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8

        12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ing rate on the quality and yield of whole crop rice variety, "Nokyang". Whole crop rice variety, "Nokyong", was direct seeded at 25 April. The seeding rate were four level(30, 60, 90, and 120㎏/㏊). There was not found significantly difference plant height and dry matter(DM) content among seeding rate. The average DM content was 44.1%. Dry matter yield of 30㎏/㏊ seeding rate plot was decreased compared to others treatment. The CP yield of 60㎏/㏊ seeding rate plot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Acid detergent fiber(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NDF) content have not been affected in relation to seeding rate. The content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increased with increased seeding rate until 90㎏/㏊ seeding rate. The highest fresh and DM yield showed at 120㎏/㏊ seeding rate. But there was not found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60, 90 and 120㎏/㏊ seeding rate. Although high seeding rate increase the DM yield, 60㎏/㏊ seeding rate will be recommendable as proper seeding rate for whole crop rice.
        12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know adaptability and production of silage corn, we studied on paddy field experiment. Heading date of 'Kwangpyongok' and 'P32P75' Hybrids was on 15th July, 14th July respectively. The dry matter yield of 'P32P75' hybrid (20.4ton/㏊) was the highest among 10 hybrids and that of 'Kwangpyongok' hybrid (19.1ton/㏊) showed high in domestic corn hybrids and other characters as like feed vales is almost same in 10 hybrids.
        12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umblebees are important pollinators in greenhouse and have colonized all parts of the World. In Korea, the value of bumblebees is increasing as pollinator. However, the more recent use of reared colonies may ultimately allow pathogens to spread to peripheral areas for bumblebees. Generally, bumblebees are hosts to a large number of parasites which are mites, flies, protozoa, fungi, virus and bacteria. For most of these,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effects against host insect, epidemiology or evolutionary ecology. So, we report 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Bombus terrestris and B. ignitus at first time in Korea. Bacillus fusiformis and Klebsiella oxytoca are isolated from B. terrestris and confirmed with 16S rRNA gene nucleotide comparison in NCBI genebank. Pathogenicity of B. fusiformis was 35~40% against B. terrestris. Pantoea dispersa and K. oxytoca are isolated from B. ignitus and confirmed with 16S rRNA gene nucleotide comparison in NCBI genebank. Pathogenicity of these species were 35~40% against B. ignitus. These pathogenicity are considered as low-level.
        126.
        200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산, 불산 및 과염소산을 사용하여 플루토늄 옥사이드 을 녹여 Pu 기준용액을 제조한후 UV-Visible-Near IR 분광기를 이용하여 Pu 흡수 스펙트럼 특성을 관찰하였다. 산성, 중성 및 알칼리 매질에서 Pu(III), Pu(IV) 및 Pu(VI)에 대한 분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칼리 및 산 농도 증가에 따른 Pu(VI) 흡수 스펙트럼에 대한 특성 피크 세기 및 위치를 관찰하였다.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 매질에서 환원제 첨가에 따른 Pu(VI) 산화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4,000원
        127.
        200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경수로원전 1차 냉각재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내 핵종방사능비에 대한 유관성을 검토하고자 특수하게 제작된 RCS sampling kit를 이용하여 원전 정상운전기간 동안 핵종을 포집하였다. 시료채취는 경수로형 전 원자력 발전소를 대상으로 2004년과 2005년에 걸쳐 시료를 채취하였고, 방사화학적 방법인 시료 전처리 및 핵종분리를 통하여 핵종 방사능을 분석하였다. RCS sampling kit 내 필터와 수지에서 분석된 핵종 방사능비는 각각 2.32-2와 7.3E-1을 보였으며, 동일주기 내 발생된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인 농축폐액, 폐수지, 잡고체시료 내 핵종 방사능비는 각각 6.3E-1, 6.7E-1 및 5.7E-2로 시료유형 에 따라 1차 냉각재와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000원
        129.
        200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파분광법에 의한 의 정량방법을 검토하였다. 황산염 매질에서 전류세기, 전착시간 및 유기물 첨가제 둥의 변화에 따른 의 전착조건을 찾은 결과 A에서 유기첨가제 없이 시간 동안 전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을 4.16 Bq에서 0.0264 Bq(1ng) 까지 전착한 결과 농도가 낮을수록 전착율 및 재현성이 낮아졌으며 1 ng 까지 측정이 가능하였다. 사용후 핵연료 합성용액에서 을 분리한 후 알파분광법으로 측정하여 정량한 결과 (n=4)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사용후 핵연료 시료용액 중 을 정량하였으며 계산 값과 비교한 결과 10% 이내에서 서로 일치하였다.
        4,000원
        13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뻐ny studìes have shown the anti-proli ferative effects of irondeprivation on cancer cell s‘ but the effects 01' iron-chelators on oral cancer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ron chelato r, desferrioxamine( 01"O).on the growth of ilIllTIortali zed human o1'al ke ratinocytes(IHOK), primary oraJ cancer cel ls(HN4)‘ metastatic oral cancer cell s(HN12) , and human skin keratìnocytes(HaCaT) in the MTr assay, three-dimensional(3D) raft cul tmes, Western blott ing, cell cycJ e analysis‘ nuclear staining‘ and cytochrome c expression for apoptosis s ig naling pathway were used OFO inhibited the growth of immortalized IHOK and HaCaT and mal ignant HN4 and HN12 keratinocyte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according to the MTT assay, The 3D organotypic cu l tu re also revealed that OF'O-treated cells showed less epithelial maturation, less surface keratinizati on‘ and de creased epithelia l thickness, The major mechanìsm of growth inhìbition with the micromolar 0 1"0 treatment was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was supported by nuclear OAPI staining, ONA fragmentation analysis, and J10w cytometric analysis for sub-Gl phase ar rest and Annexin V-1"ITC stainìng, Furthermore‘ Bax expression in creased together with p53 and p21WAF1!CIPl, whìle the Bcl-2 expression decreased in the immortalized and malig nant keratinocytes treated with 01"0 , Time-dependent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was observed in D1"O-treated [l-IOK and 0 1'머 cancel‘ ceJJ s, and was accompanied by the activation of caspase-3 in IHOK cells. These resu lts demonstrate that 0 1"0 has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immortalized and malignant oral keratinocyLes Lhrough the induction of apoptosis and suggest that further evaluation of OFO as a potcntial thcrapcutic agent for human oral precancerous and cancerous lesions is warranted
        132.
        200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차폐 laser ablation 시스템을 레이저, 미세영역의 영상 확인을 위한 이미지 시스템, XYZ 이동장치와 조절기, ablation chamber, manipulator 및 여러 가지 광학부품들로 구성하였다. Ablation용 레이저는 UOB 및 tircaloy 시편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266 nm(6 mJ)까지 파장 변환이 가능한 Nd:YAG 레이저를 선정하였으며, 이미지 시스템은 직경 50 m 크기의 crater를 판별할 수 있는 200 배율 이상의 규격을 갖춘 CCD 카메라로 선정하였다. 시편 미세이동장치는 XYZ방향으로 시편이동이 가능하고 최대 이동거리가 50 mm까지 , 그리고 최소 1m 씩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장치로 선정하였다. 구성된 각 단위기기들에 대하여 광학 정렬을 수행한 후, 시료채취 부위를 50 m씩 정확하게 이동하면서 레이저로 조사시킨 시료 표면을 CCD 카메라를 통하여 관찰한 결과, 표면에 생성된 crater는 원형임을 확인함으로써 단위기기별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36.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을 이용한 도열병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도열병균의 포자와 발아균계에 각각 X-ray 10, 40, 80, 120kR를 조사시켜 그들의 방사선감수성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열병균의 포자발아율은 X-ray 소사선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되었으며 120kR에서는 거의 생존하지 못하였다. 2. 비교적 저선량인 10kR 조사에서는 초기발아관신장의 촉진 현상을 보였으며 선량의 증가에 따라 균계의 사멸 현상이 현저하였다. 3. X-ray 조사에 의한 발아균계의 생존율 및 신장은 선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다. 4. X-ray를 조사받은 발아균계는 포자에 비하여 높은 방사선 감수성을 보였으며, 고선량일수록 그 차이는 현저하였다. 5. X-ray 조사에 의한 도열병균의 돌연변이율은 조사선량에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
        4,000원
        137.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균의 종의 빈도와 발병환경 및 방제법을 구명코져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Trichoderma koningi, T. lignorum, T. glaucum과 미동정의 1종등 4종의 병원균이 분리되었고 이들의 빈도는 각각 와 이었다. 푸른곰팡이병균은 감자배양액, 왁스만배양액과 리차드배양액에서 생육이 잘 되었으며 중성-염기성배지에서는 생육이 불량한 반면 산성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최적산도는 pH4였다. 양송이 수확기간 중 재배사내의 온도는 내외 일 때 본명의 발생이 적었고 수량이 많으며 이상에서는 본병의 발생이 격심하였다. 푸른곰팡이병균은 복토흙 소독시 에서 60분, 혹은 에서 30분간 열처리하므로서 완전히 사멸하였고 퇴비 후발효 과정에서도 사멸되었다.
        4,000원
        138.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슬산 이중편파 Radar 자료와, GPM 위성자료 및 21개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지상강우자료를 활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2, KIMSTORM2)을 이용해 남강댐 유역(2,293 km2)을 대상으로 유출해석을 수행 하였다. 모형의 유출 해석은 2016년 10월 5일 02:00∼09:00 총 8시간 동안 최대강우강도 33 mm/hr, 유역평균 총 강우량 82 mm이 발생한 태풍 차 바(CHABA)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Radar 및 GPM 자료와 조건부합성(Conditional Merging, CM) 기법을 적용한 Radar (CM-corrected Radar) 및 GPM (CM-corrected GPM) 자료를 각각 활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 때, 공간 강우자료에 유출 검보정은 남강댐 유역 내 3개의 수위관측 지점(산청, 창촌, 남강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매개변수 초기토양수분함량, 지표와 하천의 Manning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보정하였다. 유출 결과는 결정계수(Determination coefficient, R2),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NSE) 및 유출용적지수(Volume Conservation Index, VCI)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CM-corrected Radar, GPM 자료가 평균 R2는 0.96, NSE의 경우 0.96, 유출용적지수(VCI)는 1.03으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CM 기법을 이용한 보정된 공간분포자료는 기존의 자료에 비해 시공간적으로 정확한 홍수 예측에 사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13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multidrug-resistant (MDR) strain. Especially, MRSA is developing resistance to available antibacterial agents and causing com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infections related to skin, soft tissue, respiratory, bone, joint, and endovascular disorders. Therefore, antibacterial agent combination therapy appears to be a useful option,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antibiotic availability is limited. (+)-Usnic acid (UA) is uniquely found in lichens, and is especially abundant in genera such as Usnea and Cladonia. UA ha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uman and plant pathogens. Therefore, UA may be a good antibacterial drug candidate for clinical development. Methods and Results : In search of a natural products capable of inhibiting this multidrug-resistant bacteria,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UA against MRSA.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of UA and permeable agents against MRSA were investigated. For the measurement of cell wall permeability, UA with concentration of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was used. In the other hand, Sodium azide (NaN3) was used as inhibitors of ATP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of UA was potentiated by membrane-binding agents and ABC transporter-inhibiting agents, implying that antibacteri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damage of the cell wall and inhibition of ATPase function by UA. Conclusion : UA and in combination with EDTA and NaN3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combination antibiotics against MRSA inf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 to be promising, and they are expected to enhance the use of natural products as drugs.
        14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xeris genus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s as stomachics, sedatives, and diuretics.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is a kind of perennial herbaceous plant and one of the plants of the genus Ixeris (Asteraceae). It is well-known for edible wild vegetable in Korea, China, Japan, and Mongolia. Specially, Korean has its root and young leaf with appetizing vegetable due to bitter taste. Methods and Results : We isolated 8 genes that are involved in carotenoid biosynthesis using the Illumina/Solexa HiSeq2000 platform. In this study, a full-length cDNA clone encoding phytoene synthase (IdPSY), phytoene desaturase (IdPDS), ξ-carotene desaturase (IdZDS), lycopene β-cyclase (IdLCYB), and zeaxanthin epoxidase (IdZEP) and partial-length cDNA clones encoding lycopene ε-cyclase (IdLCYE), ε-ring carotene hydroxylase (IdCHXE), and β-ring carotene hydroxylase (IdCHXB2) were identified in I. dentata. The theoretical molecular weight (MW) and isoelectric point values of 8 genes were investigated. Seque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se proteins shared high identity and conserved domains with their orthologous genes. IdPSY, IdPDS, IdZDS, IdLCYB, IdCHXB2, and IdZEP were constitutively expressed in the roots, stems, leaves, and flowers of I. dentata. Conclusion : Our study on the biosynthesis of carotenoids in I. dentata will provide basic data for elucidating the contribution of carotenoids to the considerable medicinal properties of I. dentata.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