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

        121.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harvesting time-dependent changes 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new varieties of highland cultures of Gomchwi (Ligularia fischeri) crossed with Turcs (Ligularia fischeri (Ledeb.)) and Nakai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mely Sammany (S), Gommany (G) and Damogy (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harvesting times on nutritional and health-related properties such as total phenolic contents, flavonoids, DPPH (1,1-diphenyl-2-picrylhydras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From these harvests,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methanol. Total phenolic content in Jul 14-G (Gommany harvested on July 14, 0.172 ㎎·GAE/㎖)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products harvested after the same period (S, 0.154; D, 0.141 ㎎·GAE/㎖). Flavonoid content was higher in Jul 3-G (0.114 ㎎·QE/㎖), compared to Jul 3-S (0.113 ㎎·QE/㎖) and Jul 14-D (0.089 ㎎·Q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higher in samples harvested after June 12 in all cases. On July 14,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mong all harvest dates were seen (92.875~94.595%). The reducing power was also dependent on harvest day (Abs 0.5~0.6 on July 14), showing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and harvesting times seem to correlate with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12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롱꽃과 더덕속 식물인 더덕과 만삼의 종자 발아 특성 조사로 종자입모율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온도별 종자발아실험, 식물생장조정제 처리 효과구명, 종자 보관에 따른 발아율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재료중 더덕 종자는 강원도 농업기술원 산채연구소에서 2013년 가을에 채종한 종자를 분양 받아 사용하였고, 만삼 종자는 강원도 정선 재배농가에서 2013년 가을에 채종한 종자를 분양 받아 풍선법으로 정선한 후 종자봉투에 봉입 후 실험실(20℃)에 두어 실험할 때마다 꺼내어 사용하였다. 저온처리 온도는 5℃의 냉장고를 사용하여 1주, 2주, 4주간 저온처리 후 각각 20, 25, 30℃의 항온조건으로 옮겨 매일 발아 상태를 조사하였다. 발아 촉진 목적으로 사용된 식물생장조정제는 3종으로 GA3는 정량 후 증류수에 넣어 교반하여 사용하였고, BAP와 키네틴은 용액 상태로 구입하여 시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온도별 발아시험 결과 더덕은 20℃에서, 만삼은 15℃에서 각각 89%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30℃에서 더덕은 27%, 만삼은 2%의 낮은 발아율을 보였다. 5℃의 조건에서 더덕은 2주간, 만삼은 4주간 처리 후에 20, 25, 30℃에서 평균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더덕은 저온처리 기간에 배의 발달이 있었고 저온처리기간과 배의 발달과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더덕과 만삼은 고온일수록 발아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만삼에서 GA3 처리농도와 발아율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주간 저온 처리 후 500ppm 복합처리에서 95%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더덕은 GA3 처리 후 발아율이 증가되지 않았다. 더덕, 만삼 종자에 사이토키닌 처리에서 처리농도와 발아율과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발아가 전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더덕과 만삼 종자는 상온에서 1년간 보관 후 발아율이 크게 하락하였으나 저온냉장고에서 1년간 보관 후 더덕과 만삼의 발아율은 각각 75%, 79%로 높았다.
        140.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eaves of Hippophae rhamnoid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ed with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in order to investigate biological activity. Two flavonol glycosid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which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RC50 = 4.33 μg/ml). Isolated two compounds have shown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pecially, quercetin 3-O-glucoside (RC50 = 2.60 μg/ml) was more active than α-tocopherol (RC50 = 4.67 μg/ml).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to 4.17 and 1.14 mg/ml in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In addition,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the strong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C50 = 137.88 μg/ml) among the frac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leaves of H. rhamnoides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