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

        6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lothing items recorded in Nappyemulmok (納幣物目) and Ugwimulmok (于歸物目)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examined. These clothing items were recorded on the lists of goods for wedding gifts from the 1910s to the 1930s. A large quantity of these lists were organized into eight categories by analyzing the fabrics of each item of clothing. Representative fabrics used for skirts and Jeogori (such as Myeongju, 明紬) were used widely. Jeoksam was mostly made with ramie fabric. Pants mostly used cotton such as Dangmok, Mumyung, and calico, with some use of silk. Gojaengi mostly used cotton such as Dangmok, Mumyung, and calico, with some use of ramie. Danui (單衣) used silk fabrics such Pparinseu, Myeongju, and Gyoju for decorative features that were revealed when rolled up. Naeui (內衣) is believed to be the closest underclothes to the body, and Mumyung was mostly used. Dangmok and calico were used for the Yodae (腰帶) and fabrics such as silk, Nobangju, and JuhangNa were used for outdoor use. This type of categorization is significant, as it can be used as academic evidence to verify and reproduce the clothing of the time by identifying fabrics, colors, and characteristics of certain items of clothing.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of clothing will provide theoretical data in the same way that movies, dramas, and museum exhibitions feature modern traditional weddings.
        4,600원
        66.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sistent left cranial vena cava (PLCVC) is a remnant vessel connected with the coronary sinus and draining into the right atrium. A 3-month-old intact male Bichon Frise was evaluated for the presence of a mechanical murmur auscultation in the local animal hospital. No significant clinical signs were present on physical examination except mechanical murmur.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as diagnosed in the imaging procedure. During the left thoracotomy, PLCVC was found. The vascular malformation made the surgical process difficult by hiding PDA from the left thoracotomy surgical view. PLCVC and the vagus nerve was carefully dissected and lifted to secure a clear surgical view of PDA. The ductus arteriosus was ligate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was performed postoperatively. On CTA, left brachiocephalic vein retaining connection with the coronary sinus draining into the right atrium was observed. CTA is highly recommended for dogs with PDA to provide better postoperative results.
        4,000원
        7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한라산을 포함한 제주도 전역에서 높은 밀도로 자라고 있는 제주조릿대 (Sasa quelpaertensis Nakai) 가 서식지 고도와 수관부 개폐 여부에 따라서 나타나는 식물의 생태학적 특성과 소비자 군집 다양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았다. 고도와 상부 식생의 유무에 따라 제주조릿대 군락 네 지점을 선정한 후각 지점에서 자라고 있는 제주조릿대 식물 특성 그리고 소비자 군집 다양성을 통하여 삼중영양 상호작용 (Tritrophic interaction)을 조사 하였다. 조사결과, 고도가 증가하면서 상부 식생이 없어지고 제주조릿대의 잎 면적, 수분함량, 질소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밀도와 C/N함량은 증가하였다. 상부 식생이 존재할수록 제주조릿대의 생육특성은 더 좋아졌으며 이를 기주로 하는 초식곤충과 포식자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제주조릿대의 생육조건은 고도에 따른 주변 수관부 개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은 소비자 군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4,200원
        7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카메룬은 인구증가와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쌀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가이다. 농업이 시장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호 역시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룬 북서부의 Mezam과 Ngo-ketunjia 지역 소비자의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특히 카메룬에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Mezam와 Ngoketunjia Divisions of the North West Regions 라는 사례연구와 함께 살펴보았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주요 시장 지역들에 걸쳐 300명의 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회 경제적 요소들, 유도된 소비자 행동이나 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항식 기호 논리학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쌀의 품질이나 시장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오직 지역 쌀만 먹는 부류, 오직 수입된 쌀만 먹는 부류, 지역 쌀과 수입쌀을 모두 먹는 부류의 3가지 구매 형태를 나타냈다.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경제적 요소로는 소비자의 소득, 교육, 직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요소는 맛, 향, 질감, 도정 후 낟알 색의 흰 정도였고, 시장 속성에 관해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쌀의 출처와 구입 가능성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2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때, 생산성과 쌀 품질에 관한 차원은 카메룬의 쌀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 할 수 있었다.
        4,300원
        7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농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조사하여 대상 지역 쌀 생산의 기술적 효율성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캄보디아의 쌀 생산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정보는 2016년에 캄보디아 남부에 위치 하는 다케오주의 트람꺽군과 키리웡군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80개의 농가를 면접 조사한 자료이다. 농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술 관련 통계 자료가 활용되었다. 또한 inputorientation data envelopment analysis는 기술적 효율성 점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었다. 더불어 Tobit regression은 쌀 생산의 효율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분야 농가의 평균 기술 효율은 0.67인 반면, 쌀 생산업자들은 같은 생산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투입 비용을 33%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케오주의 뜨람꺽군 및 키리웡군의 쌀 생산의 효율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요인이 발견되었다. 토빗 회귀분석 결과, 가장의 성별, 가장의 주요 직업, 쌀의 재배 횟수를 포함한 요인들이 기술적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심어진 종자와 품종은 기술적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쌀 생산 규모의 효율성은 0.80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농민들이 적정 규모에 가깝게 운영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생산관련 비효율의 원인이 투입 자원의 잘못된 배분이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것임을 의미 한다.
        4,000원
        7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저온처리 기간과 일장이 자생 돌마타리의 휴면타파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노지에서 재배중인 돌마타리의 생물계절현상 반응(phenology) 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또한 저온처리 기간이 돌마타리 휴면타파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C 저온에 0, 3, 6, 9, 12주간 처리한 후 장일환경(16h), 25°C 온도조건에서 재배하면서 생육특성을 관찰하였다. 일장이 돌마타리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저온 처리된 돌마타리를 단일(9h), 중일(12h), 장일조건(16h)에서 재배하여 생육 특성을 관찰하였다. 야외에서 재배중인 돌마타리는 늦여름인 8월부터 9월까지 개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저온처리 기간에 따른 실험결과 9, 12주 저온처리를 받은 식물이 3, 6주간 저온처리 한 식물에 비해 개화소요일수가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돌마타리는 4°C 온도에서 9주 이상 처리시 33%의 개화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장에 따른 실험결과, 장일환경에서 재배된 돌마타리의 초장은 50.1cm였으나 단일 및 중일환경에서 재배된 식물의 초장은 각각 16.7, 16.1cm로 조사되었다. 돌마타리는 장일환경에서 16주간 재배 시 100% 개화하였으나 단일 및 중일 환경에서 재배 시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돌마타리 는 휴면타파 및 개화를 위해 저온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장일 환경조건에서만 개화하는 질적장일식물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7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wangneung arboretum, affiliated to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1987 and it became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in May 24, 1999. The entomological collection of KNA currently holds a total of 510,365 specimens of 6,849 species including more than 330 type specimens of Lepidoptera, Hemiptera, Hymenoptera, and Coleoptera are deposited. As the results of recent systematic studies by KNA entomologists, 67 new species were described, and 108 species were newly recorded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Not only we have conducted taxonomic studies but also have broaden our research boundary to natural enemy surveys for pine wilt disease vectors, plant and insect interaction, and exotic insect species monitoring. In this presentation, we would like to briefly introduce current entomological researches of KNA in the hope of future collaborations with other entomologists.
        7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uth Korea has over 0.38 million of managed honey bee (Apis cerana) colonies before 2009 years ago, which produce the highest quantity of honey in the Korea; however, almost colony (90%) were collapsed by Korean Sacbrood Virus (KSBV) in South Korea. Korean Sacbrood Virus (KSBV) is the pathogen of A. cerana Sacbrood disease, which poses a serious threat to honeybee A. cerana, and tends to cause bee colony and even the whole apiary collapse. Colony collapse of A. cerana was first reported on the Pyeong-Chang of the South Korea in 2009. Several scientists and governments has been tried research for cure the sacbrood disease in A. cerana colony by medicines and management techniques. Unfortunately, The sacbrood disease dosen’t improve. So, we were developed a better breed of A. cerana for resistance of sacbrood virus by selection and then artificial insemination. A. cerana breeding technique was first successful applied with A. cerana in Korean. Queens was grafted from sacbrood resistance line and then it was growing in sacbrood disease colony that was survived 100%. Altogether selected 18 queen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and 2,000 drones of A. cerana in Korea was used to evaluate amount of semen collection. We are select two scabrood resistance A. cerana line (R and H). R line be used for rearing the Queen. Drone was reared in H line colony. The RH hybrid were not infected sacbrood virus even spread sacbrood virus (2×106). RH colonies have very excellent hygienic behavior, brood, and sacbrood disease resistance activity.
        7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노랑나비(Chitoria ulupi (Doherty, 1889))는 한반도 전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 국외의 경우 인도, 미얀마, 라오스, 중국, 대만 등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종에 대한 생활사는 김과 서(2012)에 의해 확인된 유생기와 번데기의 형태 등이 일부 보고 된 것 이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수노랑나비의 생태적 습성(성충 산란행동, 점유행동, 짝짓기, 먹이습성 등)과 미성숙단계 (알, 유충, 번데기)의 형태적 특징 등 생활사 전반에 대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8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와 더불어 사과원 병해충 방제 횟수, 주변 식생 등의 변화로 인해 노린재류의 발생 밀도가 증가하고 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과원 노린재류의 방제는 주로 살충제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들의 강한 이동성과 농약 잔류, 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충 방제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과원의 주요 노린재 중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알을 이용하여 사과원 주변의 알 기생봉을 탐색하고 이들에 대한 야외 기생률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저온 저장된 두 종의 알을 사과원에 배치하고 이후 수거하여 알에서 채집된 기생봉을 동정한 결과 썩덩큰검정알벌(Trissolcus japonicus Ashmead)로 확인되었다. 야외 기생률은 썩덩나무노린재의 경우 약 27%, 갈색날개노린재는 21%로 나타났다. 추후 이 기생봉에 대한 생태 특성, 인공 사육, 야외 방사 기술 등의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