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101.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ies to evaluate distribution of markers in normal keratinocyte and their immortalized keratinocyte are appropriate to evaluate the normal and preneoplastic lesion of oral cancers as biochemical and cytochemical changes associate with tumorigenesis being not completely understood. Complementary DNA microarray containing 6000 sequence -verified cDNA elements was used to systematically characterize the variation in gene expression patterns of NHOK cells vs. immortalized keratinocyte by HPV16 E6-E7(IHOK). Examination of gene expression that is 85 clones cDNAs exhibits greater than 2 fold overexpression in NHOK probes relative to IHOK probe, 147 cDNAs reveal greater 2 fold overexpression in IHOK relative to NHOK probe.The high similarity in gene expression (96.5%) between IHOK and NHOK cells suggests that only an additional 232/6720 (3.5%) of the genome is differentially gene activated during HPV16 immoratlized keratinocyte growth and differentiation. Examination of gene expression that differs between NHOK and IHOK cellsapprear to be related to : cell adhesion & recognition, cell cycle regulator, apoptosis, transciption factors, growth factors and therir receptors, cytoskeletal an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signal transduction modulators and effectors, and miscellaneous. The gene expression of cell recognition factor such as endothelin 1, collagen IV, fibronectin, and SPR1 in IHOK were upregulated. Distinct or duplicated cDNA clones representing the same gene were typically clustered in adjacent rows in the clustered gene map. Therefore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identified genes should be informative in studying oral epithelial cell carcinogenesis and such studies should foster the research of molecular markers allowing to assess the phenotypeof malignant epithelial tumor.
        4,300원
        107.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득 및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는 모호성 광고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쇄 광고에 제공되는 메시지의 양을 조절하여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을 구분하였고 이에 대한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을수록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메시지 제작에 있어서 모호성의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은 경우 이득 메시지에 비해 손실 메시지의 광고태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수용자는 동일한 상황의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손실 메시지 상황에서 모호성 수준이 높은 광고는 오히려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모호성 광고 제작을 위한 논의를 제안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108.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광고 표현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부산지역에서 구독률 상 위권의 신문을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광고의 광고소구 방식 및 헤드라인 유형을 분석하였다. 브랜드(전국기반 브랜드, 지역 기반 브랜드)에 따라 광고소구 방식(이성적 소구, 감성적 소구)과 오토 클리프너(Kleppner Otto)가 제시한 네 가지 분류법 (뉴스형, 약속형, 호기심 자극형, 선택형)으로 헤드라인 유형을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광고가 이성적 소 구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약속형과 선택형에 비해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이용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뉴스형이 가장 많이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두 브랜드 모두 에서 이성적 소구 방식의 사용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기반 브랜드에서는 뉴스형의 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지역기반 브랜드에서는 이용 빈도수는 적으나 나머지 유형의 헤드라인들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표현 전략의 차이가 브랜드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 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광고 실무자와 아파트 건설기업들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112.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외에 우리 국민에게 친숙한 향기를 지닌 냉이를 대상으로 식용 부위에 따른 향기성분을 SDE 및 SPM 방법으로 동시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유 방향성 식물자원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SDE 방법으로 포집한 정유 성분과 SPME 방법으로 추출한 headspace 성분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유에는 headspace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탄화수소의 함량이 적었고, 케톤류,
        11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반포 단계의 난자에서 차이 나게 발현하는 유전자의 발굴을 통해 초기 동물 발생과 분화에 관한 기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차별발현 역전사효소중합법, 이름하여 에닐링 콘트롤 프라이머(ACP) 방법에 의해 생쥐 배반포에서 차이 나게 발현하는 유전자를 줄기세포와 비교하여 발굴하였다. 총 100개의 ACP를 사용하여 26개의 유전자 단편을 확인하였고, BLAST 탐색에 의해 유전자 정보 은행(GeneBank/EMBL)에 저장된 유전자와 동일하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