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과일이나 농작물의 부패 및 발효 환경에서는 Methanol, Ethanol, Acetic acid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생산된다. Drosophila melanogaster는 이러한 발효·부패 환경에 서식하면서 일정 농도 이상의 다양한 화학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생존하도록 적응되어온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화학물질이 포함한 환경에 안정적으로 서식하기 위해서는 D. melanogaster는 화학물질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해독 유전자나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변화 시킴으로써 발효·부패 환경에서 생성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높은 내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유전자의 발현량 측정을 위해 real-time PCR를 이용하여 reference gene의 발현량을 기준으로 정량화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직별, 환경별, 발달단계를 비롯한 다양한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reference 유전자 선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발효·부패 환경에서 생산되는 두 화학물질인 Methanol과 Ethyl Acetate에 노출된 D. melanogaster에서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reference gene을 찾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Methanol과 Ethyl Acetate을 D. melanogaster에 노출시킨 후 RNA 추출과 cDNA 합성을 실시였고, 5가지 후보 reference gene (hsp22, nd, rpL18, tbp and ef-1b)의 안정적 발현 여부를 qRT-PCR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유전자 발현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3가지 프로그램(geNorm, NormFinder, BestKeeper)을 이용해 비교·분석하였다. 본 학회에서는 연구의 과정과 그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2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메뚜기의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일본의 Konno식 먹이를 대조구로 하고, 28개의 배합비율별 인공사료를 제작하여 급이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Konno식 보다 6주 후 1마리당 체중은 22개 처리에서 높았고 우화성공율은 23개 처리에서 높았다. 폐사율은 부화입식 후 45일까지 Konno식 대비 24개 처리에서 높았다. 1마리당 체중, 우화성공율, 폐사율을 종합해 볼 때 탄수화물원으로는 옥수수 건조잎 분말 또는 통밀가루와 단백질원으로는 2~5%의 탈지대두분 또는 어분의 배합비율이 벼메뚜기의 인공사료로서 가능성이 높았다.
        27.
        2016.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current-voltage (I-V) and capacitance-voltage (C-V) measurements,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Au and Cu Schottky contacts to n-Ge we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Lower values of barrier height, ideality factor and series resistance were obtained for the Au contact as compared to the Cu contact. The values of capacitance showed strong dependence on the bias voltage and the frequency. The presence of an inversion layer at the interface might reduce the intercept voltage at the voltage axis, lowering the barrier height for C-V measurements, especially at lower frequencies. In addition, a higher interface state density was observed for the Au contact. The generation of sputter deposition-induced defects might occur more severely for the Au contact; these defects affected both the I-V and C-V characteristics.
        4,000원
        2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간초의 분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Kumoma’ 와 ‘Kumoma-Gusa’ 두 품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식물생장억제제 (PGRs) 4종을 처리 하였다. 식물생장억제제 종류와 처리농도는 paclobutrazol (10, 20, 40, 80 mg·L-1), flurprimidol (5, 10, 20, 40mg·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mg·L-1), chlormequat (50, 100, 200, 400 mg·L-1)이고 엽면살포 와 토양관주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Paclobutrazol 40 mg·L-1 처리는 운간초의 두 품종에서 초장과 화경 장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Kumoma’ 품종에서, paclobutrazol 40 mg·L-1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처리방 법은 초장을 각각 12.6, 12.5 cm로, 화경장은 3.4, 3.3 cm로 줄일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는 paclobutrazol 토양관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13.2-10.7 cm, 화경장은 3.9-2.0 cm까지 줄일 수 있었지만 꽃의 수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현 저하게 감소하여서 20개까지 감소하였다. Flurprimidol 20mg·L-1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는 두 품종 모두 초장과 화경장을 줄일 수 있었다. ‘Kumoma’ 품종에 서 flurprimidol 10 mg·L-1 스프레이 또는 토양관주 처리는 개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대조구와 비 교해 꽃의 수는 44.7개 이상, 출하 일수는 5일 정도 빨리 출하 할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PGRs처리에 의한 초장 과 화경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paclobutrazol 80mg·L-1과 flurprimidol 40mg·L-1 이었고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에서 각각, 초장은 10.7, 9.9 cm, 화경장은 2.0, 1.5 cm 로 생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flurprimidol 40 mg·L-1 토양관주 처리에서 출하일수는 농도에 따라 3-13일 정도 대조구보다 늦어졌고 꽃의 수는 15.6개로 가장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daminozide 처리는 초장과 화경장 이 줄어들지 않았지만 ‘Kumoma’ 품종에서는 대조구 와 비교했을 때 꽃의 수가 증가하였다. Chlormequat 처리는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와 비교했 을 때 화경장 감소효과는 작았고 처리 식물의 잎은 다른 처리에 비해 연한 녹색을 보여주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chlormequat 과 daminozide 처리는 생육과 개화 품질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꽃의 수는 모든 처리농도에서 41개 이상을 보여주었고, ‘Kumoma-Gusa’ 품종에 chlormequat 토양관주 처리는 최대 꽃의 수 63개를 볼 수 있었다. 이번 결과들은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가 운간초 분화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화경장의 생육을 조 절하는 생장억제제로서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 고, ‘Kumom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40 mg·L-1 스프레이는 생육특성을, flurprimidol 10 mg·L-1 토양관 주 방법은 개화관련 특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 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고, ‘Kumoma-Gusa’ 품종 에서는 flurprimidol 20mg·L-1 스프레이와 flurprimidol 5mg·L-1 토양관주 방법이 운간초 분화의 생육특성과 개 화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다.
        4,300원
        2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heat-rye translocations are world widely used in wheat breeding. Among the various forms of wheat-rye translocation, the 1RS (short arm of rye chromosome 1) translocations are the most widely used because of the valuable genes (e.g. biotic / abiotic resistance genes) introduced from rye. We have developed a new wheat-rye cultivar ‘TRANS’ which have freezing resistance and high yield in this study. ‘TRANS’ is a new wheat-rye translocation cultivar developed by crossing between common wheat ‘Keumkangmil’ and ‘951188-G3-G1’, a 1AL.1RS translocation derived from ‘Fleming’ with the aim of high yield and resistant genes to various unfavorable environments carried by 1RS. ‘TRNAS’ have clearly different genetic and agronomic traits to the control cultivar ‘Keumkangmil’. The heading date and maturity of ‘TRANS’ are later than that of ‘Keumkangmil’. ‘TRANS’ has 1023 spike number per square meters and grain yield of 541 kg/10a, which are higher than ‘Keumkangmil’ (904 spike number/m2 and 504 kg/10a yield). ‘TRANS’ showed winter hardiness and powdery mildew resistance in artificial infection test and field evaluation. ‘TRANS’ gives lower flour yield than ‘Keumkangmil’ but ash and protein content were similar to that of ‘Keumkangmil’. The color of flour and noodle dough of ‘TRANS’ were darker than ‘Keumkangmil’. Quality parameters related to milling, flour quality, noodle dough and end-use quality of ‘TRANS’ indicates that ‘TRANS’ is soft wheat suitable for noodle making. ‘TRANS’ can be cultivated in entire part of Korea. Registration Grant No.: 4695
        30.
        2011.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strogens are ubiquitous signaling molecules that influence nearly every cell type, and exert profound effects on embryonic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Wnt pathway, which recruits β-catenin into nuclei, and activates The Wnt-dependent transcription factors,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embryonic development and stem cell maintenance, and differentiation. Accumulating evidences indicate that potential convergence between these two pathways in carcinoma cells. However, physiological roles of estrogens in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are relatively unknown. Here, we demonstrated that estrogenic compounds 17α-ethinylestradiol (EE2) and genistein (GEN) significantly increased β-catenin expression in undifferentiated hESCs cultured in feeder-free media. Interestingly, GEN treatement induced an increased trend of mesendodermal gene expressions, and significantly inhibited ectodermal gene expressions (Nestin and Pax6) in embrioid body (EB). Expectantly, GEN increase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related gene expression (Snail2, and Twist), whereas decreased E-cadherin on day 6 of EB development. Taken together, these suggest that estrogens may in part the powerful effects on normal hESC differentiation. Mechanistic studies of estrogen signaling continue to suggest novel drug targets for stem cells and will also improve screening methods of developmental toxicity.
        31.
        2011.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previously reported that purified hepatocyte-like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 (hESC) promoted the liver tissue recovery not only by cell replacement, but also by delivering proteins (secretome) that enhance endogenous host liver regene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ossible therapeutic effects of secretomes obtained from undifferentiated hESC and mesenchymal stem cell (hMSC), and explored the underlying mechanism in a mouse model of chronic liver injury. Mice pre-intoxicated with dimethylnitrosamine (DMN) were treated with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ecretome or medium used to support the growth of hESCs or hMSCs. Both hESC- and MSC-secretomes induced robust host liver regeneration, as determined by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analyses. The expression of MMP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iver that received hESC- or hMSC-secretome, compared to control groups. In contrast, expression of α-SMA, a hallmark of activated hepatic stellate cells, was profoundly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both secretom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SCs and MSCs may release soluble factors that support the host tissue regeneration of chronically injured liver.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