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nseng has been used as a medicinal herb in the world for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Inspection of the quality of ginseng was made since many hundred years ago. Ginseng quality has been graded by several methodes, based on saponin contents, number of ginsenosides, shape of root and tissue elaborateness. In present. ginseng products are usually evaluated by saponin contents and number of ginsenosides. On the other hand, fresh and manufactured ginseng roots such as red. white and semi-red ginseng, Taegeuk Sam, are mostly graded by root shape such as root development and skin (epidermis) color, and tissue elaborateness. which is a conventional grading method. However, the root shape grading method has a risk of overlooking real medicinal properties of ginseng. So. both the medicinal ingredients and the conventional grading method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roper evaluation of ginseng quality. Therefore, for the establishment of better method in evaluating ginseng quality, the relationships of root shape and useful components are required to be studied.
        2.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광도와 재식밀도(40, 56, 90주/칸)가 인삼의 수량과 홍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양토산지삼포에서 수행하였다. 1. 20%의 광도는 수량이나 홍삼품질에서 5% 관행광도에 이하여 유의차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2. 고광도는 줄기를 줄이고 엽면적을 적게 했으며 비엽중을 증대시켰으나 경직경이 적은 것으로 보아 조기낙엽의 피해 가능성이 있다. 3. 고광도는 엽록소함량을 적게 하였으나 Chl a /b값은 차이가 없었고 잎의 수분함량에 차이가 없었다(6 월 15일). 4 최대수량과 최대천지삼율을 나타내는 재식밀도는 칸당 64본으로 일치하였다. 5. 외관천지삼율은 천지삼율과 유의(P=0.01) 정 상관을 보였다. 6. 내백은 56 주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백피는 90본에서만 유의성 있게 낮았다 7. 내공은 재식밀도와 유의성 있는 관계가 없어 밀식이 내공방지에 유효하다는 일반의 믿음과 일치하지 아니하였다.
        3.
        198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풍기와 금산지방의 백삼포장을 대상으로 인삼의수량, 재식본수, 결주율, 근중엽면적 수확근수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1. 금산지방은 풍기지역보다 재식본수가 거의 2배나 되며 박엽을 및 결주율이 높고 수량은 낮았다 2. 수량이 밀식재배에서는 근수에 의존하고 소식재배에서는 근중에 의존하였다. 결주율이 수량에 주는 영향은 밀식재배에서 더욱 현저하였으며 재식본수는 유의성은 없으나 수량과 부상관이였다. 결주율과 재식본수와는 무관하였다. 3. 채굴본수는 재식본수에 의존하고 특히 결주율에 의해 제한되었다. 4. 수량은 수확기 엽면적지수(LAI) 특히 생육 최성기 LAI 에 의존하였으며 LAI는 밀식재배에서는 채를 본수에만 소식재배에서는 주엽면적에만 의존하였고 LAI 는 밀식과 소식재배간 차이가 없었으며 MR에 의하여 제한되었다. 5. 주엽면적은 근중에 고도로 의존하였으며 밀식에 의하여 LAI 가 증대하지 않는 원인이고 모든 포장은 최적 LAI 이하였다.
        4.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ponin생합성의 개체발생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삼종자의 개갑과정과 묘삼생육초기에 saponin및 유리당의 변화를 HPLC로 조사하있다. 개갑처리 40일 후에 약 80%의 saponin이 없어졌으며 Rc, Rb2 , Rb1 이 없어지고 PD가 더 많이 없어졌다. 70일 후에는 40일 후보다 증가하였으며 Rg2 와 Rg3 (추정), 20-gluco Rf(추정)의 증가는 분해용탈 외에 생합성 가능성을 배제하지 아니하였다. F3 (추정)는 과육에 없고 미숙배유와 배에 있고 개갑과정에서 적어졌다. Rg3 는 과육에 없고 배유와 배에 흔적으로 있으나 개갑에서 증가되었다. 20-gluco Rf는 개갑 중 배유와 배에서만 나타났다. 4월 20일의 묘삼근에서 saponin은 없었으나 줄기에서는 개갑시 보다 많았다. 근의 saponin 생성은 5월 29일에 나타났으나 6월 30일에야 Rc, Rb2 , Rb1 이 처음 생기며 본 궤도에 이르는 것 같다. 6월 중 단위 생중당 saponin 생합성 속도는 뿌리보다 잎에서 배가 높았다. 잎사포닌 F3 와 F6가 뿌리에서 발견되고, 근 saponin Rg3 와 20-gluco-Rf가 엽에서 나타났으나 점점 감소하였다. Saponin함량의 변화에는 PD가 주역이여서 PT/PD는 saponin 함량과 부상관을 보였다. 재갑처리 70일에도 sucrose의 함량이 높았으나 glucose는 흔적, fructose는 없었다. 묘삼의 잎은 sucrose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초기에는 많았으나 후에는 상당히 적어졌다. 줄기는 glu-cose가 많고 기타는 흔적 정도 였으며 뿌리는 초기에 sucrose가 종자에서 보다 높았으나 그 후 모든 당이 거의 흔적뿐이었다.
        5.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7개 농가포장에서 인삼종자의 생산량 및 종자소질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별 채종량은 거의가 4~10 /간(간 : 180x90cm의 면적) 절위이였다. 2. 채종량이 많은 포장의 종자일수록 100입중, 4mm이하의 종자 생산 비율이 모두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전종자의 12%는 4mm이하의 종자이었으며 66%는 4-5mm, 22%는 5mm이하의 종자이었다. 4. 채종모본 선정 포장에서는 방임채종포에 비해 채종량은 감소되었으나 100입중, 4mm이하 종자의 생산비율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5. 종자의 길이와 폭 간에는 정(+)상관이 인정되었으나 폭과 두께, 길이와 두께간에는 유의상관 인정되지 않았다. 6. 채종량은 채종모본의 생육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4mm이하의 종자생산 비율을 감안할 때 100간당 7-8 미만 채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여졌다.
        6.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지삼포에서 면삼율과 결근율을 조사하여 토양의 화학성과 단순상관 관계를 보았다. 면삼율은 근령에 관계가 없었고 결근율과 정상관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면삼율은 토양의 유효인산함량 및 인산일수분비와 유의정상관을 보였다. 결근율은 토양 수분 및 Ca과 유의부상관, 인산일수분비와 유의정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면삼과 결근의 공통요인으로 토양인산의 과다와 토양수분의 부족임을 시사한다.
        7.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6월 14 일에 4년생 인삼 식물체의 각 기관별, 10월 1 일에 6년생을 근상태별로 구분하여 호흡량을 측정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관별 호흡량은 유과≒엽>화경>경≒근의 순이었다. 2. 15℃ ~30℃ 사이에서의 기관별 호흡계수는 유과 2.39, 엽 1.75, 근 1.57, 경 1.17, 화경 1.16이었다. 3. 채굴 당시 대편삼(117± 8.8g)과 소편삼(54± 4.0g)간에 호흡량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4. 근내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호흡량은 저하되었으며 그 정도는 소편삼에서 현저하였다. 5 . 건전삼에 비해 근적변삼에서 근호흡량이 현저히 많았다.
        8.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종자의 내과피에 부생하는 진균이 배생장 및 개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종자와 층적장의 모래를 살균 처리한 뒤 종자를 층적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소독에 의해 종자의 내과피에 부생하는 균밀도가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종자의 경도변화가 크게 억제되었고, 종자의 경도와 균밀도간에는 부(-)상관 (r=0.984**) 이 인정되었다. 2. 종자내 수분함량의 증가는 종자소독구가 대조구보다 20일 늦게 시작되었다. 3. 배생장과 개압은 종자소독에 의해 크게 억제되었고 종자의 경도가 낮을수록 배생장은 잘되었다. 인삼종자의 내과피에 부생하는 진균이 내과피를 경화시켜 산소, 수분 등의 공급을 쉽게 함으로써 배생장 및 개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9.
        198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양수분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경Pot(1/2000cm)에 묘삼을 이식하여 토양수분함량별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장황, 근수량과 지상부 형질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생육에 대한 토양의 적정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65. 5%(절대수분 22.1%였고 생육이 정지되는 토양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31.5%(절대수분 10.7%)였다. 2. 토양수분 함중이 적은 곳에서는 출아 및 전엽율이 상당히 지연되었으며 엽면적외 감소와 지상부 결주가 많아져 근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였다. 3. 근수량은 엽면적(r=0.91**) 경직경(r=0.76**) 경장(r=0.71**) 지상부생중(r=0.96**)간에 각각 정의 상기관계가 있었고 지상부 결주율(r=-0.77**)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생근중과 수분함량(r=- 0.80**)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 수분이 충분한 곳에서 자란 인삼은 조직이 치밀함을 나타내었다.
        10.
        198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인삼농가포장에서 행별로 수량, 결주 및 이병주를 조사하였다. 평당수량은 결주율과 부의 상관이었다. 행간에 대부분의 포장에서 수량에 유의차가 있으나 결주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행별수량기여율은 전3행에서는 20% 이상이었다. 평균결주율은 32% 생존주에 대한 이병율은 24%, 건전주율은 53%였다. 결수율은 이병율과 유의 정식관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행별수량은 현행일복방식에 영향을 받으나 결주와 수량감소를 초래하는 발병은 영향받지 않으며 따라서 수량증대에는 일복개량과 병해방제의 두 길이 있음을 시사한다. 평균수량한계는 3kg으로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