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81.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색각보정 렌즈의 색인식 능력 향상 효과를 분석하였 다. 성남 00 초둥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색각이상 남학생 21 명 (7-13세)을 대상으로 이시하라 색각검사 및 한식 색각검사를 실시하여 색각이상 유형올 분류, 비교하였으 며, 가장 적합한 보정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시하라 색각검사 시표의 해석 능력 을 평가하였다. 검사 전 알레르기 여부, 후천적 색각이상을 나타낼 수 있는 질환력, 가족 중 색각이상자가 있는지 확인하고 양안 교정시력이 1.0 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여 러 가지 보정 렌즈 가운데 Pink, Orange, Magenta 렌즈를 착용했을 때 보정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이들 중 두 가지 렌즈에서 보정효과가 비슷한 경우도 있었다.
        4,000원
        8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개발훤 플로로혐 재철의 RGP 콘태트렌즈에서도 렌즈를 착용하고 관리함에 따라 변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일반세척액, 마모제가 함유된 세척액 및 얄콜성분이 함유된 세척액옳 사용하여 세척회수에 따라 렌즈의 변수변화를 측정하 였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렌즈를 수집하여 렌즈변수와 관리방법 동에 따른 변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를 각각의 세척액으로 5회, 15회, 30회, 50 회, 100 회, 150회 맞 200회 세척한 후 굴절력, 베이스커브, 중심두께 및 직경을 측정한 결파 렌즈의 변수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착용한 렌즈에서 는 손가락으로 세척한 경우 (-) 도수가 증가하는r 경향이 나타났고 중심두께가 O.l2mm 이하인 앓은 렌즈의 경우에는 베이스커브에 변화가 관창되었다. 또한 착용한 콘택트렌 즈에서는 대부분 표변 긁혐 현상과 단백질 침전물이 관찰되어 콘택트렌즈 관리 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의 경우 중심두께가 앓거나 잘못된 방법으 로 렌즈롤 관리하면 렌즈 변행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 즈 착용자에 대한 올바른 관리 교육이 펼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8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앉night Orthokeratology 콘핵트렌즈 착용자 28명 (56안}을 대상으로 각막두께의 변화률 분삭하가 위하여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Orbscan Pachymetry System올 이용하여 렌즈 착용 전과 렌즈 착용 1 개월 후의 각막중심부 두께를 측정하였다. Ortho-K 콘택트렌즈률 착용하기 전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Orbscan Pachymetrγ System으로 측정한 각막중심부 두째는 517.7 :t 33.4 /ßII와 530.4 :t 42.1 /ßII로 Orbscan Pachymetrγ Sys따n으로 측정 한 값야 12.7 μm 정 도 더 두꺼 웠고(t = 7.01, p = O.αxx>>, 푸 측정값 사이에 높은 상관판계가 있었다(OCT 측정값= 112.8 + 0.71없4 x OPS 측정값; r == 0.96, p < O.α)()1). Ortho-K 콘태트렌죠훌 1 개월 홍안 확용하였옳 때 각막 중성 부 두께의 벌향는 〔빼cal Coh없nce Tomogra야lY 측정 값α114.9 土9.3 /ßI1(514.3 土38.9 짜에 서 499.4 土40.7 따1), Orbscan Pachyme따T System 측정 값이 8.5 ::t 15.6 때1(526.0 土49.1 때1에 서 517.5 ::t 42.6 짜} 각각 감소하였으나(OCT : t = 5.81, p =: O.αX>; 0똥 : t := 2.72, p == 0.016), 두 기기로 측정한 작막두께의 평균 변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 = -0.84, p == 0‘ 416), Orbscan Pachymetry System으로 촉정 한 각막 풍간주변부 두쩨논 14 따l 정 도 증가하였다.
        4,000원
        8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주대학 안경광학성공적인 수면작용 근시조절 각막교정술( Orthokeratology )은 콘택트렌즈를 이용하 얘 각막형상올 변화시켜 근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험 렌즈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주문 방법으로 피탱된 Ovemight Orthokeratology 콘택트 렌즈의 피탱성공흉올 얻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굴절이상도, 시력 및 각막형상 악 변화 정도률 조사하였다. 둥가구면 굴절이상도가 1-5D 사이인 18명의 끈시자를 대상으로 DreimLens를 착 용시키고 3 깨훨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렌즈 착용 전, 렌즈 착용 후 1 일째, 7 일째, 14 일째, 30일째 및 90 일째 각각 자각식 굴절검사, 자동 굴절 및 각막곡률 검사, Orbscan Topography /Pachymetry System 및 세극 둥올 이용한 전안부 검사를 실샤하였다. 나안시 력의 변화는 착용 l 일째부터 나타났고 7 일째까지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 착 용 90 일째 89%에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없는 정도인 0.8 이상으로 개선되고 64%는 1.0 이상을 유자하였다. 착용 90일째 둥가구면 굴절이상도는 평균 2.85D 정도 감소되었고, 각막중심부 굴절력은 1.13D 정도 감소되었다.90 일 동안 세극둥 검사로 부터 헨즈착용올 중단할 정도의 심한 각막부종이나 상피손상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나안시력의 개선, 끈시도의 감소 및 각막중심부 꿀절력의 감소 둥이 선 행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직접주문 펴탱법악 성공률이 매우 높았다.과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공안과와원 • 서물보건대학 안경광학과
        4,200원
        8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얀시와 관련된 안구 운동 체계를 평가하한 방법으로 사위 검사와 입체시 검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사위 검사법에 따른 사위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원거 리 완전 교정 상태 에 서 von Graefe method 및 Maddox rod test로 원 거 리 (6m) 및 근거리 (40 cm) 수평 사위륨 측정하고, Pola test로 원거리 (6m) 수평사위를 측정한 후, 각각의 잠사 결과를 바교하였다. 또한 사위도의 변화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올 조사하기 위해 동적 입체시 검사법 종 하나인 Three Needle test( 셰막대 섬도지각계 검사)를 실시한 결과 von Graefe method 및 Pola test로 측정한 원거리 수평 사위와 Maddox rod test로 측정한 수평 사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von Graefe method로 측정한 AC/A비가 Maddox rod test로 측정한 AC/A 비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사위를 교정하기 전과 후에 측정한 입체 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샤위 교 징 후 프리즘 가입 도수가 중가할수록 입체 시력이 감소하였고, 동일한 양의 B.I. 및 B.O. 프리즘 가입시 입체 사력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사위를 교정하기 전과 후의 업 체시력과 PD는 상관 관계가 없었고, 타게트탈 앞으로 당기면서 측정한 업체시력이 타게트를 뒤로 밀면서 측정한 업체 시력보다 델 예민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질환야 없으며 각막굴절교정술을 왼하여 서울 소재 종합병원 안파를 방문한 20- 55세(평균 27.따4 :t 7.06세)의 근시성 굴절이상자 74명 (113안)올 대상으로 굴절이상도와 각막형상올 각각 측정하여 측정값의 상호 연관성올 분석하였다. 자각식 굴젤점사로 얻 은 전체 근시군의 둥가구면 굴절이상도는 평균 -6.175 :t 2.306 D(-2.ooD--12.375 D), 각막의 수평경선과 수직경션의 평균 굴절력은 43.814 :t 1.237 D(40.75-46.125 D), 명균 이심률은 0.466 :t 0.377( -0.454-0‘987) 이었으며, 굴절이상도와 각막꿀절력 (r == 0.049, p =: O.많쟁) 및 굴절이상도와 이심률 (r = -0.078, p = O.앓5) 사이에 상관성올 발견활 수 없었다. 높은 근시군 (62안)과 낮은 근사군 (51 안)으로 나누어서 비교 분석한 결과, 높은 근시 군의 평균 굴절이상도는 -7.835 :t 1.661 D, 각딱굴절력은 43.752 :t 1.170 D, 이섬훌온 O.때6 :t 0.341 이었다. 또한, 굴절이상도와 각막굴절력 사이에 상관관계는 상관성이 없었 으나 (r = 0.002, p = 0.987) 굴절이상도와 각막의 이심률 사이에는 10% 유의수준에서 낮 은 상관성이 있었다 (r =: -0.226, p = 0.078). 낮은 근시군의 평균 굴절이상도는 -4.157 :t O.뺑7D, 각막굴절력은 43.890 :t 1.320 D, 이심률은 0.441 :t 0.419 이었으며, 굴절이상도와 각막굴절력 (r =: 0.064, p =: O.닮6) 및 굴젤이상도와 각막의 이심률 (r =: 0.223, p =: 0.116) 사 이에서 모두 상관성이 없었다. 높은 근시군과 낮은 근샤군 사이에서 굴절이상도논 3.578D 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t =: -13.912, p = O.이)()), 각막굴절력 (t =: 0.587, p =0.닮8) 과 이 섬 률 (t = -0.639, p = 0.524)윤 유의 한 차이 가 없었다.
        4,000원
        8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수색초둥학교 3-5학년 재화생 111 명(남 45명, 여 66명) 222안올 대상으로 굴 철이상도, 각막곡률 및 안구의 걸이롤 측정하여, 8개월 동안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조절마비 상태에서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둥가구면 굴철이상도의 펑균 변화도는 -0.32:3 ::t 0.346 D( -0.399 ::t 1.621 D에서 -0.722 ::t 1.719 D) 외 유의한 증가률 보였고 (t '" 13.985, p = 0.0000), 자동각막곡훌제로 측정한 각막굴철력의 평균 변화도는 -0.02 ::t 0.246 D(43.322 :t 1.241 D에 서 43.301 ::t 1.갱OD) 의 감소률 보였으며 (t = 1.239, p = 0.217), A -Scan Ultrasonography로 측정 한 안구의 길 이 는 O.잃6 :t 0.239 mm(23.231 ::t 0.875 mm 에서 23.467 ::t 0.940 mm) 의 유의 한 중가를 보였고 (t = • 14.730, p = 0.0000), 안축장/각 막곡률비는 0.029 ::t 0.035(2.980 ::t 0.1 14에서 3.009 ::t 0.12 1)의 유의한 증가훌 보였다 (t = --12.388, p = 0.0000). 안광학상수의 변화가 굴절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축장의 증 가가 근시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온 낮은 상관성올 보였고 (Y = 0.173 + -0.198 * X; r = -0.284, p < 0.(001), 각막곡률의 감소와 근시도의 증가 사이에는 상판성이 없었다 (Y = -0.031 + -0.033 * X ; r'" -0.046, p = 0.48). 또한 정시 및 왼시군(둥가구면 굴절이상도가 -O.50D 야하)과 근시군(둥가구면 굴 절이상도가 -O.50D 이상)의 근시진행도를 비교한 결과 정시 및 왼시군(평균 변화도 -0.234 ::t 0.330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458 ::t 0.327 D) 에서 근시도가 더 크게 증가 하였고 (t'" -4.983, p = O.α)()()) , 안축장은 정시 및 원시군(평균 변화도 0.175 ::t 0.217 mm) 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331 ::t 0.241 mm) 에서 더 크게 증가하였고 (t = 4.986, p = αoα삐), 각막곡률은 정시 및 원사군(평균 변화도 -0.013 ::t 0.254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031 :t 0.233 D) 에서 더 크쩨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t = -0.513, p '" 0.608). 따라서 초등학생에서 신체의 성장과 함께 굴절상태가 근사쪽으로 진행하며 안축장 이 증가하는 반면 각막의 굴절력온 갑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시 및 정사군보다 근시군에서 근시도 및 안축장악 변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안질환과 외판상 전신질환이 없 는 10--13세(평균 10.5 세) 사이의 초등학생 200 명(남 96 명, 여 104 명)을 대상으로 안 경테 설계와 관련된 머리와 얼굴부위를 계측하고, 이 자료룹 바탕으로 한국 어린이용 안경테의 전면부와 다리부 설계값을 구하였다. 한국어린이의 얼꿀형태는 코카시안 어 린이의 얼굴형태와 차이를 나타냈으며, 안경테 설계와 관계꾀는 앨꿇너\:1 1 와 머리너비 는 한국성인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머리최대길이, 귀구슬사이거리, 동공사이거 리는 성인과 차이가 있어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은 성인용 안정테 설계값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얼굴형태를 기초로 계산된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올 현재 판매되고 있는 어 린이 딴경테 측정치와 비교한 결과 안정테 전변부 선체깊이 (FHDl, 기준선길이 (RHD) 및 Front to Bend(FTB) 는 기존 안정데가 설계값보다 크기자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안경테 PD(OCD), 렌즈고정툴사이거리<DBR>, Length of Drop(LDl은 기존 안경 테가 설계값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는 성인 안경태의 축소형이 아닌 어련이의 얼팔 형태에 적합하게 설겨1 되어야 하므로 현재 시 판되는 안경테보다 안경테 전면부 길이는 크고 안경태 PD. 렌즈고정툴사이거리, 연 결부 (bridge) 는 짧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며, 어린이의 취향에 맞게 설계값올 기초로 하여 따양한 디자인의 안경테가 제작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권다.
        4,500원
        8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경올 착용하고 있는 초둥학교 어린야 120 명(현재 안경의 착용기간 0.67 ::1:: 0.55년) 을 대상으로 안경올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현감에 대한 설푼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착 용 중인 안경의 조정 (fitting) 상태, 광학적 조제상태 및 안정테의 크기률 조사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28% 가 안경을 착용하면서 불편올 느꼈으며, 불펀감의 왼인은 ‘훌 러내댐’ 41%, ‘코와 귀 부위의 압박감’ 46%, ‘기타’ 12% 로, 대부분 안경테의 역학적인 조정상태가 불편감의 원인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안경 착용상태를 조사한 결과 착용자의 67% 에서 착용상태가 적절하지 못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는 코받침부의 간격이 넓고 l斗리꺾엉부의 위치가 깊게 조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거리가 일치하지 않은 안경은 93%로 나 타났으나, 독일 RAL-RG-915룰 적용하여 조제가공 허용오차의 범위에 대한 적부플 판단한 결과 수펑방향은 96% 가 적합하였으며, 수작방향은 89% 가 적합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4.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등가구면굴절력은 -1. 99엄::t:1.729D 였으며, 완전 교정도수 의 등가구변굴절력은 2.660::t 2.068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큰 불편은 느끼지 못하눈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와 어련이 안경태의 설계값을 비교한 결과 전면부 전체길 이 (FHD) 는 설계값에 비해 작은 반면, 렌즈고정블 중심간거리 (FPD>와 렌즈고정틀 사이 거리 (DBR)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리부 전체길이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length of drop(LD)은 긴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어린이가 안경쏠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편감의 주증상흘 흘러내립이 며 그 원인으로는 넓은 코받침부의 간격과 다리꺾임부의 위치가 부적절하게 조정되 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시판되는 안정테의 크기가 어린이의 얼굴 형태에 적합하지 못하며 특히 코받침 부위가 열굴형태와 관 차이가 있어 어린이의 얼굴형태 에 따라 안경태를 조정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