멀전을 오른쪽 뺨에 8주간 매일 도포하고 대조군으로서 L-α-아미노산 콤플렉스-1를 포함하지 않은 에멀전을 왼쪽 뺨에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였다. 피부 톤의 개선은 JANUS® 장비를 통해 측정하고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피부 결의 개선은 phaseshift rapid in-vivo measurement of the skin (PRIMOS)장비를 이용하여 기기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부 톤 11.7%, 피부 결 6.7%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험자에게 심미적으로 느껴지는 개선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피부개선의 체감도를 바탕으로 기기측정 결과를 통해 나타난 L-α-아미노산 도포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약산성(pH 6.5)조건에서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과 동시에 생리학적인 개선을 통한 피부 톤과 결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화장품 소재로서 심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물질로 L-α-아미노산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의료분야에서는 방사선 차폐체로서 납(Pb)이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납은 무게가 매우 무거워 납 치마 등의 방호복은 장시간 착용이 어려우며, 인체에 치명적인 납 중독의 위험이 상시 가지고 있다는 문제 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납을 대체 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납의 대체물질로써 대표적인 바륨(Ba)과 요오드(I) 등은 우수한 차폐능을 가지고 있지만, 30keV 근처의 에너지 영역에서 특성 X선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환자나 방사선 종사자의 경우 차폐체를 인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폐체에서 발생되는 특성 X선이 인체에 직접 조사되어 방사선 피 폭을 증가시킬 위험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바륨(Ba)과 요오드(I)등에서 발생되는 특성 X선을 제거하기에 적절한 이중구조 차폐체를 방사선 수송코드 중 하나인 FLUKA 수송코드를 개발하여 선행연구로서 진행된 MCNPX 시뮬레이션과 비 교 분석하여 이중구조 차폐체의 차폐율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MCNPX와 FLUKA를 이용하 여 황산바륨(BaSO4)과 산화비스무스(Bi2O3)로 이루어진 다양한 두께조합의 이중구조 차폐체를 설계하였으 며, IEC61331-1에 제시된 모식도를 기하학적으로 동일하게 시뮬레이션 상에 구현하였다. 또한, 120 kVp 의 연속 X선 스펙트럼에 대한 차폐체의 투과스펙트럼과 흡수선량을 납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0.3 mm-BaSO4/0.3 mm-Bi2O3 와 0.1 mm-BaSO4/0.5 mm-Bi2O3 구조에서는 33 keV와 37 keV의 특 성 X선을 모두 흡수하였으며, 90 keV 이상의 고에너지 X선에 대해서도 납과 거의 유사한 차폐효율을 보였 다. 또한, FLUKA의 수송코드는 33 keV 이하에서는 cut-off 가 발생하여 저에너지 X선 광자에 대한 전산모 사에 제약이 있지만, 40 keV 이상의 고에너지 영역에서 MCNPX와의 상대오차가 6 % 이내로 신뢰성이 매 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8.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저점도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을 함침재에 침적시켜 휴대 간편성과 사용 편리성을 높인 화 장품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주로 경도가 높고 다공의 망상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 스펀지가 함침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스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화장료 함침이 잘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토출량이 높고, 사용 횟수에 따라 토출량의 감소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발포형태의 스펀지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특징을 갖는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목적에 맞는 다양한 소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natural rubber (NR)와 styrene butadiene rubber (SBR)의 조합을 통해 성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흡수 및 배출 능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함침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성질의 부드러 움과 높은 신율 및 균일한 토출력을 가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오일의 극성도(polarity)에 따른 신규 스펀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의 점성을 조절하여 메이크업 제품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새로운 특성을 갖는 화장료 함침재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