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트남산 잎말이나방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5종 (Adoxophyes tetraphracta Meyrick, Meridemis bathymorpha Diakonoff, Pandemis corylana Fabricius, Terthreutis bulligera Meyrick, Ulodemis hyalura Diakonoff)이 베트남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모든 종에 대한 기재, 성충의 모습, 그리고 생식기의 도해를 실었다.
        4,000원
        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캄보디아는 동양구에 위치한 국가로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과 남동쪽으로 베트남, 북쪽과 서쪽으로 태국과 접하고 있다. Samkos지역은 캄보디아 서쪽에 위치한 산림지역으로 1997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Samkos산은 1750m 높이로, 산림이 우거지며 야생동물이 다양하게 서식하는 지역이다. 현재 Samkos지역은 화전에 의한 화재와 개발로 인해 산림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생물다양성 감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본 연구는 2012년 7월 12일 ~ 7월 23일, 2013년 2월 13일 ~ 2월 18일까지 캄보디아 서부지역에 위치한 Samkos산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Sweeping, Light trap, Bucket trap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곤충상을 조사한 결과, 나비목은 총 7과 81속 98종이 채집되었다.
        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캄보디아는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과 남쪽으로 베트남, 북쪽과 서쪽으로 태국과 접해있는 국가이다. 육지면적 181,035km2으로 국가의 53%가 산림으로 뒤덮여 있는 나라이다. 생물다양성 보호구역은 캄보디아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현재 생물다양성 집중지역으로 인식이 되고 있다. 생물다양성 집중지역은 좁은 지역에 특이하게 많은 종이 집중되어 있고 많은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종이 있는 지역이다. 이곳은 5종의 포유동물, 2종의 조류, 2종의 파충류 등의 멸종위기 종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현재 국제적인 NGO단체들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아직 이 지역에 곤충상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신종 및 미기록종의 발견이 기대된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총 3년 동안 Seima 생물다양성 보호구역에서 sweeping, Light trap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곤충상을 조사한 결과, 나비목은 총 14과 122속 172종을 채집하였으며, Pyralidae가 44종으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Geometridae 39종, Arctiidae 30종 순으로 채집되었다..
        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평화의 댐은 높이 125m, 길이 601m, 저수량 2,630,000,000㎥로 강원도 화 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6년 6월 15일 2차 증축공사를 준공 하였다. 하천에 댐을 건설하게 되면 유수역이던 지역의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고, 수위 상승 및 그에 따른 수변의 확장으로 인해 인공적인 정수역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 라서 유수역에 적응하여 살아가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들은 물의 흐름이 있 는 상류지역 등 주변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그러지 못한 개체는 사멸하게 되 고, 새로이 정수역이 된 지역은 환경에 맞는 종들로 구성원이 대체된다. 이러 한 일련의 변화과정은 댐이 건설된 지역 뿐 아니라 그 주변 지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조사지역인 평화의 댐 주변은 그러한 변화과정이 진행되고 있 는 불안정한 생태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평화의 댐 주변 지역 4개 지점 및 대조군에 대해 2006, 2008, 2010년에 걸쳐 연 2회 조사수행 후 저서성대 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비교 결과 지속적으로 종수 및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었으며, 특히 유수역에서의 개체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 났다. 반면 정수역은 종수가 줄어들고 우점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적 절한 서식지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캄보디아는 동양구에 위치한 국가로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과 남동쪽으로 베 트남, 북쪽과 서쪽으로 태국과 접하고 있다. 육지면적(181,035k㎢)의 3/4은 중부 의 넓은 평야들과 남쪽으로 국토의 동부를 가로질러 흐르는 메콩강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기후는 건기와 우기로 나누어지는 전형적인 열대몬순기후이다. 캄보디 아는 독립(1945년) 때까지 간헐적인 생물상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내전이 발 발하여 약 45년 동안 생물다양성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였다. 현재 국제적인 NGO단체들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지역의 생물다양성 조사가 미흡하다. 또한 곤충 다양성연구는 더더욱 미비하여, 신종 및 미기록종의 발견이 기대된다. 본 연구는 2010년 4월 30일 ~ 5월 6일까지 2010년 10월 5일 ~ 10월 10일까지 캄보디아 동부지역인 Pro. Mondulkiri Trapeang Thmear와 Seima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와 캄보디아 서부지역인 Prov. Pursat, Rovieang and Osom에 서 Sweeping, Light trap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곤충상을 조사한 결과, 나비 목은 총 92종을 채집하였으며, 동부에서는 76종이 채집되었고, 서부에서는 30종 이 채집되었다.
        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청계천은 지난 2005년 10월 복개하천에서 자연형하천으로 복원되어 전 세계적 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도심 속의 생태하천으로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한 지역 이다. 조사구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청계광장(위도 37o 34' 8‘’ , 경도 126o 58' 41‘’)부터 성동구 용답동 중량천 합류부(위도 37o 33' 11‘’ , 경도 127o 3' 3‘’)까 지 8.12Km에 달하는 청계천의 좌우측 곤충서식지이다. 총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연 4회씩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2007년 11목 67과 174종, 2008년 10목 70과 192종, 2009년 11목 72과 206종이 발견되어 서 복원 후 종다양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목별 종구성을 살펴보면 복원후 2 년째인 2007년에는 교란에 강한 파리목이 28.16%의 종수를 차지하였으나 2009 년에는 17.96%로 감소하였고, 그 외 목들도 다양성이 늘어나며 점차 군집이 안정 되어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사구간별로는 도심지로서 인간의 이용 등 교란요인 이 많으며, 하폭이 좁고 곤충서식지 폭도 좁은 1, 2번 조사구역에 비해 곤충서식지 가 넓고 인간의 교란이 적은 3, 4번 지역이 높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2009년 최초로 시행된 야간채집에서는 주간채집 때 나타난 종다양성에 비해 상대 적으로 낮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다양한 조명이 주광성을 지닌 야행성 곤충에게 심각한 교란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방조제 건설에 의한 인공호수이자 기수호인 시화호는 면적 43.80㎢에 달하며, 행정구역상 경기도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에 걸쳐 있고, 지리적으로 위도 37o 11' - 37o 20', 경도 126o 34' - 126o 50' 에 포함된다. 기후조건은 연평균기온 11.9℃, 연평균강우량 1,252.3mm, 연평균상대습도는 72.8%이다. 본 연구는 시화호 주변지역의 육상곤충 비오톱 6곳에서 2005년 4월부터 2009년 9월까지 매년 주간 4회, 야간(6월) 1회 조사를 수행하여 5년간 총 25회 조사하였다. 주간조사는 전 지역에서 실시하였으며, 야간조사는 음도(INS-3)지역에서 시행하였다. 조사결과 2005년 10목 76과 255종, 2006년 10목 83과 273종, 2007년 13목 86과 282종, 2008년 13목 110과 354종, 2009년 12목 107과 338종이 출현하며 지속적으로 종다양성이 향상되는 양상을 나타냈으나 2009년 최초로 감소하였다. 목별 우점도는 1차년도 최우점 목이던 파리목의 우점도가 24.71%에서 14.79%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딱정벌레목의 경우 8.63%에서 17.46%로 두드러진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당재(INS-6)지점의 다양도가 가장 높아졌으며, 방아머리나루터(INS-7)지역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란에 강한 파리목의 우점도가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을 볼 때 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곤충 개체군도 안정되어가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경기 서북부 국지종인 큰주홍부전나비가 당재(INS-6)지점에서 발견되어서 서식지 보호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8.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가장기생태모니터링 지역 중 삼척시 산불피해지역 2개 지점과 미피해지역 1개 지점에서 나비목 곤충상을 2006년 5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2000년 4월 7일부터 4월 15일까지 발생하여 23,794ha를 전소시킨 동해안산불 피해지점에 해당된다. T1지점은 북위 37° 13′ 49.7″, 동경 129° 18′ 34.0″에 위치하며 최대 산불 피해지로 식생은 가장 단순하고 초본류가 우점하고 있다. T3지점 또한 산불 피해지로 북위 37° 14′ 13.9″, 동경 129° 18′ 16.2″에 속하며 T1지역에 비해 피해 정도는 적은 지역이다. 미피해지역은 북위 37° 19′ 40. 0″, 동경 129° 12′ 10.9″으로 식생이 다양하며, 작은 하천 및 10여가구의 민가를 접하고 있다. 나비류와 나비목 유충은 주간 정성채집을 통해 조사하였고, 나방류는 버켓트랩을 이용하여 일몰 후 3시간동안 정량채집하였다. 지점별 나비목 종수 변화를 보면, T1지점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순서대로 181종, 123종, 148종, 65종(6월까지)으로 나타났으며, T3지점은 112종, 151종, 172종, 118종(6월까지)으로 변화되었다. 연도별 우점하는 과는 2006년 밤나방과 111종, 명나방과 78종, 2007년 밤나방과 74종, 명나방과 73종, 2008년 밤나방과 76종, 자나방과 61종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미피해군, T1, T3지역의 나비목 군집특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9.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캄보디아는 동양구에 위치한 국가로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과 남동쪽으로 베트남, 북쪽과 서쪽으로 태국과 접하고 있다. 육지면적(181,035k㎢)의 3/4은 중부의 넓은 평야들과 남쪽으로 국토의 동부를 가로질러 흐르는 메콩강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기후는 건기와 우기로 나누어지는 전형적인 열대몬순기후이다. 캄보디아는 독립(1945년) 때까지 간헐적인 생물상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내전이 발발하여 약 45년 동안 생물다양성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였다. 현재 국제적인 NGO단체들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지역의 생물다양성 조사가 미흡하다. 또한 곤충 다양성연구는 더더욱 미비하여, 신종 및 미기록종의 발견이 기대된다. 본 연구는 2009년 7월 2일 ~ 10일까지 캄보디아 동부지역인 Seima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N: 12˚ 08' 20.8'' E: 106˚ 55' 2.7'')에서 Pitfall trap, Light trap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곤충상을 조사한 결과, 나비목은 총 120종을 채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90종이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