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0

        6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valenol (NIV), deoxynivalenol (DON), T-2 toxin (T-2) and zearalenone (ZEN) are mycotoxins produced by some Fusarium species known to be very frequently contaminated in feed. The study for simultaneous analysis and contamination survey in animal feed carried out. All mycotoxins were analys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with internal standard. The limits of detection (LOD) were 2.0 μg/kg,1.0 μg/kg, 1.0 μg/kg and 0.1 μg/kg for NIV, DON, T-2 and ZEN, respectively. Two hundred and thirty nine samples of feed were collecte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DON was 212.3 μg/kg, 207.8 μg/kg and 812.1 μg/kg in chicken,pig and cattle feed, respectively.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ZEN was 31.2 μg/kg, 35.6 μg/kg and 147.2 μg/kg for them, respectively. Especially, the levels of contamination for DON and ZEN were higher than those of NIV or T-2. And, the levels of contamination for four Fusarium mycotoxins in cattle feed appeared higher than those of pig and chicken fee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high level of mycotoxin contamination in cattle feed was caused by corn gluten feed of ingredients for feed, mainly.
        4,200원
        7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부 가막만에서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기존에 발표된 식물플랑크톤 생리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조사는 2007년 11월부터 2008년 9월까지 2개 정점에서 관측하였다. 조사 동안 10%이상 점유율을 나타내는 우점종은 와편모조류 1종, 규조류 11종 등 총 12종이었다. 우점종의 출현 시기를 보면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이 하계(7월과 8월)를 제외하고 우점하였으며, 특히 12월은 90% 이상의 매우 높은 우점율을 보였다. 그리고 나머지 기간은 규조류 Eucampia zodiacus와 Chaetoceros속이 우점하였다. 따라서 2008년 7월과 8월에 S. costatum이 우점하지 않는 이유를 생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1) S. costatum과 E. zodiacus는 모두 광온 광염성 종이지만, 하계의 수온에서는 E. zodiacus가 S. costatum보다 높은 성장속도를 보였고, 2) 7월에 낮은 부유물질의 농도는 높은 광량이 수중에 도달할 수 있어 E. zodiacus와 같이 광에 대한 친화성이 낮은 종도 우점할 수 있다. 또한 3) 인산염이 비교적 낮은 시기에는 성장전략을 보이는 S. costatum이, 높은 인산염 농도일 때 저장전략을 보이는 E. zodiacus종이 우점할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더 구체적인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계절별로 우점하는 대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생리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7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latoxin (AF) and Ochratoxin A (OTA) are carcinogenic and possible carcinogenic mycotoxins respectively produced by Aspergillus spp or Penicillium spp. The study for contamination survey and proposal for reduction of mycotoxin in red pepper were carried out. 192 samples were collected at such various stages and markets as pre/post-harvest stages, internet shopping mall /super-market and small stakeholder mill/geographically indicated company. As only 2 samples were positive for aflatoxin, so contamination rate was 1.04%. In the meanwhile, contamination rate for ochratoxin A was 21.88% and a various amount of OTA was detected in 42 positive samples. 6 sample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at higher level than 5 μgkg−1 for ochratoxin A, which was established recently as a maximum permissible limit in korea.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gree of contamination with regard to cultivation type because any mycotoxin was not found at all in both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red pepper.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Finished products were OTA-contaminated at a level of 2.32 ± 6.54 μgkg−1(mean ± SD), even though OTA was not detected in deep frozen red peppers right after long term storage. And contamination for OTA was a level of 0.33 ± 0.91 μgkg−1(mean ± SD) in red paprika powder after uv sterilization, while the contamination for OTA was 2.78 ± 4.49 μgkg−1(mean ± SD) in non-uv sterilized powder. In addition, our investigation shows that higher OTA contamination occurred in some of famous brand products sold in super-market and domestic products than products collected through on-line shopping or from small stakeholder mills and imported products respectively, however,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000원
        7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노후화된 건조물문화재의 보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건조물문화재의 대부분이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이들 건조물문화재의 노후화에 따른 부식 및 손상에 대한 보존수리는 부재자체의 문화재적 가치를 고려하여 원형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존처리방법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합성수지로 보강한 원형단면 목재의 압축보강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서 합성수지의 보강단면적비율, 단면의 보강방향, 보강길이, 합성수지강도를 변수로 하여 총 14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보강할 경우 신재이상의 보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재의 보수 및 보강에서 가장 중요한 오센티시티(authenticity)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