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82.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마선(0, 0.5, 1, 2, 3 kGy) 조사와 methyl bromide(MeBr, 2 g/kg, 4 hr) 훈증 및 이들의 처리시기가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검역처리를 위한 감마선 조사의 응용성을 검토하였다. 감마선과 MeBr 처리에 따른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평가에서 2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와 MeBr 훈증은 사과의 일부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과 MeBr의 처리
        83.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분말에 대한 전자선(electron beam)의 이용가능성을 연구하고자, 방사선 살균처리(2.5∼15 kGy)가 백삼 및 홍삼분말의 사포닌 함량 및 패턴, 페놀함량, 산성다당체 함량, amylase activity, 단백질 패턴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선 조사와 비교하였다. 사포닌 함량과 패턴을 TLC 및 HPLC로 분석해 본 결과, 조사선량과 에너지원에 따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실온 저장 4개월 이후에도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
        84.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송이를 첨가한 김치를 제조하여 1에서 저장하면서 숙성 중 관능적 특성 변화를 반응표면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김치의 관능점수는 저장 4일과 8일경에 가장 높았고 12일에는 낮아졌다. 담금 직후에는 송이함량이 높을수록 모든 관능점수가 낮았으나, 향과 맛만은 송이함량과 고춧가루함량이 동시에 높을 경우 높았다. 저장 4일째는 색상,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는데 특히 송이함량 5.0-6.0% 및 고춧 가루함량 3.0-3.5%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85.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멸치의 위생적 품질개선을 위한 감마선 조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감마선 조사 멸치에 대한 검 지법으로서 열발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건멸치류의 미생물 오염도는 총세균이 ~ CFU/g 수준으로 건멸치의 종류에 따라 큰 타이를 보였으며,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을 위한 3kGy 수준의 감마선 조사는 유통조건(식품포장용 PVC film, 0.06 mm, 500 g)으로 포장하여 6개월 저장
        86.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 처리의 가능성이 높은 농산물로서 곡류(현미, 메밀)와 두류(대두, 땅콩, 적두, 녹두)는 국산과 중국산을, 마늘은 국산을 대상으로 하여 곡류와 두류는 0.5∼4 kGy, 마늘은 0.05∼0.5 kGy 범위의 감마선을 각각 조사하고 조사여부의 검지를 위한 광자극 발광 특성(PSL)을 검토하였다. 곡류와 녹두의 PSL 값은 대체로 비조사군(< 700 photon counts, negative)과 조사군(> 5,000 counts, positi
        87.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수확 후 품질유지에 있어서 지연 감마선 조사와 CA 저장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밤을 수확하여 에서 3개월간 보관한 후 0.25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의 CA (3%O+5% ) 및 air조건에서 6개월간 저장한 다음 이화학적 품질특성들을 측정하였다. 밤의 발아(근)는 지연 감마선 조사에 의해 완전 억제되었으며 부패는 CA저장과 병행시 더욱 적게 발생되었다. 중량감소는 CA저장 밤이 air 저장
        88.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저장특성에 대하여 수침처리와 감마선 조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확된 밤을 48시간 동안 수침 처리한 후 0, 0.15, 0.25 및 0.3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와 952%의 상대습도에서 9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발아현상은 수침 처리된 밤에서만 저장말기에 나타났으며, 감마선을 0.35 kGy 조사한 밤에서는 발아되지 않았다. 수침처리 밤에서는 조사 선량에 무관하게 저
        89.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산 건생강으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추출하고자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몇 가지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극초단파(2,450 MHz, 50 W) 추출에서 원료의 입자크기는 60 mesh 내외, 시료와 용매의 비는 1:10 (g/mL)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에탄올 농도 50% 이상에서 급속히 증가되었다. 건
        90.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고추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신소가게 추출하고자 기존 추출방법들에 비하여 신속성과 환경친화성이 인정되고 있는 극초단파 추출공정에 필요한 몇 가지 기본조건을 검토하였다. 극초단파 추출에서 건고추의 입자 크기는 60 mesh, 시료와 용매(에탄올)의 비는 1:10(g/mL)이 적당하였고, 에너지 용량은 50 W에서 올레오레진과 capsanthin에 대한 추출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capsanthin
        91.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fresh red peppers were obtained by two methods, conventional extraction (CE) and microwave-assiated extraction (MAE),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Red pepper oleoresins extracted by CE and MAE were examined in oleoresin yield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proper extraction time of MAE was about 5 minutes, whereas that of CE was 2 hours. therefore extraction time was decreased drastically by MAE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oleolesin yield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also showed negligible difference between two extracts obtained by CE and MAE, and 80% level in all extracts .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was reduced by increased of ph , and showed a high elimination effect over 85% at ph 1.2. All extracts had a high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100%. The angiotensin I-conventing enzyme effect showed higher activity with over 80% in MAE than 70% level in CE. the capsanthin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d was 11.4 and 12.9 moles per 1 g of fresh red pepper by CE and MAE, respectively.
        92.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삼의 저장해충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phosphine gas 훈증법의 대체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살충 및 살균 효과를 지닌 5 kGy의 감마선 조사와 훈증처리가 상업적 조건으로 포장된 백삼의 수분, 사포닌, 당, 아미노산 등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처리 직후와 2/70% RH 조건에서 6개월 간 저장 후에 비교되었다. 백삼의 초기수분 함량은 8.44%로 살충처리에 따라 변화되지 않았으며, 6개월 간 저장 후에도 10% 수준이 유지되어 비
        93.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시기, 강도 및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장미와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바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절화장미의 경우 감마선 조사 강도가 0.5 KGy 까지는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었으나, 이 보다 강한 조사구에서는 절화장미의 품질이 매우 악화되었으며, 조사 후 설탕용액에 침지한 것은 0.75 KGy 처리구까지 절화의 품질 유지효과가 인정되었다. 조사 후 절화보존제 침지
        94.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저장조건을 저온(2-4, 80% RH), 움식(3-15, 75-85% RH), 실온방열(10-23, 75-98% RH) 및 상온(2-, 62-72% RH)으로 구분하여 저장 중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양파의 발아율은 저온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저온 저장된 양파에서는 저장 11개월까지 거의 발아되지 않았다. 양파의 부패율은 실온방열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7개월까지 낮았으나 7개월 이후에는
        95.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늘의 저장조건을 저온(31, 805% RH, LT), 움(96, 805% RH, PT) 및 상온(1411, 675% RH, AT)으로 구분하여 9개월간 물리화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마늘의 발아율은 저온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움식 및 상온저장에서는 높게 나타나 이상의 조건에서는 발아억제 방안이 요구되었다. 마늘의 부패율은 저장 7개월 째인 이듬해 3월까지는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저장조건에 상관없이 급격히 부패되었다
        96.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mercial red ginseng, which was manufactured for the past 6 years, showed a microbial level of 2.010\ulcorner to 7.210\ulcorner CFU/g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molds. The moisture content of commercial products was ranged from 13.54 to 17.26%,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product standard, 14%. Irradiation of red ginseng at 2.5 kGy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contaminated to below the detectable level. Irradiation prevented mold growth on red ginseng during storage at RH 90% and 25; molds were found at the 72nd day after storage in 2.5 kGy-irradiated sample, while 41st day in the nonirradiated control. At this point of time, irradiated samples showed an increased level of moisture content required for mold growth, 22.2% in 2.5 kGy group and 21.5% in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red ginseng could be effectively improved by the optimum dose of irradiation, which was expected to secure the quality stability of red ginseng during distribution under the high-moistured conditions.
        97.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민속주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온 국화꽃잎에서 에탄올 추출하여 식품부패에 관련된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활성과 최저 생육저해 농도를 조사하였다.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B.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소국은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산국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8종의 부패균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소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산국 에탄
        98.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분 추출용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도토리 종실의 가해해충 사멸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충 사멸방법인 methyl bromide (M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법에 대하여 살충효과와 이들이 몇 가지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국내산 도토리의 가해해충은 도토리밤바구미 (Curculio drntipes Roelofs)와 복숭아명나방 (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ee)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99.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stnuts(Castanea cretana, Eunki) were used for quality evaluations from the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oints of view during storage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ies for 8 months. Quality criteria included spouting, rotting, weight loss, and the changes in moisture, total sugar, reducing sugar, and total vitamin C of the stored sample. Sprouts(roots) were developed in about 2 months in all stored samples which had been mixed with sawdust(50% moisture) and stored under the conditions of 2∼25 and 62∼95% RH. The sprout development was more significant in the storage temperature of Pit(96, 805% RH, PT)and room(167, 8510% RH, RT) than low(31%, 805% RH, LT)and ambient(1411, 675% RH, AT). The rates of rotting and weight loss were appreciable in the order of PT, AT, RT and LT, and those of LT were 1∼2%. The use of wet sawdust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oisture contents in stored samples, thereby causing the rotting phenomena. Some chemical components of stored samples were found liable to the changes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that is; total sugar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long with a temporary increase during storage, and both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were similarly accumulated in the samples stored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ng-term storage of chestnuts will be possible in either cases of the application of low temperature following sprout-inhibition treatment or the use of lower temperature than 0 to suppress its sprouting during storage.
        100.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ability of carotenoid pigments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petals against pH, sugar, and organic acid was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carotenoids in C. boreale and C. morifolium were 3.37mg% and 4.56mg% Per fresh weight, respectively. The el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extracted carotenoids showed that the periods reaching 50% of pigment retention were more than 5 to 6 days in pH 4, and the longer periods in pH 6 to 7 in both samples. The addition of sugars such as sucrose, sorbitol, glucose and fructose resulted in the reduction in pigment stability of C. boreale, but C. morifolium was contrast to C. boreale. However, citric acid and ascorbic acid were foun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on both carotenoid samples extracted from C. boreale and C. morifolium.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