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4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species of the genus Glyphodes Guenée (Lepidoptera, Crambida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Laos: Glyphodes actorionalis Walker, G. bivitralis Guenée, G. caesalis Walker, G. extorris Dognin, and G. stolalis Guenée. Illustrations of adults and genitalia, distribution are provided.
        4,000원
        4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ctiinae are one of the most species-rich subfamily in the family Erebidae (or classified as family Arctiidae). Around 11.155 species of 750 genera have been described from all over the world (Heppner, 2005) of which 5.931 inhabit the Neotropics (Watson & Goodger, 1986; Heppner, 1991; Scoble, 1995). Taxonomic study of the Arctiinae in Cambodia has been done by a few foreign entomologis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182 species of 68 genera are reported on, of which described in recent pages 135 species of 44 genera are reported from Cambodia for the first time, five species are new to science (Bayarsaikhan & Bae, 2015; Bayarsaikhan et al., 2015; Bayarsaikhan & Bae, 2016): Danielithosia wooshini; Stictane cambodiensis; S. khmerensis; S. bokorensis; Cyana angkorensis. The materials for identification are based on the collection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which were collected from 2009-2015 in Cambodia by Cambodian and Korean researchers.
        4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공야간조명에 유인된 곤충은 대부분 그대로 죽게 되고, 생태계 내에서 1차 또는 2차 소비자의 역할을 하는 곤충의 개체군 감소로 인한 생태계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조명의 곤충 유인특성을 알아내고 주변생태에 영향을 덜 미치는 조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는 2011년 6월에서 8월에 걸쳐 인공야간조명과 이격된 총 5곳의 산지에서 30W의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등, 삼파장등, LED등을 이용한 첫 번째 유인실험을 5회 반복 실시하였고, 50W의 수은등, 나트륨등, 메탈할라이드등을 이용한 두 번째 유인실험을 총 6회 반복 실시하였다. 전등 주변 가로 세로 1m X 1m에서 유인된 곤충을 전량 채집하여 동정 및 종수와 개체수를 계수하였다. 군집분석에는 우점도, 균등도, 풍부도, 다양도를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모든 조명에 대해서는 조도와 UV-A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인공조명의 특성에 따른 곤충유인특성을 분석해 보면 첫 번째 실험은 조도는 가장 낮지만 UV-A의 측정값이 가장 큰 형광등에서 가장 많은 수의 곤충이 유인되었으며, 조도는 가장 높지만 UV-A의 측정값이 0인 LED등에서 현저하게 적은 수의 곤충이 유인 되었다. 다양도와 풍부도는 UV-A 그래프와 유사한 형태이고 형광등에서 가장 높고 LED에서 가장 낮았으며, 균등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수은등이나 메탈할라이드등의 곤충유인율과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조도가 가장 높지만 UV-A의 측정값이 현저히 작은 나트륨에서 적은 유인률과 낮은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인공야간조명은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설치해야하는 경우 LED등이나 나트륨등과 같이 동일한 와트(W)내에서 조도는 밝지만 UV-A 방출량이 적은 조명을 제안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