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performance tests and enthalpy drop tests for a large scale turbine of power plant. The objectives of performance test is to exactly evaluate the degradation of the steam turbine generator in order to provide plant information to help performance engineers identify problems, improve performance, and make economic decisions about scheduling maintenance and optimizing operation. To see the performance changes, thermal performance calculation modelling has developed. We can obtain the detailed performance calculation methods for turbine cycle, based on the reference of ASME PTC. And also the enthalpy drop test has been carried out. The technical and economical assessment for each turbine section i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 of turbine enthalpy drop test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changes throughout the operation period, we confirmed the performance reliabilities of the turbine and its conditions.
        4,000원
        2.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조업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생력형어구를 제작하여 현장조업선에 의한 해상실험을 실시하여 어구의 형상과 조업시스템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력형 어구의 양선간격에 따른 오비기 앞끝, 오비기, 수비, 앞창, 자루그물 입구, 깔때기, 자루그물 뒤끝의 망고 변화폭은 각각 5.0~7.8, 14.4~21.1, 16.2~21.2, 14.0~17.3, 11.7~13.9, 5.4~6.9, 8.2~9.8m이었고, 각 부분의 실제 전개율은 50~78, 25~36, 24~31, 31~38, 61~73, 71~91, 87~104%로 나타났다. 2. 생력형 어구는 그물목줄 부착으로 오비기 앞끝의 전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량된 나발그물 부착으로 축소형 개량어구보다 포켓형상을 대폭 개선시켜 어군의 유도가 매우 원활하였다. 또한, 양선간격 및 예망속도 변화에 따른 어구 형상이 매우 안정되었으며, 망고의 변화 폭이 크지 않아 어구의 전개성능이 향상되었다. 3. 자루그물의 개량으로 어구저항 감소, 예망속도 증대 및 입망된 어군의 도피가 현저히 감소하여 어획량이 현용어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조업시스템의 개선이 가능하였다.
        4,000원
        3.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P 소형 선박의 선내소음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들에 대한 합리적인 허용기준 설정 및 저소음화 설계를 위해 FRP 4~11톤급 신조 소형 선박을 대상으로 시운전시에 선내소음을 측정하여 소형 선박의 선내 소음특성 및 소음과 진동과의 상관관계를 검토, 분석하고, 이들에 대해 IMO와 DNV의 허용기준상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형 선박의 선내 소음 최대 레벨 범위는 79~115dB(A)로 나타났다. 또한, IMO 및 DNV 규제치와 비교에서 주기관실 소음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상부, 하부 거주실의 소음은 각각 5~19dB(A), 18~22dB(A) 높고, 조타실의 소음은 14dB(A) 높았으며, 동형선 E와 G선의 소음비교에서 선박의 크기, 마력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E선 주기관이 G선의 주기관보다 진동 및 소음이 제작당시부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소음원 규명을 위한 진동과의 상관관계에서 주기관실, 상부 거주실, 하부 거주실, 조타실, 연통상부 모두 3차수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3차수가 각 선내소음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0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의 실습선 새바다호를 사용하여 통영항 내의 동호만에서 1999년 9월 3~4일 사이에 투묘와 양묘를 포함한 선박의 궤적을 PATK-GPS 선간거리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와 거리 및 상대방위를 측정하고, 그 측위 정도의 유효성과 묘박의 실시간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투묘 후 묘가 브로트업 앵커가 될 때까지의 시간은 4분이 소요되었고, 완전한 묘박 상태로 되어 선박의 궤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요하는 시간은 10분 정도였다. 2. 묘박중 선체는 묘를 중심으로 하여 8자형의 요동운동을 나타내었다. 3. 측정 전체 시간대의 평균 묘박위치는 투묘위치로부터 북으로 49m, 동으로 89m로 편향되었다. 4. 선박의 궤적은 묘를 중심으로 하여 상태방위 186.1˚에서 194.2˚까지의 8.1˚ 폭 사이를 장반경 63m, 단반경 53m의 거리로 타원형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고,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선위의 분포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상대방위 187˚, 거리 558m 지점이었고, 가장 낮은 점은 상대방위 194˚, 거리 556m의 지점이었다. 6. PRTK-GPS는 거리와 방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묘박에 요구되는 적정한 면적과 주묘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묘박의 감시에 매우 적절한 시스템이라 판단된다.
        4,000원
        5.
        200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도네시아 어장에서 조업한 트롤어선의 물때별, 조업시간대별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장 어획이 많았던 물때는 조금∼두물로 전체 어획량의 22.8%였고, 가장 적었던 물때는 아홉물∼열한물로 16.9%였다. 2. 조기류, 갈치, 가오리의 어획이 가장 많았던 물때는 각각 열두물∼열네물(20.8%), 조금∼두물(33.8%), 아홉물∼열한물(22.0%)이었고, 가장 적었던 물때는 조기류와 갈치는 아홉물∼열한물(18.7%와 10.0%), 가오리는 여섯물∼여덟물(16.8%)이었다. 3. 08∼12시 시간대의 어획량이 전체의 19.7%로 가장 많았고, 20∼24시에 14.1%로 가장 어획이 부진하였다. 4. 조기류, 갈치, 가오리의 어획이 가장 많았던 조업시간대는 각각 00:00-04:00(21.0%), 08:00-12:00(35.0%), 12:00-16:00(21.2%) 이었고, 가장 어획이 부진했던 조업시간대는 12:00 -16:00(12.7%), 20:00-24:00(4.5%), 20:00- 24:00(13.4%)이었다.
        4,000원
        6.
        200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측정거리의 정밀도가 3.5cm이내인 GPS 선간거리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권현망 조업선의 주선에 기준국을 종선에 이동국을 설치하여 주.종선의 양선간격의 변화와 침로에 따른 예망항적을 측정하고 예망중인 어구의 각부에 자기식 수온수심계를 부착하여 각부의 망고와 예망수층의 파악을 통한 어구의 수중형상을 비교 분석하여 어법 및 어구의 조업진단을 행하였다. 1. 양선간격 5m일 시에는 어구가 큰 폭으로 가라앉아 불안정한 형상을 나타내며 깔대기와 자루그물도 동일한 예망수층을 이루고 있어 입망된 어군의 도피 위험성이 가장 크다. 2. 양선간격이 l00m일 시에는 어구 각부의 망고가 다소 높아지며 앞창과 문턱, 깔대기의 예망수층의 경사가 커서 자루그물의 형상이 불안정하여 어군입망의 저해요인이 되어 어획효율은 크게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양선간격이 좁아질수록 예망속도의 증대가 필요하다. 3. 양선간격이 200m일 시에는 어구의 수중형상이 다소 안정된 상태를 보여 주고 있으나 자루 그물 뒤끝이 다소 들어올려지며 이는 깔대기가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앉아 어획효율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자루그물의 예망수층의 개선이 필요하다. 4. 양선간의 거리가 300m일 시에는 오비기에서 자루그물까지의 연결이 비교적 완만하게 형성되고 깔대기와 자루그물의 형상도 양호하여 전체적인 어구의 형상이 안정되어 있으나 정상적인 망고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5. GPS 선간거리계측 시스템을 권현망어 업에 적용하여 조업을 행한다면 어군의 기록분포에 따라 적정한 양선간격을 도출함과 동시에 정밀한 양선간격의 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높은 어획효율을 얻을 수 있다.
        4,300원
        7.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ed rangefinder consist of sets of V/A-Code GPS and sets of L1 C/A-code & carrier phase receivers connected by two spread spectrum radio modems in order to measure relative range and bearing between two ship antennas by real time, comparing and analyzing accuracy of both GPS receivers at the fix point on the land by means of executing zero baseline test by C/A code and by carrier phase as well as measuring distance range 5m, 10m, 15m between each other receivers. The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of relative range and bearing are as follows as ;1.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zero baseline test, the average error by C/A-code receiver is less than 0.1m, which proves theories from published books but when each GPS receivers track different satellites, the range accuracy error becomes up to 100m by means of S/A. Because of this sudden wide range error, rangefinder is not appropriate at relative range measurement without additional modification of the algorism of the GPS receiver itself.2. According to relative range measurement by Carrier Phase and zero baseline test at static condition, the range error is less than 3.5cm in case that it passes more than 5 minutes after GPS sets can track simultaneously more than 6 satellites. Its main reason is understood that the phase center of antenna is bigger than geodetic antenna.3. When range measurement of two receivers from 5m, to 10m to 15m, the each range error is 0.340m, 0.190m, 0.011m and each standard variation is 0.0973m, 0.0884m, 0.0790m. The range error and standard variation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distance between two receivers. 4. L1 Carrier Phase GPS generally needs 5 minutes to fix and during this ambiguity search, the relative range and bearing angle is shown to be various.
        4,300원
        8.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d on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and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of eastern fishing ground of Tropical region in the Pacific Ocean. The data of catches and water temperature used in this paper were based log book which # 27 CHENG RONG(Gross tonnage : 399 ton) had been worked eastern fishing ground(Lat : 09˚N- 14˚S, Long : 115˚- 149˚W)from January to October, 1991. The obtained result are as follows : 1.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 9˚N, Long 135˚- 139˚W area in the equatorial counter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7.5℃ to 27.9℃,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 9˚S, Long 145˚- 149˚W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8.0℃ to 28.4℃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10˚- 14˚S, Long 120˚- 124˚W area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temperature was range of 26.5℃ to 26.9℃ 2. On the relation between catches and distribution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0℃ to 12℃ on depth layer between 300m and 360m,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5℃ to 19℃ on depth layer between 180m and 280m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2℃ to 14℃ on depth layer between 280m and 310m. Above the result, it seemed that bigeye tuna distributed deeper layer than yellowfin and albacore tuna.
        4,000원
        9.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ran-C 위치의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북동태평양 Chain (GRI 5970)에 대한 시간차를 관측하여 그 전파경로와 측지계 및 전파속도에 따른 시간차오차 등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oran-C 전파는 M-X 조국, M-Y조국 모두 주국, X, Y 종국과 관측점 사이에 높이 500m 이상 되는 한라산을 통과하여 전파될 때 시간차 오차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2. 측지계 및 전파속도의 보정에 따른 시간차오차는 M-X 조국에서는 측지계변환과 속도보정을 행할수록 적어지고, M-Y조국에서는 M-X조국과는 달리 해상 및 육상의 전파경로에 따라 시간차오차가 불규칙적으로 변함을 알 수 있었다. 3. 보정요소별 측위의 정도는 측지계를 변화하고 속도보정을 행한 것이 가장 높고, WGS-72 측지계를 변환시키지 않은 것이 가장 낮았다. 4. 측정위치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굴절율에 의한 속도보정과 측지계변환 및 육상전파속도보정을 행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치는 남해안에서는 여러 단계의 크기의 것이 혼획되는데, 가다랭이 미끼용으로는 채장 6-7m의 것이 알맞으므로, 이 크기의 것을 가급적 언중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분포상을 조사하여 적정 자원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해역을 알 필요가 있다. 또, 멸치의 크기에 따라 상품가치도 크게 다르므로 멸치 어업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나, 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도 채장 조사는 중요하다. 여기서는 멸치어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7월부터 12월의 한국 동남 해역에 있어서의 멸치의 분포상에 관하여 조사한 것을 보고한다
        4,000원
        11.
        197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ing efficiency of conventional bamboo traps and other traps for eel Conger myriaster,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best fishing efficiency was observed when the trap is inclined to the sea bottom with 20 ~ 30 degrees. 2. Plastic traps were better compared with bamboo traps in rigidity and fishing efficiency. 3. Using clips in attaching branch line to main line, the operating time was saved somewhat considerab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