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2014년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 중 하나는 뇌혈관 질환이다. 그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뇌혈관 폐색은 venogram으로 진단을 할 수 있다. venogram은 크게 PC기법과 TOF기법으로 나뉘는데 우리는 TOF기법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2D TOF-MRA는 검사방향과 혈류의 방향이 같을 경우 계속되는 RF pulse의 영향으로 혈액 내 spin들이 포화되어 혈류신호가 감쇄하게 된다. 그래서 2D TOF-MRA검사시 oblique angle을 주고 검사를 진행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blique angle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angle을 0°, 10°, 20°로 변화시켜 가며 각각의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5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본원 내원해 Brain MRI을 시행한 환자중 뇌에 질병이 없는 30명(남성12명, 여성18, 연령분포 20~55세, 평균연령 3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Skyra 3T(Siemens, Germany)이고 신호수집은 20 channel Head/Neck coil을 사용하였다. TR은 19ms, Thickness는 2.5mm, Matrix는 256×256, TE는 4.56ms, Bandwidth는 219kHz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axial 단면에서 oblique angle을 0°, 10°, 20°로 주면서 sagittal단면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과 정성적 두 가지로 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검사 후 얻은 영상에 세 곳을 정해 SNR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전공의 1명 그리고 방사선사 1명이 3가지 평가항목에 대하여 Likert’s 5-point scale로 분석을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9K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의 결과 SSS의 SNR측정치 평균값은 0°-27.4155, 10°-35.4500, 20°- 44.3650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SNR값도 증가 되었다. 다중비교결과 세 경우 모두 유의확률이 0.05이하로 각각의 값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SC의 SNR측정치 평균값은 0°-16.6900, 10°-20.2600, 20°-26.6405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SNR값도 증가 되었다. 다중비교결과 0°와10°는 0.05이상으로 차이가 없었고, 20°만 0.05이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TS의 SNR측정치 평균값은 0°-82.3150, 10°-86.2850, 20°-92.5200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SNR값도 증가 되었다. 하지만 다중비교결과 세 경우 모두 유의확률이 0.05이상으로 각각의 값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성적 분석의 결과 SSS는 평가자 1,2,3이 모두 각도가 커질수록 점수가 증가 되었다. 유의확률은 각각의 다중비교 결과 1,3은 유의확률이 모두 0.017이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2만 10°-20°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SC는 평가자 1,2,3이 모두 각도가 커질수록 점수가 증가 되었다. 유의확률은 각각의 다중비교 결과 1,3은 유의확률이 모두 0.017이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2만 0°-10°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TS는 평가자 1,3은 모든값이 같게 나왔고 2만 각도가 커질수록 점수가 증가 되었다. 유의확률은 각각의 다중비교 결과 세 경우 모두 0.017이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 모두에서 대체적으로 각도가 커질수록 영상의 질이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각도의 변화는 숙련 기간이 필요하지도 않고 특별히 재구성하는 것도 없었으며 검사 시간도 늘어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검사 영상의 화질도 더 좋아진다. 그러므로 각도를 기존보다 더 크게 20° 주는 방법은 유용한 검사법이라 사료된다.
        4,3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우리나라에서 디스크는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고 있는 질병이다. 디스크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MRI 검사가 가장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척추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검사에서는 금속물질에 의한 자기 감수성 인공물에 의해 주변 구조물이 왜곡되어 영상 판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Siemens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WARP sequence를 개발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RP sequence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기존의 TSE(turbo spin echo) sequence와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 내원한 척추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10명(남성6명, 여성4,연령분포 37~73세, 평균연령 5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Skyra 3.0T(Siemens, Germany)이고 신호수집은 32 channel spine coil을 사용하였다. 매개변수는 다음 표와 같다[Table 1]. WARP와 TSE 둘 다 TR은 5500ms, Thickness는 4mm, Matrix는 384×202로 같고 TE는 100ms와 120ms으로 bandwidth는 592kHz와 246kHz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과 정성적 두 가지로 했다. 정량적 분석은 검사 후 얻은 영상에 세곳을 정해 SNR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전공의 1명 그리고 방사선사 3명이 5가지 평가항목에 대하여 5점 척도로 분석을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9K를 사용하였다. 결 과 : WARP와 TSE의 SNR측정결과 평균값은 각각 VBC에서는 105.6, 92.4 SCC에서는 141.6,102.3 SN에서는 138.1, 115.2로 측정되었다. 이 측정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확률이 VBC는 0.386, SN는 0.169로 두 검사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일하게 SCC만 유의확률 0.041로 두 검사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명의 평가자가 WARP와 TSE을 평가한 결과 평가자1은 평균값이 2.7 3.6 3.4와 2.4 2.6 2.6 평가자2는 3.1 3.7 3.5와 2.6 2.7 2.7, 평가자3은 3 3.7 3.8와 2.6 2.8 2.9, 평가자4는 3.1 3.7 3.6와 2.7 3 3.1, 평가자5는 2.6 3.4 3.1와 2.2 2.3 2.5로 측정되었다. 위의 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평가자1은 유의확률이 0.180, 0.015, 0.023으로 평가자2는 0.025, 0.015, 0.023으로 평가자3은 0.279, 0.007, 0.008으로 평가자4는 0.046, 0.053, 0.034으로 평가자5는 0.102, 0.005, 0.058으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 모두에서 WARP의 유용함을 알 수는 있었다. WARP는 두 가지 bandwidth를 모두 높게 조정해줌으로써 영상의 왜곡을 감소시켜준다. WARP는 숙련 기간이 필요하지도 않고 특별히 재구성하는 것도 없어 초보자도 쉽게 익힐 수 있어 사용하기에 편하다. 뿐만 아니라 검사 영상의 화질도 좋아 유용한 검사법이라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