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인구 감소의 시대 지역사회, 특히 농촌 지역의 젊은층 인구는 감소하고 고령층 인구는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본고 에서는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고령자 자원봉사와 종교의 두 축을 제시했다. 먼저 최근 고령 노인들은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보여주면서 그들의 자원봉사 활동이 오히려 삶의 보람과 만족도 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고령 노인들이 자신들이 생활하던 익숙한 지역이나 공간에서 노년기를 보내는 ‘제자리에서의 노화’가 삶의 질이나 사회적 비용면에서도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젊은 자원 봉사자들과 같은 빈번한 이직에 대한 우려가 없다. 이들의 자원봉사는 위탁 조부모 프로그램, 시니어 동반 자 프로그램, 은퇴자 시니어 자원봉사자 프로그램 같은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장점이면서 한계로 작용한다. 다음 지역사회복지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은 종교이다. 사회적 약자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종교 적 가르침이 모든 신앙 전통에서 지지되고 있거니와, 영적 자원과 자원봉사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이 있어 서 예배에 자주 참석할수록 지역공동체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인자원봉사자들의 지속적인 봉사를 위해서는 이를 조직화할 수 있는 기관들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종교기반 지역복지관과의 연계는 큰 힘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는 어느 정도 그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종교의 스포츠 수용에 관한 이론적 틀을 만들어서 앞으로 종교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포츠와 종교 간의 긴밀한 관계는 특히 스포츠 선교가 복음 전파의 통로로서 큰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데에서도 드러난다. 스포츠가 종교를 ‘즐겁게’ 할 수 있다는 주장은 전통적인 종교의 경건성, 엄숙성이 주는 무게나 어렵고 딱딱한 분위기를 스포츠가 매력적으로 또는 즐겁게 변화시 켜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포츠의 기능 중 중요한 것이 레크리에이션이다. 서구에서 18, 19세기 산업사 회로 옮겨가면서 사회복음이 출현했는데, 특히 이 복음에는 ‘오락과 스포츠’, 바로 레크리에이션을 포함했 다. 교회 레크리에이션은 신체적, 정신적, 도덕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서, 스포츠와 복음적 메시지의 결합 은 교회의 필수적인 프로그램으로 의미, 도덕 및 목적에 대한 현대의 불안을 해소하는 하나의 출구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서 종교가 해야 할 역할과 지향점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교와 정치는 일치하는 것으로, 또는 분리해야 한다는 상반된 주장이 보이지만 후자의 경우라도 정교분리 와 종교의 정치참여는 모순이 아니라 양립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고는 종교의 정치참여 활동 중 특히 종교기반 시민단체의 공명선거운동에 초점을 둔다. 한국 정치에서의 종교의 관여는 시민운동이 중심이어서 종교가 정치발전에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명선거운동에 참여한 종교시민단체 중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을 예시하였다. 이 단체가 종교 측의 솔선수범과 자기반성을 중시하면서 특정 정파 에 편향되지 않은 ‘공감’에 초점을 두고, 종교적 시각이 포함된 깊이 있는 연구 성과를 정책 제안서에 반영 하고 있다는 평가하기 때문이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보여주는 이러한 반성과 지향은 모든 종교시민단 체가 참고해야 할 특성으로, 이 점은 대립과 갈등으로 얽힌 한국의 정치적 상황을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것이 바로 종교가 추구하는 자리이고 종교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focusing on the 7-Dories type wooden buildings showing different rafter installation. This research found the reason why the rafter configuration look different each other and the relationship the between rafters and the Dory. Factors were compared to determine why the rafter configuration show the formal differentiation. The comparison factors are as follows: 1. The type of rafter installation is related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building. 2. The type of rafter installation is related to the number of Kans on the side of the building and is proportionate. 3. The type of rafter configuration is related to the Dory arrangement and is proportionate. 4. The type of rafter configuration is related to the Dory’s vertical arrangement. If the Dory arrangement is small, it is identified as two-stage rafter configuration. And if the Dory arrangement is large, it is identified as three-stage rafter configuration. Eventu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after configuration were affected by the Dory arrangement.