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

        25.
        2021.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lorectal cancer causes the most cancer-associated death worldwide, having a high cancer incidence. Pectin is a complex polysaccharide present in various fruits, emerging as an anti-carcinogenic candidate. Although pectin has a suppressive capacity for colon carcinogenesis, the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nd colonic aberrant foci formation in the colon carcinogenesis mouse model remains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gulatory effect of pectin supplementation on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azoxymethane (AOM) and dextran sodium sulfate (DSS) in mice. In an animal experiment, thirty male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ICR) mice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OM/DSS (control group) and AOM/DSS + pectin (5% in drinking water). Furthermore, the number of aberrant crypt foci (ACF) and aberrant crypt (AC) on colonic mucosa were counted, an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assay was performed to estimate lipid peroxidation in feces. Pectin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ACF and AC per colon compared with the control. Additionally, fecal TBARS level in the pecti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ectin-inhibited hyperplastic alteration and oxidative stress suppress colitis-associated colon carcinogenesis.
        4,000원
        3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바일 MMORPG는 게임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더욱 발전할 것이다. 많은 게임의 출시에도 불구하고 UI등 디자인설계 요인에서부터 소프트웨어 품질요인까지의 종합적인 MMORPG 설계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사용자들이 원하고 선호하는 세부 설계요인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MMORPG의 사용자와 개발자가 객관적인 시각에서 양자가 만족하는 핵심적이고 중요한 게임 설계 요인을 찾고자 시도되었다. 실증분석은 이론적인 연구들을 기반으로 모바일 MMORPG 설계 요인들 3단계로 계층화하여 그 중요도는 계층분석과정(AHP)을 통해 검증하였다. 설계 요인의 중요도는 재미 요인, 구성 요인, UI 요인, 시스템 요인, 환경 요인 순이고 재미의 중요성에서는 도전 재미가 가장 중요하며 도전 재미에서는 보상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재미 요인 중에서 새롭게 추가한 우월성이나 대결성을 포함하는 경쟁 재미가 다양성, 탐험성을 포함한 상상 재미보다 높게 나온 다. 이는 수많은 사용자가 길드, 혈맹, 진영 종족단위로 경쟁하고 협동하며 즐기는 모바일 MMORPG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MMORPG 설계 요인들을 분석 추출 하였으며 중요도를 파악하여 모바일 MMORPG 설계 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4,200원
        3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argeted metabolomic fingerprinting is a discovery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metabolites associated with the response to dietary and environmental perturbations. Direct analysis in real-time mass spectrometry (DART MS) promises to be a powerful analytical technique for high-throughput metablome analysis of insect. In this study, we used the DART MS technique to find tracers related to the origin of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and conducted a untargeted metabolomic fingerprinting on the wings and exoskeleton in Chinese and domestic collectives. This paper showed that DART MS metabolomic fingerprinting represents a rapid and powerful analytical strategy enabling distinguish of two different origin’s small brown planthoppers by recording metabolomic fingerprints.
        3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곤충산업의 19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학습・애완 곤충산업 부분을 필두로 하여 서서히 기반을 다져오다가 2000년대 이르러 정부의 친환경육성정책에 힘입어 천적산업 부문이 급격하게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들어 식・약용 곤충산업까지 그 범위를 점차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2017년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까지 제정되어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하에 새로운 신사업 부분으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짧은 산업화 역사와 기존 시장에서는 생소한 생물소재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의 특성상 소비 시장의 동반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산업화에 있어서 적지 않은 애로사항이 있는 실정이다. 곤충산업 부분은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차세대 사업이고 현재 세계적인 사업화의 흐름상 앞으로 반드시 발전시켜야 하는 산업부분임은 틀림없는 사실이어서 차후 경쟁력 있는 산업부문으로서의 역할을 위해서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과 더불어 시장 지배적 상품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3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Orthoptrea: Acridiade)는 전 세계적으로 작물 생산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돌발 해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의 경우 풀무치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풀무치에 병원성을 갖는 풀무치병원성 진균 라이브러 리를 구축하였으며, 풀무치 방제에 이용 가능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먼저 갈색거저리 유충-bai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 한 지역에서 채집된 토양에서 곤충병원성 진균을 발굴 하였다. 풀무치 병원성 검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국립 농업 과학원에서 풀무치를 분양 받았으며, 고체 배양된 곤충병원성 진균을 곤충 사육 상자에 처리하여 (2 g/ box), 풀무치 약충 (3-4령충)에 대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병원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곤충병원성 진균 처리 3-7일차에 풀무치의 머리, 복부, 다리 표면에서 진균이 증식하는 mycosis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Metarhizium anisopliae, M. lepidiotae, Clonostachys rogersoniana에서 높은 병원성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다. 확보된 34개의 풀무치병원성균주의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하여 열안정성 및 포자생산성을 확인 한 결과, Paecilomyces, Purpureocillium 균주가 다른 균주에 비해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안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대부분의 균주에서 1 × 108 conidia/gram 이상의 포자수를 생산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온실 조건에서 비교적 병원성이 높았던 M. anisopliae 고체 배양된 균주를 토양에 처리하여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85.7%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풀무치가 이동하면서 토양에 정착된 곤충병원성 진균에 접촉되어 치사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효과적인 풀무치 방제가 가능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3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tomopathogenic fungi, widely distributed in nature, have been developed as biopesticides of agricultural pes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isolation method for obtaining a variety of highly virulent strains from the soil. In this work, the previously established method using mealworm (larvae of Tenebrio molitor) as a baiting system was used to efficiently isolate fungal strains from soil, and the isolated fungal library in Korea was established. To isolate entomopathogenic fungi, soil samples from 10 regions of Korea such as Iksan, Imsil, Gunsan, Yeosu, Suncheon, Gwangyang, Jinju, Hamyang, Boseong and Jangseong were collected. Of the collected soils, 21 and 34 isolates of entomopathogenic fungi were isolated from Iksan and Gunsan, respectively. The isolates were classified as genera of Metarhizium, Beauveria and Isaria. This work can suggest an effective insect pathogenic fungal isolation method
        40.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tomopathogenic fungi have been known as promising candidates in biological control. However, a large number of conidia with higher stability should be produced for industrialization. In this work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several grains for the production of thermotolerant Isaria javanica and I. fumosoroseus conidia. The fungal conidia were produced on ten grains for 14 days in Petri dish conditions. Of the ten granular substrates, millet, perilla seed and barley showed the high conidial production, 15.7 ± 8.4, 17.3 ± 5.2 and 13.5 ± 1.9 × 109 conida/g in I. javanica and 15.9 ± 0.6, 15.0 ± 0.5 and 15.0 ± 0.7 ×109 conida/g in I. fumosoroseus, respectively. However, the two strains showed relatively low thermal stability regardless of substrates, when exposed to 45℃ for 1, 2 and 3 hours. This work suggests a possible substrate for conidial produ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with low cost.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