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4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CCl_4 투여로 유발된 rat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CT, CTA, SCT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NCT군과 CTA군은 0.9% saline을 SCT군은 삼백초 100mg/kg이 되게 2주 동안 매일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15일째에 CCl_4를 CTA군과 SCT군에 투여하였다. 희생시켜서 혈청과 간의지질대사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중의 AST와 ALT의 활성도에서 SCT군은 CTA군에 비교해서 각각 43.18%, 96.05% 억제되었다. 2. Total cholesterol에서 삼백초를 투여한 SCT군은 NCT군 비교해서 0.95배 증가하였으며, 혈청중의 HDL-cholesterol 보다 0.73배 감소하였다. 3. 혈청중의 TG의 함량은 CTA군이 NCT군에 비해 1.53배 증가하였다. CTA군에 비해 SCT군은 0.93배 감소하였으며, 19.00%로 억제되었다. 4. 간조직 중의 MDA량은 SCT군이 CTA군에 비해 0.85배 감소하였고, 33.00%의 억제율을 보였다.
        4,000원
        4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otal Cholesterol에서 삼백초를 투여한 STT군은 NTT군 비교해서 14.46% 증가하였으며, 혈청중의 HDL-Cholesterol은 SS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21.29% 증가하였고 94.98%로 억제되었다. LDL-Cholesterol에서는 STT군이 TTA군 보다 12.86% 감소하였으며, 48.34% 로 억제되었다. 2. 혈청중의 TG의 함량은 TTA군이 NTT군에 비해 34.84% 증가하였다. TTA군에 비해 STT군은 7.06% 감소하였으며, 18.9% 억제시킨다. 3. 간조직중의 MDA량은 STT군이 TTA군에 비해 17.14% 감소하였고, 32.72%의 억제율을 보였다.
        4,000원
        4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간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의 3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 1. AST 활성도는 ST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70.05%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ALT활성도는 STT군이 TTA군에 비해 24.00% 감소하였으며, 64.80%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2. SOD는 TTA군이 NTT군보다 137.78% 감소하였으며, STT군은 TTA군에 비해 81.94%로 상승되었다. Catalase는 TTA군은 NTT군 보다 199.13% 감소하였으며, STT군의 catalase 활성도는 TTA 군과 비교하여 52.48% 증가하였고 55.45%의 회복율을 보였다. 3. TTA군의 GSH함량은 NTT군 보다 291.29% 감소하고 STT군은 TTA군과 비교하여 74.20% 증가하였으며, 98.72%로 회복되었다. TTA군의 GSSG함량은 NTT꾼 보다 46.80% 증가하였고 STT군의 간 조직중의 GSSG 함량은 TTA군과 비교하여 61.08% 감소하였으며, 81.01%로 억제되었다.
        4,000원
        4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호르몬으로 독성이 강하기로 유명한 TCDD는 간을 포함한 각 조직에 손상을 주고, 내분비의 붕괴를 야기시킨다. 본 연구는 TCDD로 처리한 rat의 간과 혈장을 사용하여, 어성초의 생화학적 효과를 연구하였다. TCDD를 투여한 지 일주일 후부터 어성초 200 ㎎/㎏을 4주간 격일로 투여하고 TCON군과 NO군은 saline을 투여하였다. 혈청에서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lipid, triglyceride(7G)를 간조직중에서 MDA를 측정함으로써 과산화지질 활성도와 콜레스테롤의 양을 조사하였다. TCDD로 처치한 rat에 어성초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과산화지질 및 콜레스테롤이 유의적인 수준으로 억제되었다.
        4,000원
        46.
        200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재나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임시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분야에서 DSR, AODV, TORA, ZRP 라우팅 프로토콜의 연구가 활발하며 이에 대한 여러가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ODV 라우틸 프로토콜을 이 용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평가와 함께 AODV 라우팅 프로로콜의 문제점을 수정하여 개선하여 실질적인 MANET 통신에서 사용될수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4,000원
        47.
        200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veloped the basic SPC software named as 100 ? Quality Renovation Software in 1998 as a government project supported by the Small and Medium Industry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n 2002, Ministry of Industry and Energ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quality management in the domestic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mong about 1000 answered industries, 40.6% has been using this 100? S/W for their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ways to help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improve quality by our user-friendly SPC software.
        4,000원
        5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파파리반딧불이 (Hotaria papcrinsis), 애반딧불이 (Luciola lateralis) 및 늦반딧 불이 (Pyrocoelia fufa)등 국내 주요 반딧불이 종의 유전적 분화 및 계통분류학적 관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mtDNA의 COI유전자 및 16S rRNA유전자 일부의 염기서열 (각 403bp 및 490bp~504bp)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GenBank에 등록된 일본 반딧불이 29종(반딧불이과 27종, 홍반딧과 1종 및 Rhagophthalmus과 1종)의 16S rRNA유전자의 동일부위 염기서열을 사용하였다. 국내 세 종간의 COI및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 그리고 COI유전자의 아미노산 분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반딧불이아과(Lampyrinae)의 늦반딧불이는 애반딧불이아과(Luciolinae)에 공통적으로 속해있는 애반딧불이 및 파파리반딧불이와 다소 큰 유전적 차이를 나타냄으로 기존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 PAUP과 PHYLIP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우리 나라 애반딧불이는 일본 애반딧불이와 강력한 단일그룹을 형성하였으나 이들간 상당한 유전적 차이 (2.9%의 16S rRNA유전자 염기분화율)를 보였다. 국내 두 지역의 파파리반딧불이는 일본 대마도 고유종인 H. tsushimana와 같은 계통그룹을 형성하였으므로 Hotaria란 속명의 사용이 타당해 보이나 파파리반딧불이는 지역 개체간 자매분류군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망되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늦반딧불이 지역 개체가 일본 늦반딧불이와 강력한 단일 계통그룹을 형성한 점으로 미루어 Pyrocoelia란 속명의 사용은 타당해 보이나 다른 모든 늦반딧불이로부터 큰 유전적 거리론 보인 제주도 개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되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반딧불이 종들은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반딧불이종 또는 속과 아주 강력한 계통그룹을 형성하였으므로 기존의 계통관련 연구를 지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4,900원
        54.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늦반딧불이(Pyrocoelia rufa)이 미토콘드리아 DNA중 COI 유전자 일부(403 bp)의 염기서열을 결정, 집단내 유전적 다양도, 지역적 변이, 계통유전적 관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해, 부산, 무주, 용인 등 우리나라 4개 지역으로부터 채집된 총 26개체로부터 7개의 mtDNA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변이는 0.2~1.2%이었다. 도심인 부산에서 채집한 늦반딧불이는 다른 산림 및 농업의 채집지역과 달리 하나의 haplotype으로 고정되어 있어 도시화에 따른 집단의 병목현상과 서식처 파편화가 심각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최대의 반딧불이 서식처이자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무주로부터 4개의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최대염기 치환율은 1.0%로 가장 높은 집단내 유전적 다양도를 나타내었다. 근해의 섬인 남해의 늦반딧불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haplotype 다양도(H=0.25)와 계통유전적으로 이질적인 haplotype(PR7)의 존재로 요약되었는데 이는 비교적 가까운 과거의 한반도 생물지리 역사 및 유전자 이동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계층적 유전분석 결과 무주-용인과 부산-남해 그룹의 형성은 역사적으로 두 그룹사이에 유전자 이동에 반한 장벽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설명하였다.
        4,200원
        5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4개 지역으로부터 채집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미토콘드리아 DNA중 COI 유전자 일부 (438 bp)의 염기서열을 결정, 유전적 다양도 및 유전자 이동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집단 유전적 구조 및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총 21개체로부터 13개의 mtDNA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변이는 0.3~1.4%로 다른 곤충을 대상으로 한 유사연구와 비슷한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haplotype 다양도는 매우 높았다(평균 h=0.81). 지리적으로 먼 제주도의 개체군과 경남 김해 두 지역(11km 거리)의 개체군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유전적 격리(p<0.05%)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신 상당한 정도의 세대당 암컷 이동률(Nm=2-30)을 보였다. 또한 GenBank에 등록된 하와이의 배추좀나방 haplotype은 본 연구에서 얻은 것들과 유전적으로 흡사하였다. 종합적으로, 국내 배추좀나방은 전체적으로는 많은 haplotype수에 기인한 적절한 크기의 유전적 분화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지적으로는 상당한 이동력에 의한 장거리 이동으로 개체군내 높은 haplotype 다양도를 보이며 동시에 지역간의 유전적 유사성을 나타낸다고 요약되었다.
        4,000원
        5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해충인 Coboldia fuscipes (Diptera: Scatopsidae)의 번데기 앞측에 있는 사슴뿔 모양 돌기의 생리적 기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fuscipes 유충 및 번데기에는 형태적으로 특이한 돌기가 관찰되는데,종령 유충의 몸 두번째 마디에 길이 0.04 mm의 미세돌기 l쌍과 번데기 앞부위에 길이 0.5 mm의 사슴뿔 모양 돌기 l쌍 및 복부에 길이 0.12mm인 6쌍의 강모형 돌기가 관찰되었다.종령 4령 유충의 미세돌기를 제거한 결과,사슴뿔 모양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번데기가 출현하였으나, 이후 사슴뿔 모양 돌기 유무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성충으로 우화하였다.또한, 슴뿔 모양 돌기 존재 여부에 따른 용화시 특성으로는 먹이로 제공된 감자한천 배지 속으로 용체의 함입률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사슴뿔 모양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번데기는 용체를 바깥으로 노출시키는 경향이 강하였다.그러나,사슴뿔 모양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번데기의 용화율이나 우화율 등의 생태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현미경 관찰 결과, 번데기의 사슴뿔 모양 돌기와 강모형 돌기는 관상의 측면 주세로기관지로 연결되어 기관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플로부터, C.uscipes 먼떼기의 사슴뿔 모양 돌기는 번데기 시기에 중요한 호흡뿔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creased bone loss caused by ovariectomy through monitoring the concentrations of the collagen and the pyridinoline crosslinks of collagen. The ovariectomized rats treated for 8 weeks, were divided at random into two or three groups of 10. Ovariectomies were carried out from the saline-treated group (Ovx), the estrogentreated group (Ovx+ES) and chondroitin sulfate-treated group (Ovx+CS). Sham operations were performed on the sham-operated group (Sham). Ovx+ES and Ovx+CS groups showed the remarkably increased collagen and pyridinoline amount in the bone and cartilage compared to Ovx group. And as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SOD, Catalase and GPx which are antioxidant enzyme, SOD and Catalase activities in Ovx group were much higer than in Sham group. But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Ovx+CS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pposed that estrogen and condroitin sulfate can enhance collagen synthesis and affect the pyridinoline formation in collagen fibrils through stimulating lysyl oxidase activity. And it is also thought that chondroitin sulfate can inhibit aging by reducing antioxidant enzyme.
        4,000원
        60.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lipidperoxidative and hepatopreventive effects of Aloe water extract (30 mg, 50 mg, 100 mg) were investigated at the levels of liver-total homogenates and the sera of SDrats intoxicated with CCl₄, (0.5 cc/100 g) and 50% ethanol. We measured MDA (Malondialdehyde) in the liver homogenate, AST (L-Aspartate-2-oxoglutarate aminotransferase) and ALT(L-Alanine-2-oxo-glutarate aminotransferase) in the serum.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indicated that Aloe water extract reduced MDA, ALT and AST significantly and their reduction was in relation to dose dependence. In rat liver homogenate intoxicated with ethanol and CCl₄, Aloe treatment group markedly inhibited lipidperoxidation by 30%-70%. In rat serum intoxicated with ethanol and CCl₄, Aloe treatment group inhibited AST, ALT by 40%-90%. In these data Aloe may be used to inhibit or prevent the hepatic toxicity which results from the environmental and alcoholic factors through the further study of its exact antihepatotoxic mechanism.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