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

        6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축전식 탈이온 공정(capacitive deionization, CDI)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를 기저물질로 이용하여 코팅이 가능한 음이온교환 이오노머(quaternized PPO, QPPO)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QPPO는 상용 음이온교환막(AMX, Astom Corp., Japan) 대비 우수한 이온전도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전기화학적 특성 또한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공성 탄소 전극에 이오노머 용액을 코팅하여 CDI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약 94.9%의 높은 염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CDI와 상용 음이온교환막을 결합한 membraneCDI (MCDI), QPPO가 코팅된 전극을 사용한 coated CDI (CCDI)의 탈염 성능을 비교한 결과 QPPO의 높은 이온선택성 및낮은 이온 전달저항으로 CCDI가 기존의 CDI에 비해 52.1%, MCDI에 비해 18.3% 향상된 높은 염 제거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4,000원
        6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과 효소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iromyces communis 곰팡이를 이용하여 in vitro 발효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Ⅰ과 Ⅱ의 대조구에는 지방산을 첨가하지 않았고, 처리구는 시험Ⅰ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를 첨가하였고, 실험 Ⅱ에서는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를 첨가하였다. 두 실험 모두 39℃에서 7일간 (2, 3, 4, 6 및 7일) 실시되었다. 시험 Ⅰ의 가스발생량은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H2가스의 비율은 가장 낮았다. 시험 Ⅱ의 linoleic acid 첨가구에서 2일에서 6일까지의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해 높았지만 이후에는 낮았다. 수소가스 생성비율은 linoleic acid 첨가구에서 가장 많았고 linolenic acid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시험 Ⅰ의 pH는 6.63에서 5.85로, 시험 Ⅱ에서는 6.59에서 5.40으로 낮아졌다. Carboxymethylcellulase 활력은 발효시간(day)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arachidonic acid 첨가구의 증가폭이 컸다. 본 실험의 결과는 반추동물의 사료에 불포화지방산을 첨가하면 반추위곰팡이가 생성하는 수소를 불포화 지방산이 이용하여 메탄생성 억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터넷 통신의 보편화에 따라 멀티미디어 관련 콘텐츠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는 교육용 학습 콘텐츠 및 시스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고급화된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3D 그래픽스 기반의 학습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시스템이 마우스와 키보드와 같은 컨트롤 기반의 콘텐츠를 가지고 있어 현실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Kinect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손영역에서 손 제스처를 인식하여 가상공간에서 전자교과서를 선택하고, 열고, 페이지를 넘기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4,000원
        74.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산 안창호의 일생을 살펴볼 때 나타나는 큰 특징은 전 세계가 독립 운동의 무대였다는 점이다. 그는 독립운동을 위해 그 자신을 필요로 하는 곳이면 이 세상 끝까지라도 방문하고 일을 성사시키고야 말았다. 도산은 전 세계를 遊歷하였지만 장기간에 걸쳐 머물면서 사업을 진행한 곳은 미국과 중국․러시아를 제외하고 멕시코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1917년 10월부터 1918년 8월까지 10개월가량 멕시코 전역을 순행하면서 한인들을 위무하고 한인사회에 독립운동 활기를 불어 넣었다. 안창호는 도산 개인의 자격이 아닌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장이라는 공적인 직함을 가지고 멕시코를 방문하였던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1910년 대 해외 독립운동을 대표하는 단체는 대한인국민회였다. 1909년 2월 국민회가 창립되면서 미주 본토에는 북미지방총회를, 하와이에는 하와이지 방총회를 설치하였으며, 시베리아와 만주지방에도 지방총회가 조직되어 대한인국민회는 무형의 정부로서 해외 한인 독립운동의 최고기관이었다고 할 수 있다. 멕시코에도 1909년 4월 국민회 메리다지방회가 조직되면서 한인들의 이익을 옹호하고 독립운동을 지도하는 기관이 탄생되었던 것이다. 어려운 경제사정에도 불구하고 멕시코지역의 한인들은 국민회를 중심으로 상호단결하여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지켜나가는데 최선을 다하였다. 그러나 멕시코지역 한인사회는 국민회를 중심으로 단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그 무엇보다도 한인들 의 경제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책을 강구하지 못했다는 점이며, 멕시코 국민회에는 절대적인 지도자가 없었다는 점이다. 멕시코 이민자들 가운데 지도적인 지식층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한인사회를 이끌어 나갈 지도력이 빈곤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미주의 국민회에 지도자를 갈구하였지만, 중앙총회에서도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주지 못하였다. 이같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멕시코 한인들은 국민회 중앙총회에 의무금․가옥채․기계채 등을 보냈고, 동맹저축, 애국동맹금 등한 각종 특별 의연을 거두었다. 3․1운동 기간에는 메리다지방회 소속의 한인들이 1919년 12월 1일까지 중앙총회에 ‘21례’와 인구세 등을 합쳐 약 1천 달러가 넘게 보냈다. 이같이 멕시코의 한인들이 미주의 국민회와 각종 독립운동 사업을 후원할 수 있었던 데는 안창호의 순행이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요컨대, 멕시코 한인사회가 단결되고 독립운동을 후원할 수 있는 배경에는 국민회의 실제적인 지도자인 안창호가 짧은 기간이지만 순행을 통해 한인사회를 단결시켰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안창호의 방문을 통해 멕시코 한인들은 국민회를 중심으로 단결되었으며 한인사회를 안정시키고, 나아가 독립운동을 후원하였다는 점에서 멕시코 한인사 및 독립운동사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안창호의 멕시코 순행에 대해서는 별다른 연구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그 의미도 크게 평가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안창호의 멕시코 순행에 대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그 성과와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6,000원
        78.
        200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crystalline germanium (Ge) thin films were grown by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using tetra-allyl germanium [Ge(allyl)4], and germane (GeH4) as precursors. Ge thin films were grown on a TiN(50nm)/SiO2/Si substrate by varying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reactive gas (H2), temperature (300-700˚C) and pressure (1-760Torr). H2 gas helps to remove carbon from Ge film for a Ge(allyl)4 precursor but not for a GeH4 precursor. Ge(allyl)4 exhibits island growth (VW mode) characteristics under conditions of 760Torr at 400-700˚C, whereas GeH4 shows a layer growth pattern (FM mode) under conditions of 5Torr at 400-700˚C. The activation energies of the two precursors under optimized deposition conditions were 13.4 KJ/mol and 31.0 KJ/mol, respectively.
        4,000원
        79.
        200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의 포장 재료와 교통 및 기후조건이 반영되는 포장설계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이를 위해 실제 교통량 및 기후조건이 반영되고 이에 따른 포장의 거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대규모의 현장시험시설로 시험도로를 건설하였다. 시험도로 아스팔트 포장구간은 15개의 다양한 두께 및 재료를 가진 단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면들을 평가하기 위해 포장체 내에 다양한 계측기들이 매설되어 있다. 계측기 매설에 있어서 핵심 요소는 매설 위치의 정확성과 장기적인 생존율 및 내구성이다. 외국의 시험사례를 보면, 이런 정확성과 내구성은 매설 방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도부터 3년여 동안 일반적인 계측기 매설 방법인 마운드, 블록아웃. 트렌치컷에 대해 시험시공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시공 결과를 분석하여 시험도로에 적용하였다. 위치의 정확성, 생존의 안전성, 시공성, 재료의 균질성 측면에서 시험시공 결과를 평가한 결과 블록아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층의 경우 블록아웃에 부적절한 층두께 등의 특성을 감안하여 마운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아스팔트 기층과 중간층의 매설에는 블록아웃을, 표층의 매설에는 마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2003년 9월 3일부터 11월 18일까지 2달 여에 걸쳐 총 374개의 아스팔트 포장 변형률계를 시험도로에 매설하였다. 계측값 분석 결과, 마운드의 경우 6.3%, 블록아웃은 2.5%의 계측기가 매설 전후의 계측값 변화가 일반적인 계측기 사양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의 경우 매설후 손실된 계측기는 2개로 99.5%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났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