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te-maturing black rice cultivar Shinnongheugchal from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was used as the plant material for estimating growth characters, quality and yield from the vegetation period to harvest 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an optimum combination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for the maximum yield of Shinnongheugchal. The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SPAD index were higher whe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was used at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heading date for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5 kg/10 a nitrogen level, and 80 hills per 3.3 m 2 and 15 kg/10 a nitrogen level was August 22. The heading date for the other combinations was August 21.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yielded the highest number of tillers at 40 days after flowering. Even though the lodging index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levels, field lodging did not occur until harvest time. Seed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combinations. The black rice yield varied significantly, and the highest yield was observed i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The yiel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ed nitrogen concentration. The maximum yield was estimated to be 14.67 kg/10 a nitrogen level by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On average, the coloring degree of the black rice was higher at planting density of 70 hills per 3.3 m 2 than at 80 hills per 3.3 m 2 . The highest yield of perfect black rice was obtained using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a nitrogen level of 13-14 kg/10 a can be used to obtain the maximum yield from Shinnongheugchal with yield, cyanidin 3-glucoside content, and perfect black rice yield as the standard.
        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용 NIR 장비에서 수집된 벼 생엽의 질소 함량 검량 식 및 데이터베이스를 현장용 NIR 장비에 검량식을 이설,검증함으로서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스펙트럼을 수집한 시료 중선발 된 A 데이터 세트(개체수 454점)의 총 질소범위는 2.041%~4.933%, 2012년 수집된 B 데이터 세트(258점)는 2.180%~3.690%이며 각각의 전체 평균은3.497%, 2.712%였다.2. A, B 데이터 세트에서 유도된 검량식 결과 결정계수(R2)는 각각 0.845, 0.777,표준오차(SEC)는 0.196, 0.126,SECV는 0.238, 0.150이었다.3. 연구용 NIR 장비 400 nm~2500 nm 파장에서 얻어진데이터베이스를 현장용 NIR 장비 1200 nm~2400 nm파장에 맞게 잘라 이설한 후 2012년 데이터베이스에업데이트 확장한 후 작성된 검량식 결과 결정계수(R2)는 0.880, 표준오차(SEC)는 0.191이었다.4. 연구용 NIR 장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현장용NIR 장비에 맞춰 데이터베이스를 확장 업데이트하고검량식을 이설한 결과 연구용 장비와의 표준오차는0.005%로 거의 동일한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
        5.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 신농흑찰, 신명흑찰 생산을 위한 중산간지와 평야지의 이앙시기와 평야지의 수확시기 설정을 위한 시험을 수행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재배지역, 시험품종에 관계없이 출수기는 늦었다. 동일한 이앙시기인 6월 5일 중산간지 진안, 평야지 익산의 신농흑찰, 신명흑찰 출수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재배지역별 출수기는 이앙시기가 상대적으로 빨랐던 진안의 평균 출수기가 빨랐다. 또한 이앙시기별 신농흑찰의 출수기는 신명흑찰의 출수기보다 늦어 진안은 2~3일, 익산은 1~2일정도 늦었다. 2. 이앙시기에 따른 현미수량은 진안지역에서 신농흑찰은 5월 25일 신명흑찰은 5월 30일 이앙에서 수량이 많았으며. 익산에서는 신농흑찰, 신명흑찰 현미수량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평야지인 익산보다는 중산지 진안에서 신농흑찰의 안토시안함량이 높아 6월 5일 진안지역 신농흑찰의 안토시안함량이 100 g당 337.3 mg으로 가장 높았다. 4. 이앙시기별 완전 착색미 비율은 신농흑찰, 신명흑찰 모두 진안, 익산에서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완전 착색미 수량은 진안 5월 30일 이앙에 익산 6월 10일 이앙에서 가장 높았다. 5. 수확시기에 따른 익산지역의 완전착색미 비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완전착색미수량은 신농흑찰 출수 후 50일 수확에서 가장 높았다.
        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원찰벼를 이앙시기와 질소시비 조건을 달리하여 재배한 후 수확시기별로 녹색정도 및 수량성의 변화를 구명하여 녹원찰벼의 녹색정도 및 수량성을 고려한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고, 질소시 비량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2. 이앙시기에 따른 녹색미 비율은 6월 10일 이앙에서 높았으며, 질소시비량별로는 유의적인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녹색 현미수량은 6월 10일 이앙까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6월 15일 이앙에서는 감소하였고, 질소시비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4. 녹색 현미수량 향상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는 6월 4일~6일, 적정 질소 시비량은 9 kg/10 a 이었다. 5. 수확시기에 따른 녹색 현미수량은 출수 후 37일 수확에서 가장 많았으며, 출수 후 37일 이후 수확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6. 녹색 현미수량 향상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는 출수 후 35~37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